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E&S 합병 '승부수']에너지 공룡의 탄생, '현금 확보·차입 증가' 상반된 효과E&S 안정적 현금창출력 강점…유동성장기부채 등 단기성차입금 유입 '부담'
김동현 기자공개 2024-06-24 13:29:29
이 기사는 2024년 06월 20일 14시0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그룹 핵심 에너지 계열사인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만남은 100조원 규모의 연결 자산(양사 자산 단순 합산 시)을 보유한 거대 에너지 기업의 탄생을 의미한다. SK이노베이션이 펼쳐놓은 정유, 석유화학, 이차전지, 소재 사업회사들과 SK E&S의 액화천연가스(LNG), 도시가스 회사들이 만나게 된다.양사 합병이 아직은 검토 단계이긴 하나 합병 주체로 거론되는 SK이노베이션 입장에선 안정적인 현금창출력을 자랑하는 사업부문(SK E&S)을 품게 된다. 다만 별도 기준으로 따져봤을 땐 SK E&S의 총차입금을 떠안아 잘 지켜온 재무건전성이 일시적으로 흔들릴 수도 있다.
◇현금창출 '믿을맨' E&S
SK E&S는 그룹 내에서 안정적인 시장 지배력을 바탕으로 꾸준히 현금을 유입시키는 계열사다. 지주사 SK㈜의 지분율이 90%로 지주업 외에 별도의 자체 사업을 크게 벌이지 않은 SK㈜의 실적과 곳간(현금)을 책임졌다.
SK이노베이션이 SK E&S를 합병하면 이와 유사한 효과를 볼 수 있다. SK이노베이션도 그룹 내에서 중간지주사 역할을 하며 SK에너지, SK지오센트릭, SK온, SK엔무브, SK아이이테크놀로지 등 주요 9개 회사를 거느리고 있다. 이들 자회사의 실적이 SK이노베이션의 연결로 잡혀 SK이노베이션은 연간 70조원(지난해 말 기준)이 넘는 매출을 거두지만 별도 기준 매출은 자회사의 배당과 지주사업 용역 수익, 자원개발 사업(페루광구)으로 이뤄져있다.
지난해 말 기준 SK이노베이션의 별도 매출은 2조4894억원으로 이중 절반가량이 자회사 배당에서 나왔다. 100% 완전자회사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원유·석유 트레이딩)이 가장 많은 8000억원을 SK이노베이션에 올려보냈으며 SK엔무브(3702억원), 대한송유관공사(153억원) 등도 SK이노베이션 배당수익에 일조했다.

SK E&S를 SK이노베이션과 합병하면 자연스럽게 SK이노베이션의 별도 매출도 증가한다. 도시가스 자회사 등을 제외한 SK E&S의 별도 매출만 연간 1조원이 넘는다. 여기에 올해 1분기 말 기준 SK E&S가 쌓아놓은 현금성자산이 6282억원(별도)으로, 이를 SK이노베이션의 현금성자산(별도 1조613억원)과 단순 합하면 양사 합병으로 1조5000억원이 넘는 현금을 보유하게 된다.
SK이노베이션은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자회사의 사업을 지원했는데 합병이 최종적으로 결정되면 SK E&S 사업부문을 통한 사업 현금창출 통로와 현금성자산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SK E&S는 2020년(-2985억원)을 제외하면 최근 10년 사이 총영업활동현금흐름(OCF)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적이 없다.
◇불어나는 차입 부담 불가피
다만 합병법인의 차입금 상환 부담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1분기 기준 SK이노베이션 본사(별도)는 1조5000억원 규모의 총차입금을 안고 있다. 이중 단기차입금과 유동성장기부채(만기가 1년 이내로 도래하는 부채) 등 단기성차입금 규모는 3000억원대 수준이다.
반면 SK E&S의 총차입금 규모는 4조3568억원에 달하며 유동성장기부채도 1조원 규모다. 2008년 이후 단기차입 자체는 일으키고 있지 않지만 1년 이내로 도래하는 유동성장기부채 부담이 상당하다.
SK이노베이션 입장에선 한자릿수대로 유지하던 단기차입금의존도가 합병 이후 두자릿수대로 올라갈 수도 있다. 양사 차입을 단순 합산한 합병 SK이노베이션의 단기차입금의존도는 약 20%대로 추산된다. 불어나는 현금성자산만큼 차입 상환 부담이 따라오는 셈이다.
SK이노베이션이 SK E&S의 보유 자산을 확보하며 시너지 창출에 주력할 수 있지만 SK이노베이션의 투자자산(이차전지·친환경 소재 등 그린사업)과 SK E&S가 벌여놓은 사업들에 대한 중복투자 부담도 따라올 수 있다. 현재 SK E&S의 경우 기존 도시가스업 외에 현금창출원을 마련하기 위해 수소, LNG 발전 등으로 사업을 확장한 상황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큐브엔터 '아이들', 미니 8집 'We are' 발매
- 한투운용, '세금 부담 반토막' 해외 커버드콜 내놨다
- 메리츠증권, 신주현 NH증권 본부장 스카우트…AI본부 가동
- 라이언운용, 달바글로벌 이어 '마녀공장' 투자
- 티아이운용, 'FoF 전략' 담은 IPO펀드 출격
- 엑스포넨셜, 멀티매니저 시스템 도입…SQUARE 1호 첫 적용
- [Product Tracker]사모펀드 GP커밋도 상품화 나선다…VVIP 정조준
- 메리츠증권 ELS 첫 청약 '호응'…판매고 증가 기대감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현대인베운용, 의결권 행사 기조 '보수→적극'
- 삼성운용, 미국 MMF ETF 국내 첫선…파킹형 관심 확대
김동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운영자금 급한 포스코필바라, 자금조달 상·하반기 분산
- [이사회 분석]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 포스코 지분율 70%로 '급증'...이사회 구조는 유지
- [KAI 밸류업 점검]'별도·최소' 배당성향 설정, 주주환원 다양화 가능성 열었다
- [KAI 밸류업 점검]1.5조 투자 반환점, 윤곽 드러낸 AI·우주 포트폴리오 방향성
- [KAI 밸류업 점검]올해보단 내년...폴란드 수출에 매출 성장 자신감
- 존재감 살아있는 한화시스템 ICT, '필리' 손실 메운다
- '1.1조 유증' 포스코퓨처엠, 소재 공급망 '조기' 재정비
- [KAI 밸류업 점검]주가 키워드 '피어 대비 낮은 ROE'
- 한화그룹, 미국 대관조직 '컨트롤타워' 만든다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에스피네이처, 중간지주사 중간배당으로 '현금흐름' 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