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워크아웃]"책임 다했다"는 태영...압박수위 더 높이는 금감원·산은차례로 '자구안 부실' 압박…부동산PF 위기, '첫 단추' 잘 껴야한다는 공감대
고설봉 기자공개 2024-01-08 09:21:11
이 기사는 2024년 01월 05일 15시3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개시를 놓고 태영그룹과 금융 당국간 힘겨루기 양상이 펼쳐진다. 태영그룹 측은 태영건설 위기 진화를 위해 오너일가가 경영책임을 이행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당국은 오너일가가 경영책임을 다하지 않았다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팽팽한 줄다리기가 계속되면서 워크아웃이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키를 쥐고 있는 산은과 금감원이 나서 오너일가의 진정성 있는 경영책임 이행을 거듭 요구했다. 태영그룹은 이미 자구안을 이행했다고 주장하면서 긴장감이 고조된다.
산업은행은 5일 보도자료를 발표하며 태영그룹을 압박하고 있다. 산은은 태영그룹이 제출한 자구책이 실효성이 전혀 없다며 비판했다. 또 기존 약속한 자구책도 미이행하는 등 진정성이 없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산은이 압박 수위를 높인 것은 전날 태영그룹이 발표한 입장문 때문이다. 티와이홀딩스는 지난 4일 보도자료를 통해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산업은행에 약속한 그룹 차원의 자구계획 중 자회사인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대금 1549억원 중 잔액 259억원이 어제 일자로 태영건설에 지원됐다”고 주장했다.
티와이홀딩스는 이 가운데 연대보증 리테일 채권 상환에 대해 “워크아웃 신청으로 즉시 채무를 상환해야 하는 태영건설을 대신해서 티와이홀딩스가 개인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직접 상환한 것”이라며 “자구계획 내용대로 매각대금 전액이 태영건설을 위해 사용이 완료됐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산은은 재반박했다. 산은은 “태영그룹은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부족자금을 조달하는 방안으로 ①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1549억원을 태영건설에 지원, ②에코비트 매각 추진 후 매각대금을 태영건설에 지원, ③블루원의 지분 담보 제공 및 매각 추진, ④평택싸이로 지분(62.5%) 담보제공을 제출 및 확약했다”고 밝혔다.
이어 “주채권은행은 당초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중 세금 등을 제외한 2062억원 전액을 태영건설에 지원할 것을 수 차례 요청하였으나, 태영그룹은 윤재연씨는 경영 책임이 없다는 사유로 해당분 513억원을 지원할 수 없다고 강하게 거부했다”며 “이에 따라 티와이홀딩스(1133억원)와 윤석민씨(416억원)가 수취한 대금인 1549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 산은은 “당초 티와이홀딩스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신청일인 2023년 12월 28일 1133억원을 태영건설에 대여하는 이사회 결의를 하고 공시하였으나, 2023년 12월 29일 400억원, 2024년 1월 3일 259억원만 대여했다”며 “태영그룹은 2024년 1월 4일 보도자료에서 티와이홀딩스가 연대채무 해소를 위해 사용한 890억원을 포함해 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1549억원 전액이 태영건설을 위해 사용 완료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산은은 “태영그룹의 이러한 주장은 경영권 유지를 목적으로 티와이홀딩스의 연대보증채무에 사용한 자금을 태영건설 지원으로 왜곡하는 것”이라며 “태영그룹은 “워크아웃 신청으로 즉시 채무를 상환해야 하는 태영건설을 대신해서 티와이홀딩스가 개인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직접 상환한 것”라고 주장하는데, 이는 워크아웃의 기본 원칙과 절차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잘못된 내용”이라고 비판했다.

이 원장은 4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태영건설이 협력업체나 수분양자, 채권단 손실을 위해 지원하기로 한 제일 최소한의 약속부터 지키지 않아 당국 입장에서 우려와 경각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태영건설이 전날 발표한 자구계획에 대해 "채권단 입장에서는 태영건설 자구계획이 아니라 오너일가 자구계획"이라며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뼈를 깎는 자구노력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 지금 와서 보면 채권단 입장에서는 남의 뼈를 깎는 노력"이라는 표현을 쓰며 질타했다.
금융 당국 수장이 직접 나서 이례적으로 대주주를 압박하는 것은 이번 태영건설 워크아웃이 향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진화의 이정표가 되기 때문이다. 개별 기업 워크아웃을 주관하는 곳은 산은이지만 정책적으로 부동산 PF 부실이 금융권과 실물경제 전반으로 번지는 것을 막는 역할은 금감원에서 담당한다.
고금리 장기화와 부동산시장 침체로 부동산 PF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태영건설 이후 연속해 다른 건설사들이 워크아웃에 돌입할 수 있다는 위기론도 제기된다. 향후 부동산 PF발 다양한 형태의 과제가 즐비한 가운데 첫 타자인 태영건설부터 단추를 잘못 꿰면 자칫 당국이 끌려다닐 수 있다는 위기론이 정부와 당국 일각에서 제기된다.
국책은행 구조조정 전문가는 “소위 ‘팔 비틀기’라는 용어를 쓰는데 워크아웃 개시 전에 대주주 경영책임을 묻는 과정이 가장 중요하고 힘이 많이 드는 과정”이라며 “초기에 이걸 잘 못하면 워크아웃 자체의 성과를 도출하지 못한채 표류하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그는 “공적자금의 활용 면에서 볼 때 워크아웃 전제조건은 대주주 경영책임을 정확히 진단하고 그에 따른 의무를 다하게 만드는 것”이라며 “현재 태영그룹 측이 완강한 입장을 보이는 데 대해 산은을 넘어 당국 차원에서 더 강하게 압박하고 있는데, 그만큼 이번 사안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아이씨티케이, WIPO 글로벌 어워드 최종 후보 선정
- [영상]항공시장 다크호스 대명소노, 티웨이항공에서 멈춰선 이유는
- 코스닥 오너의 투자조언
- [i-point]에이루트, 무상감자 결정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 [i-point]한컴케어링크, 3년 연속 질병관리청 생산 과제 수행기관 선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영상]항공시장 다크호스 대명소노, 티웨이항공에서 멈춰선 이유는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한진그룹, LS그룹과 혈맹…리스크 선제적 차단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탄탄해진' 한진그룹 지배력...KCGI 분쟁 때와 다르다
- [경영권 위협받는 한진칼]지배구조 취약한 국적항공사…우호지분 45.5% '이상무'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에어프레미아, 취항편 늘렸지만 고객 유치 실패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티웨이항공, 장거리노선 '정상궤도' 올릴 수 있나
- [감액배당 리포트]엠에스오토텍, 자회사 명신산업 자본금 대규모 회수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다크호스' 대명소노, 티웨이항공에 '올인'
- [항공시장 경쟁체제 점검]'메가 LCC' 출범 무산, 고착화된 '1강 다약’
- '한온시스템 인수' 한국타이어, 최대 매출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