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협, NPL 1조 정리한다…'연체관리TF' 컨트롤타워 'KCU NPL 대부' 자회사 신설, 3500억 정리 담당
김서영 기자공개 2024-07-02 12:45:01
이 기사는 2024년 07월 01일 16시1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협중앙회(신협)가 1조원 규모의 부실채권(NPL) 정리에 팔을 걷어붙였다. 지난 5월 신설된 부실정리 자회사도 NPL 정리를 통한 신협 건전성 개선 작업에 손을 보탠다는 구상이다.NPL 정리 책임자인 우욱현 관리이사의 어깨가 무거워진 상황이다. 우 이사는 관리이사 직할 조직인 '연체관리 태스크포스(TF)'를 총괄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 6% 후반까지 치솟은 연체율을 낮출 수 있을지 주목된다.
◇'자회사 신설, 자체 펀드, 일괄매각'…NPL 정리에 집중
1일 신협은 부실채권 정리 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하반기 동안 모두 1조원이 넘는 NPL을 정리해 경영 환경이 악화된 회원조합의 건전성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겠다는 조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협은 NPL 정리 방안을 세 가지로 나눠 수립했다. 먼저 부실정리 자회사 'KCU NPL 대부'를 통해 연말까지 3500억원의 NPL을 해소하겠단 계획이다. 또 전체 규모의 절반에 해당하는 5000억원의 NPL은 신협중앙회가 주도하는 NPL펀드를 통해 매입하겠다고 밝혔다.
마지막 세 번째는 NPL을 일괄매각하는 방안이다. 전국 신협의 부실채권을 하나로 묶어 시장에 일괄적으로 매각하는 것으로 예상 규모는 2000억원 정도다. 이를 위해 신협은 올해 하반기 매각 주관사 선정을 위한 입찰 작업에 나설 예정이다.

아울러 신협은 대손충당금을 확대해 쌓을 예정이다. 부동산업과 건설업 대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하겠다고 밝혔다. 또 공동대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개별 조합이 진행하는 여신 평가를 중앙회가 직접 지원한다. 지난해 9월부터 평가지원 대상을 기존 100억원 이상에서 70억원 이상 채권으로 대폭 확대해 신규 대출의 건전성 관리에 주력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NPL 정리 담당에 '감독기획' 전문가 우욱현 관리이사
신협의 NPL 정리 작업에서 실무 책임자는 우욱현 관리이사다. 우 이사는 신협에서 감독기획 부문에서 꾸준히 전문성을 키워온 인사다. 2014년 8월 감독기획팀장으로 발탁된 우 이사는 2년 뒤인 2016년 전북지부장으로 발령을 받았다.
2018년 3월 감독부장으로 선임되며 다시 감독 업무로 복귀했다. 이듬해 2019년 2월 감독본부 본부장으로 선임되며 총괄을 맡았다. 지난 2022년 2월에는 관리이사로 선임되며 2년 넘게 신협의 경영지원과 금융지원을 아우르고 있다.
관리이사직은 하나의 부문과 두 개의 본부 등을 거느리고 있다. 신협행복나눔부문에는 사회적금융본부와 사회공헌부가 설치돼 있다. 디지털·경영지원본부와 금융지원본부는 각각 3개의 팀으로 구성됐다. 이외에도 연수원과 고객지원센터팀도 관리이사 하위 조직이다.
우 이사가 직접 총괄하는 부서에는 '연체관리TF'도 포함돼 있어 눈길을 끈다. 연체관리TF는 이번 1조원 규모의 NPL 정리 작업을 관리하는 컨트롤타워 격이다. 신협은 최근 연체 관리를 위한 TF를 구성해 조합의 건전성 강화를 위해 전사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뿐만 아니라 우 이사는 금융지원본부를 통해서도 부실정리 자회사 KCU NPL 대부에도 영향력을 미칠 전망이다. KCU NPL 대부 대표이사는 조용록 신협 금융지원본부장이다. 사내이사로 이정수 디지털·경영지원본부장도 포함됐다. 금융지원본부와 디지털·경영지원본부는 관리이사가 총괄하는 조직 중 하나다.
우 이사는 "엄중한 시기에 중앙회가 회원조합의 건전성 개선을 위한 전사적인 지원책을 실행하겠다"며 "부실채권의 조기 해소를 통해 연내 전체 신협의 건전성을 한층 끌어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글랜우드PE, 3호 펀드 1조 규모로 내달 1차 클로징
- [i-point]미래아이앤지 "단순 세무조사 진행 중"
- [Deal Story]SK네트웍스, 렌터카 매각에도 공모채 투심 견조했다
- [Deal Story]세아제강, 3년물 회사채 흥행 이어갔다
- [Deal Story]LX인터, 복귀전서 1조 수요…언더금리 확보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그룹내 자금 에어로 투입, 투자자 달랠수 있을까
- '첫 선' 모태 과기부 AI 출자, 정시 서류탈락자 '북적'
- [윤석열 대통령 탄핵]UAE국부펀드, '토종 헤지펀드' 출자 속도낸다
- [thebell note]리브스메드, 한국의 포드될까
- IPO 개선안에 코벤·하이일드펀드 투자자 불만 고조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리포트]동문건설, 수주목표 '1.2조' 실적 반등 나선다
- 인창개발, 가양동 CJ 공장부지 매입 5년 만에 착공
- [디벨로퍼 리포트]KT에스테이트, '호텔사업 호조'에 역대 최대 실적
- [Company Watch]GS건설, 해외 모듈러 신사업 '외형 확장' 성과
- [건설리포트]부영주택, 저조한 분양 탓 수익성 회복 고전
- [thebell note]모듈러 주택, 진가를 발휘할 때
- [건설리포트]우미건설, '분양 호조' 힘입어 외형 성장
- [건설부동산 줌人]신영부동산신탁, '증권 출신' 김동현 신탁사업부문장 낙점
- [이사회 분석]GS건설, 다시 여는 주총…사외이사 '재선임' 카드
- [건설사 인사 풍향계]이종원 회장의 '선택', 임기영 HS화성 신임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