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연금, 해외 PE 위탁사 숏리스트 칼라일 등 6곳 선정 아폴로·EQT 포함, 내달 PT 진행…7월 2~3곳 최종 선정 예정
김경태 기자공개 2023-05-31 08:20:54
이 기사는 2023년 05월 30일 19시0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공무원연금공단이 설립 후 처음으로 추진하는 해외 바이아웃(경영권 거래)·그로쓰캐피탈(성장형투자) 전략 위탁사 선정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출사표를 던진 30곳에 육박하는 해외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중 6곳만 예비적격후보(숏리스트)에 포함됐다. 공무원연금은 계획대로 오는 7월에 최종 선정을 발표할 예정이다.30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공무원연금은 이번 주 초께 해외 바이아웃·그로쓰캐피탈 전략 위탁 운용사 숏리스트를 선정해 개별 통보했다. 칼라일그룹, 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 EQT파트너스, 워버그핀커스, 브릿지포인트, WCAS(Welsh, Carson, Anderson & Stowe) 6곳이 선택을 받았다.
공무원연금이 설립 이후 처음으로 실시하는 이번 해외 바이아웃·그로쓰캐피탈 전략 출자사업은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달 17일 마감한 제안서 접수에는 총 29곳의 글로벌 PEF 운용사들이 서류를 제출했다.

글로벌 3대 PEF 운용사로 꼽히는 블랙스톤,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칼라일그룹이 참여했다. 아폴로글로벌매니지먼트, 텍사스퍼시픽그룹(TPG), 파트너스그룹(Parrners Group), EQT파트너스, 실버레이크파트너스 등도 출사표를 던졌다.
IB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내로라하는 PEF 운용사들이 참여하면서 점수 차도 상당히 미미했다는 전언이다. 실제 칼라일그룹과 함께 글로벌 3대 PEF 운용사로 불리는 블랙스톤과 KKR은 선정되지 못했을 정도로 뜨거운 경쟁이 펼쳐졌다.
칼라일그룹은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8호 바이아웃, 3호 크레딧 펀드를 조성하고 있다. 북미지역에서 펀드레이징이 부진한 가운데 한국 출자자(LP) 모집에서 분투를 이어가는 모양새다.
공무원연금은 숏리스트를 대상으로 다음 달 프레젠테이션(PT)을 한 뒤 후보자를 추려 실사를 진행한다. 이어 오는 7월 최종 선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공무원연금은 2~3곳을 위탁사로 낙점할 방침이다. 출자액은 총 1억2000만달러(한화 약 1600억원)로 운용사당 4000만달러(약 500억원)을 출자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