[SM엔터 경영권 분쟁]카카오 입장문에 담긴 키맨과 우려배재현 투자총괄대표 'M&A 일등공신' 명시…금융당국 눈초리 감내
원충희 기자공개 2023-03-15 12:53:48
이 기사는 2023년 03월 14일 08시1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는 가처분 인용이란 악재에도 고군분투하면서 SM엔터테인먼트 인수전의 승리자가 됐다. 전격적으로 공개매수 맞대응 카드를 꺼내들며 '쩐의 전쟁'을 각오한 끝에 SM엔터테인먼트를 얻었다. 지난 12일 배재현 카카오 공동체 투자총괄대표의 이름으로 올라온 입장문에는 M&A 경쟁을 진두지휘한 이가 누군지를 명시하고 있다.다만 이 과정에서 시세조종 의혹이 불거진 것은 실로 남았다. 하이브와 달리 카카오는 은행, 증권, 보험 등 금융당국의 인가 및 감독을 받는 금융업 라이선스 사업을 여러 개 하고 있다. 날카로워진 금융당국의 눈초리를 감내해야 한다.
◇배 대표 이름으로 올라온 첫 입장문 의미는
카카오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지난 12일 입장문을 통해 하이브의 SM엔터테인먼트 인수 중단 결정을 존중하며 상호 긍정적 영향을 주고받는 파트너로서 다양한 협력관계를 이어가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 입장문은 배재현 카카오 공동체 투자총괄대표의 이름으로 올라왔다. 카카오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그간 SM엔터테인먼트 M&A 관련 몇 차례 입장문을 밝혔는데 김성수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각자대표나 회사 이름으로 올라왔다. 배 대표 이름으로 올라온 입장문은 이번이 처음이다.
카카오가 이번 인수전에서 승기를 잡은 결정타는 지난 7일 발표한 공개매수다. 이수만 전 SM엔터테인먼트 총괄 프로듀서가 제기한 가처분 신청이 인용되면서 카카오는 유상증자 참여와 전환사채(CB) 인수에 따른 지분 9.05%를 확보하는 계획이 어그러졌다. 이 와중에 하이브는 이 전 총괄 지분 중에서 14.8%를 인수하며 1대 주주로 올라섰다.
승기가 하이브로 기울어질 때 카카오는 주당 15만원으로 공개매수 카드를 꺼냈다. 하이브의 공개매수가(주당 12만원)보다 높게 불렀다. 머니게임으로 변질되고 시장의 과열을 유발했다는 시선을 무릅쓰고 공격적인 베팅에 나섰다. 시장에선 이 같은 결정이 전격적으로 이뤄진 이면에 배 대표가 있다고 보고 있다. 12일 입장문은 이번 딜의 키맨이 누군지를 명시한 셈이다.
◇금융업 영위하는 카카오, 시세조종 의혹 불식 필수
카카오는 입장문 말미에 '금융당국의 우려'를 거론했다. 하이브의 입장문에는 이 같은 내용이 없다. 금융감독원이 하이브의 공개매수 과정에서 카카오의 시세조정 혐의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왔고 금융회사들에게도 경영권 분쟁에 개입하지 말라고 경고하면서 날카로운 눈초리를 세웠다.
하이브와 카카오 중에 금융당국과 접점이 많은 곳은 카카오다. 카카오는 은행(카카오뱅크), 증권(카카오페이증권), 보험(카카오손해보험), 테크핀(카카오페이) 등 금융업 라이선스가 필요한 업종을 영위하고 있다.
만에 하나라도 카카오가 시세조종 혐의에 휘말리면 금융관련법 위반으로 금융사 대주주 적격성 이슈가 불거질 수 있다. 카카오는 하이브와 달리 금융당국에 눈치를 볼 게 많은 상황이다. 카카오는 앞서 2020년 바로투자증권(현 카카오페이증권) 인수 과정에서 공정거래법 위반 이슈로 대주주 적격성 문제가 불거져 곤혹을 치른 바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신한금융, 더존비즈온과 'ERP 뱅킹' 야심찬 청사진
- [저축은행 위험 관리 점검]페퍼저축, 2년간 대출채권 1조 매각…올해 건전성 회복 기대
- 보험업 신뢰지킨 주인공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KB국민카드, 인니에 역량 집중…실속은 태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