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비율 2500%' HDC신라면세점, 연이은 수장 교체 고육지책 HDC·호텔신라 각각 1명씩 대표 선임, 적자 누적으로 건전성 악화일로
변세영 기자공개 2024-03-12 09:26:21
이 기사는 2024년 03월 05일 14시2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HDC신라면세점이 HDC현대산업개발 이완희 경영혁신부문장을 새 신임 공동대표로 수혈하며 또 한 번 인적 쇄신을 단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호텔신라 소속 유찬 상무가 수장으로 내정된 후 1년여 만에 이뤄진 최고경영진 교체다. HDC신라면세점의 실적이 큰 폭으로 꺾이면서 돌파구를 찾고 있는 상황으로 해석된다.면세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이완희 HDC현대산업개발(HDC현산) 경영혁신부문장이 HDC신라면세점 신임 공동대표이사로 취임했다. 이 신임대표는 HDC신라면세점 출범 당시 회계팀장을 맡았던 인물이다. 이후 HDC현산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지난달을 기점으로 다시 복귀하게 됐다.
HDC신라면세점은 지난 2015년 HDC와 호텔신라가 절반(50%)씩 출자해 합작으로 설립된 법인이다. 대표이사도 HDC 측과 호텔신라에서 각각 1명씩을 선임해 공동대표로 선임해 왔다. 문제는 최근 5년간 최고경영진(CEO) 교체가 빈번했다는 점이다. 공동대표가 합을 맞추는 기간이 1년 안팎을 넘기지 못하면서 불안정한 경영 환경이 조성됐다는 평가다.
이는 한풀 꺾인 실적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HDC신라면세점은 출범과 동시에 2016년 매출액 3635억원을 기록하며 선전했다. 2019년에는 무려 7694억원에 달했다. 이후 코로나 여파로 2020년 매출액이 3777억원까지 떨어졌다. 당시 영업손실만 274억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
2021년부터는 실적이 반등세에 올라탔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으로의 회복은 요원한 상황이다. 아직 지난해 실적이 공개되진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따이궁 수요 등이 감소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HDC신라면세점이 지난해에도 적자를 탈피하지 못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적자가 누적되면서 재무건전성도 취약해진 상태다. 2019년 부채비율은 299%에서 2020년 516%, 2022년 말 기준 2580%까지 치솟았다. 같은 기간 단기차입금 의존도도 2019년 20%대에서 2022년 51%까지 확대됐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호텔신라와 HDC는 이미 HDC신라면세점 장부값을 각각 '0원'으로 처리하고 지분법 적용을 중단한 상태다.
신임 대표를 맞은 HDC신라면세점은 올해 유망한 K패션 브랜드 발굴에 손을 걷고 실적 반등을 도모하겠다는 목표다. 그간 면세업계는 고가의 화장품에 크게 의존해 왔는데 이를 탈피해 MD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취지다.
지난해 용산 면세점에 'K-패션 브랜드 존'을 오픈하며 신규 브랜드를 다수 발굴한 게 대표적인 성과다. 일례로 우알롱의 경우 기존에 온라인에서만 사업을 전개했는데 처음으로 오프라인으로 영토를 확대하는 데 성공했다. 이밖에 프랑소와 저버, 벤셔먼 등도 면세점 최초 단독 오프라인 매장을 열었다.
HDC신라면세점 관계자는 “이완희 대표는 면세 경험도 보유하고 사업기획 등에 정통한 인물”이라면서 “화장품만으로는 고객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운 만큼 새로운 브랜드 입점을 늘리고자 MD부문에서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위세아이텍,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역량 '재입증'
- [RWA가 쏘아올린 VC 펀딩난]종투사 모험자본 투자 의무화, 출자 숨통 틔울까
- 세라젬, '셀트론 순환 체어' 신규 출시
- '융복합 테마파크' 모노리스, 대성파인텍 품에 안긴다
- [VC 투자기업]아이벡스메디칼, 140억 시리즈C 유치…IPO '시동'
- [VC 투자기업]앱테크 '마이비' 운영 원셀프월드, 프리A 오버클로징
- '정성재호' BNK벤처, 지역투자 선봉장 면모 '눈길'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약국 생태계 확장' 바로팜, 올해 1000억 매출 조준
- [VC 투자기업]'유전자 치료기술' 글루진테라퓨틱스, 50억 유치 순항
- [VC 투자기업]캐스팅엔, IPO 주관사에 미래에셋…2027년 상장 목표
변세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롯데월드는 지금]테마파크 춘추전국시대, '점프업' 키워드는
- [퍼포먼스&스톡]강원랜드, 매출 감소에도 규제 완화 기대감 '우상향'
- 폰드그룹, '떡잎 발굴 성공적' M&A 성적표 '눈길’
- [롯데월드는 지금]중국서 못 핀 꿈, 베트남에서 '절치부심'
- [IR Briefing]CJ제일제당, '온라인 강화’ 국내사업 ‘반전 모색’
- 외식 키우는 한화갤러리아, 오민우 상무 '무거운 어깨'
- [Company Watch]한샘, 방배점 매각… 자산 유동화 '박차'
- [롯데월드는 지금]5년 만에 수장 교체, 전략가 권오상 체제 '돌입'
- [퍼포먼스&스톡]현대리바트, 'B2C 기대감 유효' 손익 개선 시그널
- [CFO 워치/이마트24]김성훈 상무, ‘공시의무 확대’ 핸들링 중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