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진씽크빅 K에듀 수출, 중화권 독점 유통 배경은 제프리 청 스튜디오A 대표 적극 구애, 'AR피디아' 미니멈 개런티 확장·발전
이우찬 기자공개 2023-08-03 10:12:32
이 기사는 2023년 08월 01일 10시2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웅진씽크빅이 에듀테크 제품 'AR피디아' 수출로 K에듀 확장 교두보를 마련한 가운데 100억원 규모 관련 제품의 초도물량이 확정됐다. 처음 스튜디오A와 맺은 업무협약 수준의 계약은 최소 물량 보증 계약으로 확장·발전했다. 제프리 청 스튜디오A 대표의 웅진씽크빅을 향한 적극적인 구애 공세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웅진씽크빅은 앞서 5월 23일 스튜디오A와 수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내년 5월 22일까지 1년 단위 갱신이 붙은 조건이었다. 먼저 두 달 만인 지난 7월 31일 내년 7월 30일까지로 계약 기간이 바뀐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계약금액은 102억 4000만원 규모로 특정된 부분이 눈에 띈다. 이는 미니멈 개런티 방식으로 5월 계약 때 없었던 부분이다. 스튜디오A의 판매 실적에 관계없이 102억원가량은 웅진씽크빅의 매출로 그대로 잡히게 된다는 뜻이다. 1년 동안 최소 102억원 규모 AR피디아 제품을 팔 수 있다는 스튜디오A의 자신감이기도 하다. 연간 8만세트다.

지난 5월 최초 계약 체결 이후 두 달여 사이에 빠르게 협의가 진행됐다. 제품력을 확신한 청 대표가 독점 유통권을 달라고 지속해서 구애했다고 한다.
독점 유통 지역은 중국·대만·홍콩·마카오 등 중화권이다. 청 대표의 스튜디오A는 대만에 본사를 둔다. 대만에서 4000여개 학교에 애플 기반 교육 기기를 보급할 만큼 안정적인 유통망을 갖췄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홍콩·마카오 등으로 제품을 확장하는데 큰 무리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웅진씽크빅 관계자는 "스튜디오A는 중화권에서 직영 애플숍을 운영한다"며 "탄탄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지속해서 독점 판매권을 요구했고 'AR피디아' 제품 유통에 자신감을 나타냈다"고 말했다.
웅진씽크빅 쪽에서는 청 대표의 독점 판매권을 향한 지속적인 구애 속에 최소 물량 보증으로 카드를 제안했다고 한다. 두 달 사이 양 쪽 실무진이 한국과 대만을 오가며 계약이 최종 확정된 것으로 파악됐다.
AR피디아는 국내 교육업계 최초로 'CES 혁신상'을 2년 연속 수상한 웅진씽크빅의 대표 글로벌 타깃 에듀테크 제품이다. 책 속 등장인물과 그림 등을 증강현실 기술로 구현해 사용자에게 입체적 독서 경험을 제공하는 차세대 학습 솔루션이다.
청 대표는 'CES 2023'을 통해 'AR피디아'를 접하고 수개월 만에 속전속결 계약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AR피디아' 제품력이 중화권에 있는 유사 제품을 월등히 앞선다고 평가했고 청 대표의 이 같은 자신감이 독점 유통 계약으로 이어진 것으로 평가된다.
웅진씽크빅은 중화권 이외에 일본·미국·남아공·이스라엘 등 복수 국가에 수출 협의를 추진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우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Board Change]'삼성 품' 레인보우로보틱스, 삼전 출신 CFO 이사회 입성
- [피플 & 보드]1400억 투자받은 실리콘투, 보드진 확대 재편
- [피플 & 보드]이마트 사외이사진, 관료 색채 덜고 전문성 '역점'
- [피플 & 보드]롯데쇼핑, 기업 출신 사외이사진 구성 의미는
- [이슈 & 보드]'자산 2조 턱밑' 한신공영, 이사회 정비 언제쯤
- [그룹 & 보드]우오현 SM 회장, 이사회 사내이사 겸직 행렬 이어갈까
- [이슈 & 보드]한일시멘트, 여성 사외이사 선임 난항
- [Board Change]삼성중공업, 사외이사 정관계 출신 선호 '눈길'
- [thebell interview]"컴플라이언스 강화 위해 준법지원인 활성화해야"
- [이슈 & 보드]삼양식품 변신 뒤엔 이사회 변화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