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interview]손진책의 연극 <햄릿> 연출노트신시컴퍼니 제작 연극, 예술로 허문 삶과 죽음의 경계…숨겨진 의미는
이지혜 기자공개 2024-07-01 09:39:22
이 기사는 2024년 06월 27일 08시0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예술은 기본적으로 다 메타포잖나.안갯속 미인은 그 자체로 아름다운 거다.
안개를 걷어내고 실체가 드러나면 신비로움과 매력이 사라질 수도 있는 법이다.“
손진책 연출가는 좀처럼 입을 떼려 하지 않았다. 연극 <햄릿>을 보는 관객의 환상과 해석을 깰까 조심스러워 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비록 연출가의 의도에 따라 연극이 만들어졌지만 무대에 오르는 순간 작품은 제작자만의 것이 아니게 된다. 관객의 해석에 따라 제각각의 기억으로 남는 게 연극의 매력이다.
그러나 연출가의 의도에 따라 작품을 해석하는 것 또한 연극 감상의 묘미. 제작자의 의도와 자신의 해석을 비교하며 생각의 폭을 확장하는 것도 연극을 'N차' 관람하는 재미이기도 하다. 그래서 손 연출가에게 살짝 물었다. <햄릿> 연출의 주요 포인트를.
◇‘넋을 불러 씻겨내는’ <햄릿>, 한국 정서의 재해석
"전통 연극의 현대적인 조화가 내 평생의 화두였다. 내 작품에는 한국적 요소가 자연스럽게 포함된다." 손 연출가가 말했다. 사실 손 연출가가 번역극을 연출한 건 10편도 채 되지 않는다. 1974년 연극 <서울말뚝이>를 통해 연출가로 데뷔한 이래 한국 연극의 본질에 집중했다.

그는 동양의 연극이 제의(祭儀)에서 기원했다는 데 착안했다. 손 연출가는 "<햄릿>이 시작할 때 배우들이 부는 휘파람은 작품 속 인물을 부르는 의식이자 넋을 부르는 소리"라며 “영혼 간 소통을 상징한다”고 말했다. 한국 무속의 '씻김'의 개념도 적용됐다. 작품 마지막의 안개비는 복수, 죄책감, 사랑, 모정, 억울함 등 온갖 부정과 혼돈을 정화한다.
한국 연극의 본질을 탐구하는 손 연출가가 <햄릿>을 맡은 건 우리의 이야기를 할 수 있다고 판단해서다. 그는 “동양과 서양으로 선을 긋고 타자화하기보다 우리의 얘기를 할 수 있는 극을 하고 싶다는 의미”라며 “고전은 인류 공동의 재산이며 특히 <햄릿>은 인간의 삶과 맞닿아 있는 ‘죽음학’이기에 번역극이든 창작극이든 중요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산 자의 시선으로 본 죽은 넋 ‘생사 경계 허물기’
신시컴퍼니의 <햄릿>에서 가장 독특한 지점은 시선이다. '배우 역'의 산 자가 죽음의 강을 건너서 죽은 영혼들의 연극 <햄릿>을 보고 함께 호흡하다가 이승으로 돌아오는 구조다.
연극 속 햄릿을 비롯한 오필리어, 선왕, 클로디어스, 거트루드 모두 죽은 영혼이라는 얘기다. 이들의 연극을 지켜보고 삶과 죽음을 오가며 경계를 허무는 존재, 그것은 바로 4명의 '배우 역'이다. 이들은 관객의 시선을 대리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앞서 휘파람으로 죽은 인물들의 넋을 불러냈다면 이번에는 산자와 넋이 어우러질 차례다. 어우러지기 위한 의식, 그것이 바로 숨을 쉬는 것이다. 극을 시작하기에 앞서 모든 배우들이 휘파람을 불고 바닥을 두드린다. 그리고 손바닥에 글씨를 쓴 뒤 일제히 크게 숨을 쉰다. 마치 제의처럼.
