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에쿼티는 지금]'단기 호재 추구' 투자 스타일 변화, 인력이탈로 이어졌나②'마켓컬리·두나무' 등 고밸류 투자, 허리급 인력 연쇄 이동
임효정 기자공개 2024-01-23 07:42:23
[편집자주]
앵커에쿼티파트너스가 설립된 지 12년이 지났다. 앵커에쿼티는 한국시장을 주 무대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일에 감춰져 있는 하우스로 꼽힌다. 투자는 국내에서 주로 이뤄지지만 실탄은 해외시장에서 확보하기 때문이다. 10여년간 국내에서 포트폴리오를 차곡차곡 쌓아온 앵커에쿼티의 움직임이 최근 심상치 않다. 엑시트 난항, 인력 이탈로 하우스의 위상이 예전 같지 않은 분위기다. 더벨은 앵커에쿼티의 10여 년간 성장 과정과 현재를 짚어봤다.
이 기사는 2024년 01월 17일 10시31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시장에서 승승장구해왔던 앵커에쿼티파트너스에 이상감지 신호가 감지된 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시장에서는 10여 년간 한국시장에서 보여줬던 투자 스타일이 몇년새 급변하면서 앵커에쿼티의 위상도 달라졌다고 입을 모은다.볼트온의 정석을 보여줬던 앵커에쿼티가 공격적으로 투자를 단행하면서 내부에서도 의구심이 컸던 것으로 알려진다. 이와 맞물려 상무급을 포함해 실무진 인력이 줄줄이 이탈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됐다.
◇소수지분 투자 정석→바이아웃·단기호재성 추구
앵커에쿼티는 차별화된 투자 패턴으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해왔다. 소수지분 투자로 시작해 일정기간 이후 바이아웃으로 전환하는 패턴이다. 앵커에쿼티의 과거 투자이력을 살펴보면 처음부터 경영권 지분을 인수하는 경우는 보기 드물다. 폐기물업체나 헬스밸런스 등의 경우 첫 투자부터 바이아웃을 단행했지만 이 외에 투썸플레이스, 이투스, 메타엠 등은 소수 지분투자를 시작으로 경영권을 확보한 사례였다.
이 같은 투자 스타일이 달라진 건 2021년 국내 간편식(HMR) 1위 업체인 프레시지의 경영권을 사들이면서다. 처음부터 곧바로 바이아웃을 단행하며 최근 몇 년간의 투자 패턴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 셈이다.
프레시지를 기점으로 투자 패턴은 180도 바뀌었다. 앵커에쿼티는 이전과 달리 단기적으로 호재가 있는 곳에 투자하는 모멘텀 플레이 전략을 구사해오면서 다소 공격적인 투자 행보를 보였다. 마켓컬리와 두나무 역시 앵커에쿼티의 달라진 투자 스타일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였다.
문제는 투자 성과가 뒤따라 주지 않았다는 점이다. 투자 이후 해당 포트폴리오의 기업가치가 쪼그라들면서 당시 밸류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 연출됐다. 앵커에쿼티는 2021년 마켓컬리가 진행한 프리IPO에 참여해 2500억원을 수혈했다. 마켓컬리는 이 과정에서 4조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 하지만 현재 기업가치는 4분 1도 채 되지 않는 실정이다. 두나무 역시 2022년 초 기업가치가 15조원 수준이었지만 가상자산의 평가 가치가 떨어지면서 투자 당시 밸류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형국이다.
마켓컬리 투자로 해외 LP가 앵커에쿼티를 바라보는 시선도 달라졌다는 후문이다. 앵커에쿼티는 마켓컬리 고밸류 투자 탓에 최근 해외LP로부터 따가운 시선을 받자 한동안 투자시계를 멈추기도 했다.

◇상무급 이하 실무진, 1년새 5명 퇴사
조직도 타격을 입었다. 운용인력 이탈이 더해지면서 하우스 평판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볼트온의 정석을 보여줬던 앵커에쿼티가 공격적으로 투자를 단행했고, 이 과정에서 투자 전략 방향성에 의문을 가진 인력들이 이탈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앵커에쿼티의 창립멤버는 안상균 대표, 변성윤 대표, 위세욱 부사장 등이다. 현재 안상균 대표가 아시아 대표로 총괄하고 있는 가운데 변성윤 대표가 한국을 도맡고 있다. 창립멤버인 위세욱 부사장을 포함해 서재섭 부사장, 이규현 전무도 키맨으로 꼽히는 인물이다.
키맨들을 주축으로 투자 행보를 이어가는 가운데 최근 주요 실무진들의 이탈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1년 사이 하우스를 떠난 주요 실무진은 5명가량으로 파악된다. 상무급 포함해 부장급 인력이 연쇄 이동한 셈이다. 다른 업계인 크래프톤으로 이직한 사례도 있지만 포레스트파트너스, KKR, EQT파트너스 등 동종 업계로 적을 옮긴 사례가 대부분이었다.
이직 행렬이 이어진 데는 하우스의 투자 패턴이 바뀐 영향만은 아니다. 여러 원인이 결합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국내 시장에서의 소통 부재가 실무급 인력들에겐 경험을 쌓는 데 제약이 된다는 시각도 나온다.
앵커에쿼티의 경우 국내 LP와의 접점은 전무하다. 지금까지 4개의 펀드를 결성하면서 모두 해외 시장에서 자금을 확보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투자경력을 쌓고 있는 실무진 입장에서는 국내 LP와의 네트워크 부재가 아쉬운 대목일 수 있다. 안상균 대표 체제 하에 의사 결정이 이뤄지다보니 인력 이탈을 줄이기 위해선 수평적 조직문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주를 이룬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위세아이텍, 대한소방공제회 사업 수주…데이터 기반 행정 고도화
- [i-point]감성코퍼레이션, 75억 규모 자사주 취득·소각
- [thebell note]글로벌세아그룹의 민간외교
- [thebell interview]"왓타임, 중고시계 1등 플레이어 목표…일본 공략"
- [VC 투자기업]리코, 585억 시리즈C 투자 유치…업박스 고도화
- 오거스트벤처, 영화투자 강자 급부상 '비결은'
- [김화진칼럼]보험 사기
- [리걸테크 스타트업 점검]엘박스, 투자 혹한기 깨고 시리즈C 성료 임박
- [달바글로벌 road to IPO]구주매출 고사한 FI…'오버행 우려' 기우일까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13곳 몰린 재도약, 나우IB·교보증권 탈락 이변
임효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회생 M&A' 신한정밀공업, 주관사로 삼일PwC 낙점
- [thebell League Table]M&A 시장 주도한 'SI', 조단위 딜도 꿈틀
- KDB-하나, 이랜드파크 메자닌 '수익률 9.7%' 내걸었다
- 웅진씽크빅, ‘프리드라이프 인수’ 우군 나서나
- 옐로씨-비전벤처스가 품는 코아솔, 투자 포인트 '삼성전자 협력'
- '2대주주' 앵커에쿼티, SK일렉링크 경영권 노린다
- E&F-IS동서, 매각 앞둔 '코엔텍' 3800억 리파이낸싱 추진
- 'MBK 포트폴리오' 네파, ABL로 300억 조달한다
- 어피니티, '락앤락' 2000억대 리파이낸싱 추진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분쟁 장기화 여파' NH증권, 1.5조 브릿지론 연장 '불가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