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집단 톺아보기]효성, 20년전부터 준비된 계열분리 밑그림2000년 중반 삼형제 승계 비히클 확보, 부동산 임대 통한 안정적 수익 창출
김소라 기자공개 2024-04-17 08:21:17
[편집자주]
사업부는 기업을, 기업은 기업집단을 이룬다. 기업집단의 규모가 커질수록 영위하는 사업의 영역도 넓어진다. 기업집단 내 계열사들의 관계와 재무적 연관성도 보다 복잡해진다. THE CFO는 기업집단의 지주사를 비롯해 주요 계열사들을 재무적으로 분석하고, 각 기업집단의 재무 키맨들을 조명한다.
이 기사는 2024년 04월 08일 07시40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효성그룹이 계열 분리 신호탄을 쐈다. 지난 2월 그룹 분할을 발표하며 본격적인 오너 3세 시대의 출발을 공식화했다. 금번 분기 중 임시 주주총회를 개최해 해당 안건을 검토하고 하반기 2개 지주사 체제를 가동한다는 목표다.오너 3세, 독립 경영의 시작은 오랜 기간 철저히 준비된 시나리오의 결과물이다. 그룹이 2개로 쪼개지기 위한 초석 다지기 작업이 내부적으로 꼼꼼히 진행돼 왔다. 승계, 지분 정리 등 3세 경영 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자금력 마련 및 구심점 확보 작업이 순조롭게 전개돼 왔다.
그룹 내 유의미한 변화가 감지된 것은 2000년대 중반이다. 오너 3세 3형제가 100% 주주인 회사들에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지분을 3형제 중 한 명에게 대거 몰아주는 작업이 진행됐다. 이 법인들은 모두 3형제가 출생한 시점과 맞물려 신규 설립됐다. 조석래 전 회장이 오롯이 세 자녀만을 주주로 구성한 3개 법인을 세워 후일을 도모하려 한 그림이다. 구체적으로 '동륭실업', '신동진', '트리니티에셋매니지먼트' 등이다.

이 법인들은 당초 3형제를 대상으로 지분이 고르게 분포돼 있었다. 대체적으로 첫째인 조현준 효성 회장의 몫이 많은 편이었지만 각각 둘째와 셋째인 조현문 전 효성 부사장, 조현상 효성 부회장 등과의 지분 차가 극단적이지 않았다. 일례로 트리니티에셋매니지먼트의 경우 1990년대 당시 지분이 3형제 차례로 50%, 33%, 16% 등으로 구성돼 있었다. 나머지 두 곳의 법인도 이와 비슷했다. 하지만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지분 구성엔 드라마틱한 변화가 생겼고 3개 법인을 중심으로 교통 정리도 본격화됐다.
구체적으로 조석래 전 회장이 아들 한 명씩에게 하나의 법인을 쥐여줬다. 조현준 회장에겐 트리니티에셋매니지먼트, 조현문 전 효성 부회장에겐 동륭실업, 막내 조현상 부회장에겐 신동진을 줬다. 모두 2005년의 일이었다. 이 시기 세 법인의 지분 구성이 일제히 80%, 10%, 10%로 변경됐다. 삼형제 개개인이 각자 하나의 거점, 즉 온전한 개인회사를 마련하고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이들 모두 30대 후반에 접어들 무렵이었다.
이들 법인은 자금 마련 거점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모두 공통적으로 부동산 임대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는 점에서다. 각각의 법인이 건물, 부지 등을 보유하고 있고 이를 임대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타 사업 대비 안정적으로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좀 더 세부적으로 들여다 보면 이들 법인은 효성 그룹 계열사로부터 주요하게 수익을 확보하고 있다. 그룹 계열 법인들이 이들 법인이 보유한 건물에 세 들어 살며 임차료를 지급하고 있다. 다만 둘째 조현문 전 효성 부회장이 지배하고 있는 동륭실업은 현재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지 않다. 보유하고 있던 서울 종로구 효제동 소재 부지를 처분한 상태다.

나머지 두 형제는 각각 서울 서초구와 강남구에 핵심 건물을 보유하고 있다. 셋째 조현상 효성 부회장이 신동진을 통해 보유한 반포빌딩엔 현재 그룹 계열사인 '아승오토모티브그룹', '에프엠케이', '효성화학' 등이 입주해 있다. 조현준 효성 회장의 트리니티에셋매니지먼트 보유 청담빌딩엔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이 위치해 있다.
결과적으로 이 법인들은 가업 승계 과정에서 높은 쓰임새를 지닌다. 부동산 임대 수익을 통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확보, 주식 상속세 충당에 활용할 수 있다. 현재 조현준 회장과 조현상 부회장은 아버지 조석래 전 회장의 그룹 지분 상속 이슈를 안고 있다. 전 계열사에 걸쳐 지배력을 행사했던 조석래 전 회장의 지분을 후대가 물려받는 과정에서 몇천억원대의 상속세가 매겨질 것으로 추산되는 상황이다. 이같은 승계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금 문제에 대비할 수 있게 최소 20년 전부터 세 아들에게 각자의 재원 마련용 비히클을 쥐여준 셈이다.
후대에 이 법인들은 비슷하게 재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승계 자금 밑천으로 활용할 수 있게 자녀들에게 물려주는 형태다. 다만 일부 처분할 여지도 있다. 그대로 물려줄 경우 마찬가지로 상속세 부담이 가중되는 탓이다. 반은 정리하고 반은 상속하는 등의 시나리오를 통해 4세들의 자금 부담을 낮춰주는 방향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김소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장사 배당 10년]'주식 배당' 섞은 영풍, 현금 보전 효과 노리나
- [상장사 배당 10년]'2세 경영' 코스맥스, 주주환원 강화 흐름 '뚜렷'
- 자기주식 취득의 허점
- [상장사 배당 10년]주주환원 힘 싣는 한전그룹, 일제히 배당 정책 '페달'
- [주주 납입자본 포커스]대규모 영업 손실 가린 한온시스템 '오너십 시프트'
- [배당정책 리뷰]남해화학, 동남아 보폭 확대 덕 현금 채웠다
- [재무전략 분석]올해 4조 붓는 에쓰오일, 저리 대출 설계 '집중'
- [IR 리뷰]재무 체력 개선한 효성, 화학 자회사 살리기 '분주'
- [밸류 리빌딩 점검]세아홀딩스, 힘 빠진 밸류업…재무 체력 외려 약화
- [IR 리뷰]석화 위축 속 약진한 DL케미칼, 그룹 회복 '견인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