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경영분석]웰컴저축, 충당금 영향 '제한적'…영업력 약화 '고민'지난해 순이익 302억, 충당금 2% 증가…부동산 대출채권 연체율 8.6%
김서영 기자공개 2024-04-02 13:04:14
이 기사는 2024년 04월 01일 13시5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해 웰컴저축은행의 순이익이 전년에 비해 3분의 1 수준으로 악화됐다. 다른 저축은행은 대손충당금 적립률 강화로 수익성 악화에 직격탄을 맞았다. 이와 달리 웰컴저축은행은 전년보다 대손충당금이 100억원도 늘지 않아 영향이 제한적이었다.다만 약회된 영업력이 가장 큰 고민으로 떠올랐다. 이자수익은 전년과 비슷한데 이자비용이 크게 오르며 충당금적립전 이익이 눈에 띄게 줄었다. 수익성 지표도 나빠졌다. 웰컴저축은행은 적극적인 연체율 관리, 충당금 적립 확대 등 재무 안정성과 건전성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순이익 302억, '68%' 감소…충당금 적립액 소폭 증가
1일 웰컴저축은행은 '2023년 경영 실적 결산'을 공시했다. 웰컴저축은행은 지난해 302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936억원)과 비교해 67.73% 감소한 수치다. 저축은행업계는 전체 5000억원이 넘는 순손실을 기록했는데 순이익 감소 폭은 SBI저축은행이 72.87%, OK저축은행 48.7% 정도로 나타났다.
순이익이 크게 감소한 데는 영업이익 축소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충당금적립전 이익을 뜻하는 업무이익은 작년 말 2201억원으로 전년(3046억원)에 비해 27.74% 감소했다. 이는 이자수익은 6112억원으로 51억원 줄어든 데 반해 이자비용이 2388억원으로 963억원 증가하면서 이자이익이 전년보다 1014억원 감소한 3724억원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대손충당금 적립률 강화는 저축은행업계 전체에 적용되는 정책 변수였으나 웰컴저축은행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지난해 대손충당금 적립 규모는 1809억원으로 전년(1771억원)에 비해 2.15% 소폭 증가에 그쳤다.

다만 부동산 대출채권과 관련해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 작년 말 기준 웰컴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채권 연체액은 291억원으로 연체율이 4.94%를 기록했다. 2022년 말에는 0.01%에 불과했던 연체율이 5% 가까이 오른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건설업과 부동산업 연체율은 각각 10.56%, 10.97%를 기록하며 모두 10%를 넘었다. 전년까지만 해도 건설업과 부동산업 대출채권 연체율은 2%도 채 되지 않았다. 전체 부동산업 관련 대출채권 규모는 1조5467억원이고 연체액은 1334억, 연체율 8.62%로 나타났다.
웰컴저축은행은 "부동산 경기 위축, 경기회복 둔화 등 시장 환경의 어려움이 있으나 리스크 관리와 건전성 개선에 지속적으로 힘쓴 결과 손실흡수 능력은 충분하다"며 "적극적인 연체 관리, 충당금 적립 확대 등 재무 안정성 및 건전성 관리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총자산 1년 새 1.2조 감소…10년 만에 ROA 1% 아래로
올해 웰컴저축은행의 또 다른 경영 고민은 수익성 개선이 될 전망이다.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보수적인 기준으로 대출을 취급하고 있고, 신규 영업도 예년에 비해 위축된 모습이다. 이는 곧 수익성 약화로 이어졌다.
실제 작년 말 기준 총자산 규모가 5조8953억원으로 전년 말(7조1261억원)과 비교해 1조2308억원 줄어들었다. 총자산 가운데 대출채권에서만 9001억원이 줄어들어 작년 말 4조4553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모두 감소했다. 작년 말 기업대출은 2조3811억원, 가계대출은 1조9168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각각 16.7%와 18.6% 줄었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모두 규모가 줄어들면서 구성비에도 큰 변화가 없었다. 기업대출 비중은 49.82%, 가계대출 비중은 40.11%로 나타났다.
특히 눈여겨볼 점은 수익성 악화다.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이익률(ROA)이 1% 아래로 떨어지면서 영업력 위축이 수치로 드러났다. 작년 말 기준 ROA는 0.46
%로 1년 새 0.91%p 하락했다. 웰컴저축은행의 ROA가 1%에 미치지 못한 건 2013년 이후 10년 만이다. 2013년 ROA는 -1.97%를 기록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저평가 시그널: PBR 0.3]주주환원율 높인 DL이앤씨, 올해 PBR 개선 ‘기대’
- TSMC CFO의 자신감
- [Financial Index/생명보험]가중부실자산비율 평균 0.19%, 하나생명 가장 높아
- [저평가 시그널: PBR 0.3]OCI그룹, 저평가 극복전략은 '본업경쟁력' 회복
- [Financial Index/지방은행]압도적 선두 '광주', 고전하는 '제주'…ROE 격차 11%p
- [thebell interview]양영근 CFO, '위기 설계도' 그리는 구원투수
- [Financial Index/증권사]평균 유동비율 123%, 단기 유동성 관리 '양호'
- [Board Match up/한국 vs 미국 은행]우리금융, 역량 평가 진일보…씨티·웰스파고 등도 세분화
- [Auction Highlights]서울옥션, 300호 이우환 대작의 향방 주목
- [조달전략 분석]SK어드밴스드, 회사채 중심 조달로 차입 3배 증가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현대건설 SMR 리포트]'시공부터 전력 판매까지' 차세대 원전 청사진은
- [건설리포트]한신공영, 포항 펜타시티 준공에 재무 개선 '톡톡'
- [현대건설 SMR 리포트]대형원전 자신감, 소형화 경쟁 우위 점할까
- [건설리포트]'흑자전환' 동부건설, 수익형 수주 전략 통했다
- [지배구조 분석]우미건설, 자회사 합병해 '선택과 집중'
- [건설리포트]'회생졸업 9년차' 동아건설산업, 3년 연속 외형 성장
- [Company Watch]금강공업, '100억대' 모듈러 생활관 수주 낭보
- [Company Watch]자이에스앤디, 시행사 '러브콜' 수주잔고 3조 육박
- [건설리포트]HL디앤아이한라, '역기저효과' 속 자체사업 성과 기대
- [CFO 워치]김정훈 한신공영 전무, 신용등급 전망 개선 '첫 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