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한국벤처캐피탈대상]쏠레어파트너스, 투자 혜안이 낳은 '서울의봄' 잭팟[Best venture Capital House(문화체육부장관상)]잠정 110% 수익률 기록, '영화 명가 VC' 우뚝
구혜린 기자공개 2024-02-26 08:18:20
이 기사는 2024년 02월 23일 14시5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쏠레어파트너스는 지난해 1300만 관객을 동원한 영화 '서울의 봄' 투자로 잭팟을 터뜨렸다. 2017년 출범 이후 영화 투자 '한 길'만을 고집해 온 끝에 받아든 결과물이다. 밤낮으로 핵심 운용역들이 시나리오를 검토하며 2000억원가량의 프로젝트 투자를 이어온 결과, '국내 최대 영화 투자 전문 벤처캐피탈(VC)'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는 모양새다.쏠레어파트너스는 23일 더벨과 한국벤처캐피탈협회가 주최·주관한 '2024 한국벤처캐피탈대상'에서 문화콘텐츠 부문 최고의 벤처캐피탈(Best venture Capital House)로 선정됐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은 지난해 투자 또는 회수가 이뤄진 작품 중 가장 우수한 성과를 거둔 하우스에 수여한다.

이어 "침체된 문화 콘텐츠 투자 시장을 잘 주도하란 의미로 상을 주신 것으로 받아들이겠다"고 덧붙였다.
쏠레어파트너스가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을 받은 것은 2021년 이후 두 번째다. 쏠레어파트너스는 CJ ENM(옛 CJ인터테인먼트) 출신 최평호 대표가 2017년 설립한 유한책임회사(LLC)형 VC로 문화 투자 전문 하우스로 국내에서 입지를 다져왔다.
올해 수상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포트폴리오는 '서울의 봄'이다. 지난해 11월 개봉한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12일 서울에서 펼쳐진 군사 반란 사건을 담은 영화다. 배우 황정민과 정우성이 주연을 맡아 열연했다. 2030세대가 자세히 알기 어려운 역사적 사실을 흥미롭게 풀어 연출하며 극장행을 이끌었다. 그 결과 이달 기준 1300만 관객을 돌파하는 기염을 토했다.
쏠레어파트너스는 영화의 배급 및 메인 투자를 맡은 메가박스중앙의 영화 제작·배급 사업부 플러스엠엔터테인먼트 다음으로 많은 제작비를 태웠다. 보유 펀드를 통해 서울의 봄 총 제작비(232억원)의 약 10%를 투자했다. 아직 모든 회수가 완료되진 않았으나, 약 110%의 내부수익률(IRR)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된다.
흥행 포트폴리오를 낳은 건 우연이 아니다. 다년간 다져진 쏠레어파트너스의 투자 혜안에 기안한 결과다. 쏠레어파트너스는 한국영화 인덱스펀드, 컬처플러스, 메인영화, 스케일업 펀드 등으로 2017년 이후 현재까지 총 238개 프로젝트에 1971억원을 투자했다. 최 대표와 더불어 이영재 부사장 등 주요 심사역은 매달 최소 수십 편의 시나리오를 샅샅이 분석하는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이들의 '히트작'은 서울의 봄에 그치지 않는다. '기생충', '승리호', '범죄도시2', '헤어질 결심', '브로커', '82년생 김지영', '엑시트' 등 K-컬처를 세계에 알린 작품에 투자해왔다. 팬데믹 발생 이후 모든 문화 콘텐츠 펀드 전문 운용사가 투자 규모를 줄였음에도 국내 유일하게 적극적인 투자를 이어간 결과 '영화 투자 명가 VC' 입지를 다졌다.
올해 '케이엔터홀딩스(K Enter Holdings Inc.)'의 나스닥 상장으로 또 한 번 도약을 맞을 예정이다. 쏠레어파트너스는 당사를 주축으로 국내 7개 유명 제작사들을 모아 합병법인 케이엔터홀딩스를 설립할 예정이다. 이 법인은 현재 스팩(SPAC, 기업인수목적회사) 합병 방식의 나스닥 상장을 추진 중이다. 상장이 완료되면 자본력을 갖춘 LP 모집, 글로벌 시장 콘텐츠 공급이 수월해질 전망이다.
문화 투자 전문 VC에선 찾아보기 어려운 역외펀드 결성도 기대되는 부분이다. 최평호 대표는 "지난해 싱가포르 법인을 설립하고 상반기 중 한국 솔루션, IP 기업에 투자하는 역외펀드를 론칭할 예정"이라며 "새로운 콘텐츠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투자를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구혜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빌리언폴드, '마켓뉴트럴' 진검승부…해외펀딩 총력
- 라이프운용, 해외 패밀리오피스서 300억 펀딩
- '1조 대어' 리브스메드, 미국 1800개 병원 공급망 뚫었다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밸류시스템, 수익률 선방…'내러티브 숏' 집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하반기 출범' 안다글로리, 전략 다양화 개시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대표 하우스' 타임폴리오 물만났다…'국장' 집중 모드
- KB운용 'RISE 미국은행TOP10' 첫 배당 언제쯤
- 타임폴리오, 공매도 재개에 100% 롱숏펀드 내놨다
- 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 인니 IDC 개발 프로젝트 '순항'
- 오라이언운용, 한파 뚫고 역대 최대 코벤펀드 클로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