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파이낸스 분석]SK넥실리스, 자회사 증자에 재무 체력 '흔들'[전지박] ①작년 ROE -18%, 차입금 1조 돌파 후 추가 빚 내고 2800억 자회사 증자
박기수 기자공개 2024-04-12 08:15:10
[편집자주]
광풍이 몰아쳤던 2020년대 초반을 지나고 국내 배터리 사업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유럽, 미국 등에서 전기차 수요가 감소하고 이에 배터리 관련 기업들의 수익 전망이 전보다 어두워졌다. 손익의 악화는 부정적이지만 '이보 전진'을 위한 성장통일 수도 있다. THE CFO는 2024년 현재 한국 배터리 밸류체인에 속한 기업들의 재무 현주소와 향후 과제를 짚는다.
이 기사는 2024년 04월 02일 15시59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전지박 기업 SK넥실리스가 작년 실적 부진에 이어 올 초 자회사 유상증자 여파로 재무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SK넥실리스는 작년 연결 기준 58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순손실은 1066억원을 기록했다. 자기자본이익률(ROE)는 -18.2%를 기록했다. 작년 말 부채비율은 2022년 말 대비 21.4%포인트 높아진 140.1%를 기록했다.
◇공급과잉에 판가 하락, 매출원가율 '99%'
SKC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전지박 사업의 원재료인 구리·동과 PI필름의 가격은 톤당 약 1117만원으로 2022년 1133만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매출원가율은 2022년 대비 크게 상승했다. 연결 기준 SK넥실리스의 매출원가율은 2022년 81.4%에서 작년 99.2%로 높아졌다.
원재료 가격은 큰 변함이 없었으나 동박 제품 가격에 큰 변화가 있었다. 작년 중국 내 회로박 제조사들이 전지박으로 라인을 전환하면서 공급량이 증가해 전지박의 평균 판가가 하락했다. 이에 매출이 급감하면서 매출원가율이 100%에 육박하는 결과를 낳았다. 작년 매출은 6243억원으로 2022년 8101억원 대비 29.8% 하락했다.
SK넥실리스의 원가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원재료 매입 등 재고자산 변동이다. 작년 6193억원의 매출원가 중 재고자산 변동분은 4092억원으로 원가의 66.1%에 해당했다. 인건비와 감가상각비 등 고정비 성격의 비중도 무시할 수준은 아니다. 작년 기준 매출원가에서 인건비와 상각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9%, 9.1% 수준인 것으로 분석된다.
작년 영업손실은 580억원으로 감가비를 가산한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39억원으로 겨우 적자를 면했다.
비용 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판가 상승이 가장 확실한 길이다. 다만 중국발 공급 과잉과 더불어 유럽 등 메인 시장에서의 전기차 수요 둔화로 인해 전지박 산업 시황 역시 불투명하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이익 났을 때도 재무부담 가중, FCF 마이너스 행진
SK넥실리스는 최근 공격적으로 시설 투자에 나서고 있다. 작년 말 기준 연결 유형자산은 1조7749억원으로 2022년 말 1조108억원 대비 75.6% 늘어났다. 2021년 말(4738억원)보다는 무려 275% 늘어났다.
영업흑자를 냈던 지난 날에도 SK넥실리스의 잉여현금흐름(FCF)은 적자였다. 다시 말해 영업에서 벌어들인 현금보다 운전자본관리와 시설투자에 들어간 현금이 훨씬 많았다는 뜻이다. 2021년과 2022년 각각 2550억원, 95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했음에도 SK넥실리스의 재무 부담은 가중됐다.
실제 작년 말 연결 기준 SK넥실리스의 부채비율은 140.1%로 2022년 말 118.7%보다 21.4%포인트 높아졌다. 총차입금은 2022년 말 7566억원에서 작년 말 1조1286억원으로 49% 늘었다. 순차입금비율과 차입금의존도는 2022년 말 각각 54.6%, 41.4%에서 작년 말 96.1%, 46.6%로 상승했다.
작년 말 대비 SK넥실리스의 재무 상황은 추가로 악화했을 가능성이 크다. 작년 말 SK넥실리스는 폴란드 공장을 지배하는 기업이자 SK넥실리스의 자회사인 넥실리스 매니지먼트 유럽(Nexilis Management Europe B.V.) 유상증자에 참여해 2800억원을 투입했다. 작년 말 SK넥실리스의 별도 현금성자산은 83억원으로 대부분의 증자 재원을 차입으로 마련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 음극재 기업 재무지표 한 눈에 보니, 한솔케미칼 '우수'
- 대주전자재료, CAPEX 비중 70% 돌파…이자부담 '심화'
- 애경케미칼, 업황 부진 실감…차입부담 수면 위로
- '4월 상업 생산' SKMG14, 지주사 자금력에 쏠리는 눈
- '음극재 투자' 엠케이전자, 아쉬운 기초체력
- 재무 잠재력 넘치는 한솔케미칼, 보수적 기조 틀 깰까
- 양극재 5사 한 눈에 비교해보니, 엘앤에프 '적신호'
- LG화학, 재무라인 노하우로 양극재 수익성 '선방'
- 코스모신소재, 나홀로 '평가손실 0원'…ROE 업계 최고
- '원가관리 혈안' 포스코퓨처엠, 현금 4조 홀딩스 뒷배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캐시플로 모니터]한화 3형제 가족회사 한화에너지, 가용 현금만 5000억
- [조선업 리포트]한화오션, 든든한 자금줄 산은 덕 현금흐름 '이상무'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순현금만 93조…차입 부담 버거운 호텔신라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영업익 본 궤도로…수익성 독보적 1위 삼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重 매출성장 1위, 삼바·삼전도 반등…고민 깊은 SDI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한화에어로, 차입 조달했어도 부채비율 유럽과 '비슷'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오션 연결로 부채비율 낮췄는데…유증이 최선이었나
- [Financial Index/삼성그룹]1년새 주가 어디가 올랐나…금융사·삼성重·삼바 '미소'
- 손재일 한화에어로 대표 "유증이 최선의 방법"
- ROE에 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