손 연출가는 “숨은 삶과 죽음의 소통의 수단”이라며 “손의 글씨는 인물들에게 보고 싶은 사람, 묘비명 등 여러 가지를 써 보라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게 가장 중요한 거였다”면서도 연출 의도는 관객에게 맡기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 뒤 4명의 '배우 역'이 “어둡다, 어두워”, “춥다, 뼈가 시리도록 추워”라는 대사를 내뱉으며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 대사는 극의 마지막에서도 반복된다. 어쩌면 이 대사는 저승을 바라보는 산 자의 소회가 아닐까.
손 연출은 “흰 종이가 마냥 흰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여러 색깔이 있듯 검정색도 마찬가지”라며 “삶과 죽음, 세상도 그렇다”고 말했다.
◇거울과 원, 그리고 사각형의 메타포
사실 <햄릿>의 무대는 밋밋하다 싶을만큼 단순하다. 무대 뒤편으로 큰 거울이 펼쳐져 있고 무대 위에는 커다란 원형이, 그 안에 사각형이 그려져 있는 게 거의 전부다. 이건 2016년 신시컴퍼니의 <햄릿>이 초연할 때부터 고수해왔던 방침이다. 연기에 집중하자는 뜻에서다.

그렇기에 무대 장치 하나하나의 의미가 클 수밖에 없다. 가장 눈에 띄는 거울은 햄릿의 분열적 모습, 서로를 감시하는 극 중 인물의 모습을 표현한다. 셰익스피어 원작의 햄릿의 대사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연극의 목적은 자연에다 거울을 비추는 일이지. 선은 선, 악은 악 그대로, 있는 그대로를 비춰내며 시대의 모습을 고스란히 드러나게 하는 데에 있어.’
무대 위 원은 삶과 죽음을 뜻한다. 손 연출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가장 단순한 형태로 표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 속의 사각형의 뜻을 묻자 그는 “인생은 무대라고 하잖나”라고 답했다.
손 연출가는 “삶과 죽음이 우리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인데도 우리는 죽음과 거리가 먼 것처럼 생각한다"며 "죽음을 이야기하는 <햄릿>을 통해 사는 법을 배우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신시컴퍼니의 연극 <햄릿>은 9월 1일까지 서울 홍익대학교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에서 공연된다. 제작사는 신시컴퍼니이며 프로듀서는 박명성이다. 주연으로는 강필석과 이승주가 햄릿 역을 맡고 루나가 오필리어 역으로 출연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글랜우드PE, 3호 펀드 1조 규모로 내달 1차 클로징
- [i-point]미래아이앤지 "단순 세무조사 진행 중"
- [Deal Story]SK네트웍스, 렌터카 매각에도 공모채 투심 견조했다
- [Deal Story]세아제강, 3년물 회사채 흥행 이어갔다
- [Deal Story]LX인터, 복귀전서 1조 수요…언더금리 확보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그룹내 자금 에어로 투입, 투자자 달랠수 있을까
- '첫 선' 모태 과기부 AI 출자, 정시 서류탈락자 '북적'
- [윤석열 대통령 탄핵]UAE국부펀드, '토종 헤지펀드' 출자 속도낸다
- [thebell note]리브스메드, 한국의 포드될까
- IPO 개선안에 코벤·하이일드펀드 투자자 불만 고조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테크 전략의 핵심 하이브IM, 적자에도 '5000억 밸류'
- [이사회 분석]하이브, '대기업 리스크 대응' 사외이사진 재편
- [상호관세 후폭풍]쇼크에도 K팝 엔터주는 '웃었다'
- [탈한한령 훈풍 부는 콘텐츠기업들]잠잠한 듯했는데…JYP엔터의 중국 굴기 '반격 노린다'
- 엔터4사 주총, 말의 온도와 숫자의 무게
- [이사회 모니터/SOOP]‘비욘드 코리아’ 달성 목표, 글로벌 인사 전진배치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하이브 이재상 "어도어 사태, 멀티 레이블 튜닝 중 진통"
- [이사회 분석]NEW, 유제천 사장 포함 5인 재신임 ‘안정 택했다’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카카오엔터, '베리즈'로 K컬처 통합 팬덤 플랫폼 야심
- [Company Watch]NEW, 2년 연속 적자…승부는 올해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