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지주사 자본재분배 성적표]투자사업 선봉 신기사, 수익기여는 아직[F&F홀딩스]④F&F파트너스 조합 잇단 출자, 활용도 제고 가능성 고무적

이민호 기자공개 2023-10-05 07:40:40

[편집자주]

지주사의 주요 역할 중 하나가 그룹 각 계열사에 대한 자본재분배다. 지주사는 재무건전성 우위 계열사로부터 배당수익과 상표권사용수익 등을 수취해 이를 재원으로 유상증자나 사채인수 등 방법으로 열위 계열사를 지원한다. 하지만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무리한 자본재분배는 우위 계열사까지 망가뜨리고 지주사의 재무건전성도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 THE CFO가 각 그룹 지주사의 자본재분배 형태와 이에 따른 재무지표상 변화를 점검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9월 22일 14:25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F&F홀딩스는 투자사업에서 뚜렷한 행보를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 배당금수익과 임대수익 등에 의존해 수익구조가 열악한 탓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F&F파트너스를 통한 투자가 두드러진다. 스타트업 투자를 통해 신성장동력을 발굴하겠다는 의지다. 당장 수익기여는 없지만 향후 F&F홀딩스 가용자금 확대에 따라 F&F파트너스 활용도 역시 높아질 전망이다.

◇신성장동력 발굴 간접투자 지속…F&F파트너스 출범

F&F그룹은 지주사 체제 전환 전에도 F&F를 통해 다수 투자조합과 사모투자펀드(PEF)에 투자해 왔다. 성공적인 국내와 중국 사업으로 현금이 쌓이면서 운용 필요성이 생겨난 데다 그동안 '엠엘비(MLB)'나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Discovery Expedition)' 등 해외 라이선스 브랜드에 의존해 왔던 만큼 스타트업 투자로 신성장동력을 물색해야 하는 과제가 부각됐다.

IMM인베스트먼트와 손잡고 벤처펀드를 조성한 것이 대표적이다. IMM인베스트먼트가 조성한 펀드에 F&F가 앵커출자자(LP)로 참여하는 형태다. 패션과 라이프스타일 분야 플랫폼과 브랜드 관련 스타트업에 투자를 집중한다. 2019년 9월 'IMM스타일벤처펀드 제1호'에 100억원(지분율 95.24%)을 투자한 데 이어 2020년 5월 'IMM스타일벤처펀드 2호'에 50억원(58.14%)을 투자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외부 운용사(GP)의 조합과 펀드에 대한 간접투자에 의존해야 했다. 그룹 내 직접투자 역량을 본격적으로 끌어올린 것은 2020년 12월 F&F파트너스를 출범시키면서부터다. 설립 자본금 30억원 출자에 이어 이듬해 70억원을 추가 출자하면서 신기술사업금융회사 자본금 요건 100억원을 맞췄다.

F&F파트너스는 소비재, 브랜드, 콘텐츠, ICT 등 소비자 라이프스타일과 접점이 있는 이른바 '컨슈머테크(Consumer-Tech)' 분야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핵심 콘셉트로 잡았다. 삼성전자 DMC연구소와 LG디스플레이 연구소 출신으로 엠벤처투자, 네오플럭스, 스퀘어벤처스를 거치며 벤처기업 투자에 경험이 풍부한 노우람 대표이사를 영입했다.

F&F파트너스는 기업형 벤처캐피탈(CVC)로 설립됐지만 신기술사업금융업 라이선스를 얻은 것은 지난해 7월이기 때문에 초기에는 투자조합 GP 형태로 나섰다. 설립과 동시에 조성한 '에프앤에프파트너스 디스커버리1호 합자조합'이 첫 작품이다. 결성총액은 320억원으로 전액 F&F그룹 출자금으로 이뤄졌으며 이 중 F&F가 부담한 금액이 288억원(지분율 90%)이었다. 이 조합은 숏폼·미드폼 드라마 제작사 채널옥트, 밤부네트워크, 와이낫미디어 등에 투자했다.

2021년 5월 F&F그룹의 지주사 체제 전환으로 F&F가 지주사 F&F홀딩스와 사업회사 F&F로 인적분할되면서 F&F파트너스는 F&F홀딩스 자회사로 그대로 남았다. 이에 따라 F&F홀딩스가 F&F파트너스를 앞세워 투자사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됐다.


◇F&F홀딩스 핵심 투자통로…활용 가능성 점증

하지만 분할 이후 그룹의 굵직한 딜인 '테일러메이드(TaylorMade)'나 '세르지오 타키니(Sergio Tacchini)' 출자를 F&F가 모두 책임지면서 F&F홀딩스는 투자사업에서 뚜렷한 행보를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다. F&F는 국내와 중국 사업에서의 성과로 현금을 창출해내고 있지만 F&F홀딩스는 배당금수익과 임대수익 등에 의존해 수익구조가 열악한 탓이다.

현재까지 F&F홀딩스 수익에서 F&F파트너스의 기여도 역시 두드러지지는 않는다. F&F파트너스는 지난해 10월 '에프앤에프파트너스 디스커버리1호 합자조합'을 청산했다. 이에 따라 F&F홀딩스가 회수한 금액이 272억원으로 2021년 1월 출자금(288억원)보다 적었다. 투자성과는 미진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F&F파트너스의 활용 가능성은 크다. 현재 10%대 배당성향(연결 기준·2022년 결산배당 13.8%)에 머무르고 있는 F&F로부터의 배당 확대 등으로 F&F홀딩스의 영업수익이 개선되면 투자사업에도 탄력이 붙어 F&F파트너스 활용도도 그만큼 높아질 전망이다.

실제로 F&F파트너스에 대한 출자는 이어지고 있다. 신기술사업금융업 등록을 마친 직후인 지난해 8월 F&F파트너스는 첫 번째 신기술사업투자조합인 '에프앤에프파트너스 1호조합'을 결성했다. 결성총액은 400억원으로 전액 F&F그룹 출자금으로 이뤄졌으며 이 가운데 F&F홀딩스가 부담한 금액이 360억원(지분율 90%)이었다. 이 조합은 콘텐츠 제작사 바운드엔터테인먼트, 식물성 대체육 제조사 이노하스, 웹툰 지적재산권(IP) 스튜디오 소이미디어 등에 투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이진우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김용관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