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점검]준수율 끌어올린 현대코퍼, 리스크관리 강화 모색핵심지표 준수율 20%→60%…리스크관리위원회, 이사회 위원회 격상 검토
김동현 기자공개 2023-06-26 07:32:24
이 기사는 2023년 06월 22일 16시2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두번째로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공시한 현대코퍼레이션이 핵심지표 준수율을 대폭 끌어올렸다. 지난해 처음 공시했을 당시 20% 수준에 불과했던 준수율이 60%까지 올라갔다.더불어 리스크 관리 방안을 지난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했는데 이중 사내 리스크관리위원회 규정을 제정한 것이 눈에 띈다. 현대코퍼레이션은 사내 조직으로 운영 중인 리스크관리위원회를 이사회 내 위원회로 격상하는 방안을 연말까지 검토할 계획이다.
현대코퍼레이션은 자산규모 1조원 이상의 상장사까지 공시의무가 확대된 지난해부터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공시했다. 첫 공시에서 현대코퍼레이션은 전체 15가지 핵심지표 중 3개만 준수하며 준수율이 20% 수준에 머물렀다.
2021년에 준수한 항목은 △6년 초과 장기재직 사외이사 부존재 △내부감사기구에 회계 또는 재무전문가 존재 여부 △경영 관련 중요 정보에 내부감사기구가 접근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고 있는지 여부 등이었다.
그러나 올해 공시에서 핵심지표 준수 개수를 9개까지 끌어올리며 반등에 성공했다. 최근 공개된 2022년 기업지배구조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코퍼레이션의 핵심지표 준수율은 60%였다.
지난해 하나도 준수하지 못했던 주주 관련 항목에서 2개(전자투표 실시, 주주총회 집중일 이외 개최)를 지켰고 총 5가지 지표로 구성된 감사기구 관련 항목에서는 '독립적인 내부감사부서(내부감사업무 지원조직)의 설치'를 제외한 나머지 지표를 모두 준수했다.

핵심지표 준수율 상승과 함께 눈에 띄는 점은 리스크 관리를 위해 '3중 안전망'을 강조한 점이다. 리스크 관리는 주요 핵심 지표 중 이사회의 내부통제 정책과 관련한 내용인데 지난해까지 주요 리스크 관리 정책으로 언급된 정책은 연초에 개최하는 경영전략회의, 매월 열리는 리스크 점검회의 등 2가지였다. 두 회의 모두 최고경영진이 주관하는 회의다.
여기에 올해 새로 추가된 정책이 '리스크관리위원회'다. 리스크관리위원회는 리스크 정책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만든 조직으로 현대코퍼레이션은 지난해 말 운영 규정을 제정하고 최근 해당 위원회를 신설했다.
종합무역상사업 특성상 외환·신용위험이 주요 리스크로 작용하는 가운데 최근 사업을 친환경 에너지, 폐자원 리사이클링, 로보틱스 등으로 확대하며 리스크 범위도 그만큼 넓어졌다. 전반적인 사업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커진 셈이다.
아직 운영 초창기 단계인 리스크관리위원회에는 사업본부장 등 주요 임원들이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서 나아가 현대코퍼레이션은 해당 리스크관리위원회의 운영 강화를 위해 연말까지 이사회 내 위원회로 격상하는 것도 검토한다.
현재 현대코퍼레이션은 이사회 내 위원회로 감사위원회와 내부거래위원회 등 2개를 운영 중이다. 회사 정관 및 이사회 규정상 이사회 내 위원회 추가 설치에 대한 제약이 없어 이사회 결의에 따라 리스크관리위원회 설치도 가능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티맵모빌리티는 지금]'계약 유지율 98%' 티맵 API, 물류기업·구급차도 택했다
- [i-point]크라우드웍스, AI 학습용 데이터 구매 플랫폼 오픈
- [i-point]'코드게이트 2025' 국제 해킹 방어대회 본선 진출자 발표
- [i-point]아이티센클로잇, '파트너스 데이' 개최
- 디앤씨미디어, 보다 끈끈해진 넷마블 관계
- [애경그룹 리밸런싱]AK홀딩스, 유동성 압박 속 추가 매각 카드 꺼낼까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경영권 프리미엄' 145% 기대 근거는
- [애경그룹 리밸런싱]매물로 나온 애경산업, 인수 후보군은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매각, 유동성 넘어 지배구조 정리 '시그널'
- [오너가 무브먼트]서울식품 서인호, 지배력 확대…오너 4세 등장 '눈길'
김동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반전 준비하는 SK온]CAPEX 감소·수주 증가, 모회사 기업가치도 견인할까
- [반전 준비하는 SK온]'가뭄에 단비', 통합법인 첫 배당 인식
- [thebell note]삼성SDI가 만들어 갈 '정답'
- [방산 체급 키우는 한화그룹]㈜한화, 에어로 유증에 9800억 투입…차입부담 불가피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굳건한' HMGMA 동맹, 낙수효과 기대하는 LG·SK
- [반전 준비하는 SK온]SKIET·넥실리스 소재 계열사와 '선순환' 이뤄지나
- 이영준 롯데케미칼 사장, 미래사업 '친환경 수소' 낙점
- SKC, C레벨 직제 정비...'PM부문' CSO 격상
- [반전 준비하는 SK온]SK배터리아메리카, '백조'로 거듭날까
- [반전 준비하는 SK온]'닛산 잭팟' 400조 수주, '다변화' 마침표 찍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