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O Change]최재훈 신한카드 부사장, '비카드 강화' 특명재무전문가 선임 기조 변화…영업·마케팅 전문가 발탁
이기욱 기자공개 2024-01-09 12:57:50
이 기사는 2024년 01월 05일 08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한카드의 최고재무책임자(CFO) 선임 기조가 바뀌었다. 최근 수년동안 정통 재무전문가들이 CFO직을 수행했으나 올해는 영업·마케팅 전문가에게 살림살이를 맡겼다. 신임 CFO인 최재훈 신한카드 부사장(사진)은 지난해까지 신한카드 수익다변화 작업을 이끌어온 인물이다. 올해 신한카드 핵심 과제인 비카드사업 강화에 알맞은 운용전략을 펼쳐나갈 것으로 기대된다.◇1991년 LG그룹 입사…RM·DM·CRM팀·회원영업본부 등 경험
신한카드는 최근 수년동안 정통 재무전문가들에게 CFO직을 맡겨왔다. 지난해 경영기획그룹장으로 있었던 김남준 부사장은 옛 LG카드(현 신한카드) 회계팀장, 신한카드 재무기획팀장, 재무기획본부장 등을 지낸 인물이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CFO를 맡았던 문동권 신한카드 사장도 LG카드 경영관리팀장, 신한카드 경영관리팀 부장 등을 지내며 재무와 전략·기획 업무를 오래 담당했다.
최 부사장은 이들과는 다른 경력을 쌓아왔다. 재무, 전략·기획보다는 영업과 마케팅 부문에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1967년 생인 그는 공주사대부속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1991년 LG그룹에 입사한 LG카드 출신 인사로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신한카드 정산업무팀 부장을 지냈다.
2014년 RM(Relationship Management, 관계관리)영업팀 부장, 2015년 DM(Direct Mail)팀 부장, 2016년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관계관리)영업팀 부장 등을 맡았다. RM영업팀과 CRM영업팀을 이끌며 고객 중심의 데이터 수집·분석 기법들을 익혔고 DM팀에서는 MMS 등을 활용한 외부 고객 마케팅 업무도 수행했다.
2017년 중부BU(Business Unit)본부장으로 일선 영업 경험을 쌓은 후 2018년 다시 본인의 전문 분야인 회원영업본부장으로 돌아왔다. 2년 동안 회원영업본부 산하 회원영업팀, CRM영업팀, CS팀, 온라인회원팀 등을 이끌며 회원 확대에 힘 쏟았다. 2017년 1230만명이었던 회원 수는 2019년말 1270만명으로 소폭 늘어났다. 고객센터 AI 상담 도입 등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2020년 금융사업본부장을 1년 지낸 후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동안 Multifinance그룹장을 역임했다. Multifinance그룹은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 장기카드대출(카드론), 자동차금융과 같은 비신용판매 영업을 담당하는 조직이다.
◇최근 3년 '수익 다변화' 선봉장 역할…고수익성 위주 전략 구축 전망
최 부사장이 Multifinance그룹장으로 있는 동안 신한카드의 비신용판매 영업은 안정적인 성장 흐름을 보였다. 2020년말 8조9427억원이었던 카드대출 잔액은 지난해 3분기말 9조6461억원으로 7.9% 증가했다.
할부금융자산도 같은 기간 3조5915억원에서 3조8792억원으로 8% 늘어났고 리스자산도 4조8273억원에서 7조7251억원으로 60% 급증했다. 전체 비신용판매 영업자산은 17조6686억원에서 21조5754억원으로 22.1% 늘어났다. 전체 영업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36.5%에서 55%로 18.5%포인트 확대됐다.
신한카드는 올해 비카드사업 영업 강화에 더욱 힘을 쏟을 예정이다. 자동차금융의 경우 약 8조3000억원을 올해 목표치로 설정했다. 이는 지난해말(약 6조6000억원) 대비 25% 가량 늘어난 수치다. 만기도래 자산 등을 고려하면 매달 약 3000~4000억원의 신규 취급이 이뤄져야할 것으로 분석된다.
최 부사장은 향후 CFO로서 비카드사업 강화 정책에 걸맞는 운용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그동안 쌓아온 카드대출, 비카드사업 부문의 전문성이 적극 발휘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업계 불황으로 실적이 크게 줄어든 만큼 고수익성 위주의 전략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3분기 신한카드의 당기순이익은 4691억원으로 전년 동기(5877억원) 대비 20.2% 감소했다.
조달 측면에서는 지난해와 같은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3분기말 기준 신한카드의 조달 평균 잔액은 42조7149억원으로 전년(42조5626억원)과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다. 회사채 비중도 2022년(45.48%)과 비슷한 45.34%로 나타났으나 평균 이자율이 1.67%에서 2.16%로 0.49%포인트 상승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 [i-point]한컴케어링크, 3년 연속 질병관리청 생산 과제 수행기관 선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종근당·앱클론 동행 전략]소규모 지분투자와 차원이 다르다, '공동개발위' 핵심
- [한독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이노큐브의 비전 바이오 생태계 조력자 'End to End' 지원
- [종근당·앱클론 동행 전략]CGT 전방위 협업, 넥스트는 확장성·안정성 강점 'zCAR-T'
- [종근당·앱클론 동행 전략]표면적으론 CAR-T 사업화, 숨은의미 제약업 'CGT 주도권'
- [thebell interview]알지노믹스, 일리 1.9조 빅딜 유전자 편집 플랫폼 확장 핵심
- 오상헬스, 엔데믹 부진 끊고 '흑자'…"기대할 것 더 있다"
- [동성제약 오너십 체인지]조카에 유리한 신주상장 가능 결론…이사 유지 가처분 주목
- [한독 오픈이노베이션 전략]대형사 맞선 선제투자, 패러다임 전환 구심점 '이노큐브'
- 휴젤, 주가도 '차석용 매직' 순익보다 많은 주주환원
- [Sanction Radar]관세 두렵지 않은 GC녹십자, 알리글로 美 고마진 전략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