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E&S 합병 '승부수']SK이노베이션에 유리한 '합병비율'1대 2 전망 우세했으나 결국 1대 1.2로...KKR 반발 전망
정명섭 기자공개 2024-07-18 08:15:00
이 기사는 2024년 07월 17일 18시2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그룹 '100조 에너지 기업'의 탄생의 목적은 결국 SK이노베이션 지원이었다. SK이노베이션에 유리하게 책정된 1대 1.2 합병비율은 이를 잘 보여준다. 이에 따라 지주사인 SK㈜와 SK E&S의 재무적 투자자(FI), SK이노베이션 주주들의 희비가 엇갈렸다.SK이노베이션과 SK E&S는 17일 각각 이사회를 열어 양사 합병 안건을 의결했다. 가장 관심을 모은 합병비율은 1대 1.1917417로 정해졌다. 흡수합병 대상인 SK E&S의 주식 1주가 SK이노베이션 주식 약 1.2주로 교환된다는 얘기다.
SK이노베이션의 합병가액은 보통주 11만2396원으로 결정됐다. 최근 1개월 주식 거래량 가중산술평균 종가와, 1주일 거래량 가중산술평균 종가, 전일(16일) 종가의 평균으로 산출됐다. SK E&S 합병가액은 보통주 13만3947원이다.
현재 SK㈜는 SK E&S 지분 90%, SK이노베이션 지분 36.22%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합병비율에 따라 상장사인 SK이노베이션이 합병신주를 발행해 SK E&S의 주주인 SK㈜에 5529만9186주를 교부한다. SK이노베이션 신주는 오는 11월 20일 상장된다. 합병 후 SK이노베이션 최대주주인 SK㈜의 지분율은 36.22%에서 55.9%로 오른다.
당초 시장에선 합병비율 1대 2를 전망했다. SK이노베이션의 주가는 현재 10만원대 초반인데 SK E&S의 경우 2021년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가 RCPS 409만주를 사들일 당시 우선주 1주당 발행가가 58만6182원(보통주로 바꾸면 주당 29만3091원)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른 SK㈜의 합병법인 지분은 70%대다.
SK㈜는 합병비율을 1대 1.2로 정하면서 합병법인에 대한 지분율 손해를 보게 됐다. 그만큼 SK이노베이션 지원이 시급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SK E&S로부터 받은 배당도 더이상 기대할 수 없다. SK E&S가 지난해 배당금으로 지출한 금액은 5270억원이다.
SK이노베이션 주주 입장에선 합병에 반대할 이유가 없다. 1대 2의 합병비율보다 지분 가치가 덜 희석되는 데다 SK E&S를 품는 데 따른 가치 상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합병법인 주식의 대부분을 SK㈜가 가져가 수급적 요인에 따른 주당 가치 저하 우려도 없다.
SK이노베이션의 지분 구조를 보면 최대 주주인 SK㈜ 다음으로 개인이 가장 많은 지분(24.9%)을 보유하고 있다. 합병안이 주총에서 통과하려면 출석 주주 3분의 2 이상과 발행 주식 총수 3분의 1 이상의 찬성을 받아야 하는 점을 고려하면 무난하게 합병안이 통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KKR 입장에선 반발이 예상된다. KKR은 SK E&S에 약 3조원의 상환우선주(RCPS)를 보유하고 있다. SK그룹이 사실상 SK이노베이션과 SK E&S의 가치를 비슷하게 책정하면서 그만큼 손해를 보게 됐다. SK E&S 관계자는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 KKR과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은 내달 27일 주주총회를 열어 합병안을 의결한다. 합병법인 출범일은 11월 1일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신한금융, 더존비즈온과 'ERP 뱅킹' 야심찬 청사진
- [저축은행 위험 관리 점검]페퍼저축, 2년간 대출채권 1조 매각…올해 건전성 회복 기대
정명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롯데EM, 동박 미 관세 면제에 K배터리간 경쟁 '심화' 전망
- ㈜LG, 5000억 규모 자기주식 대선 이후부터 '소각' 가시화
- [한솔케미칼 밸류업 점검]배당에 자기주식 매입까지…주주환원 '업그레이드'
- "효성TNS, 베트남 생산공장 미 상호관세 영향권"
- 롯데정밀, 중국산 에폭시 반덤핑관세 '반사이익'
- '자본잠식' 해소 효성화학, 비주력사업 매각 이어간다
- LG화학 "미국 양극재 공장 조기가동 검토"
- SK온 "원자재 조달 미국 현지화로 관세영향 최소화"
- 유지한 SKC CFO "트럼프 관세, 위기보다 기회"
- 제일기획, 비수기에도 호실적…'신·구 광고' 조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