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창업자 부재 비상사태 '체질 개선 멈추지 않겠다' 김범수 위원장 구속, CA협의체·정신아 대표 중심 비상경영 나서나
노윤주 기자공개 2024-07-23 09:00:18
이 기사는 2024년 07월 23일 07:38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사진)이 구속됐다. 검찰이 김 위원장에게 자본시장법 위반 혐으로 구속영장을 청구한 지 약 6일만이다. 재판부는 증거인멸, 도주 우려가 있다며 영장을 발부했다.카카오는 창립 이후 창업자 부재라는 초유의 사태를 맞는다. 비상사태 대응을 위해 정신아 대표, CA협의체를 필두로 리더십 공백을 채울 것으로 관측된다. 계열사 몸집 줄이기, AI 사업 전환 등 주요 과제가 산적해 있어 속도를 늦출 수는 없다.
◇"불법 행위 용인한 적 없다" 강경 입장에도…법원 구속 결정
23일 새벽 1시 20분경 서울남부지법 한정석 부장판사는 김범수 위원장 구속 영장을 발부했다. 전날 오후 2시부터 재판부는 4시간가량 영장심사를 진행했고 결국 증거인멸과 도주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해 영장을 발부했다.
김 위원장이 받고 있는 혐의는 SM엔터테인먼트 시세 조종이다. 같은 혐의로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가 구속됐다가 보석으로 풀려난 사례가 있다. 이 점이 재판부의 김 위원장 구속 결정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를 수사하는 검찰은 카카오가 지난해 2월 SM엔터테인먼트 시세를 조종했다고 봤다. 계열사인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하이브와 SM인수전을 펼치던 시점이다. 카카오가 경쟁자였던 하이브 공개매수를 막기 위해 SM엔터 주가를 하이브 공개매수가인 12만원보다 높게 형성시키려 했다는 혐의다.
특히 검찰은 카카오가 지난해 2월 16~17일과 27~28일 사이 2400억원을 동원해 SM엔터 주식을 장내 매집하고 553회나 고가 매수했다고 봤다. 이 특정기업 지분을 5% 이상 보유하고도 당국에 보고하지 않아 공시의무 위반 혐의도 추가했다. 이 사건을 지시한 인물이 김 위원장이라는 게 수사당국 주장이다.
앞서 카카오 측은 이를 전면 부인했었다. 9일 20시간에 거친 검찰 조사에서 김 위원장은 주식매수 안건을 승인했지만 매수 방식은 보고 받지 않았다고 강조했었다.
18일 개최한 CA협의체 임시 그룹협의회에서도 입장은 강경했다. 이날 회의는 김 위원장의 사법리스크가 개인을 넘어 그룹 전번에 영향을 끼칠 수 있어 대책 논의를 하기 위한 자리였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를 포함해 주요 계열사 CEO, CA협의체 산하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김 위원장은 "현재 받고 있는 혐의는 사실이 아니"라며 "어떤 불법행위도 지시하거나 용인한적 없는 만큼 사실이 밝혀지리라 믿는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법원은 검찰 측 주장에 손을 들어줬다.
◇책임 막중한 정신아 대표 "흔들리지 않고 할 일 하겠다"
당분간 김 위원장의 부재가 불가피함에 따라 카카오의 방향키는 정신아 대표가 잡을 것으로 보인다. 정 대표는 김 위원장과 함께 CA협의체 공동의장을 맡고 있다.
정 대표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카카오를 흔들림 없이 이끌어 나갈 것이라는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최근 김 위원장 사법리스크 이슈로 열렸던 CA협의체 회의에서 정 대표는 "엄중한 현실 인식 하에 꼭 해야 할 일들을 과감히 실행해 갈 것"이라며 "임직원들도 흔들림 없이 본업에 충실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었다.
그가 말한 '꼭 해야 할 일'은 계열사 재편과 AI 전환 추진이다. 카카오는 연내 AI 서비스 출시를 목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카카오브레인 인력, 기술 등을 카카오 본사로 흡수했다. 또 내부 개편으로 AI 전담 조직 '카나나'를 출범하면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선택과 집중'이라는 그룹 핵심 안건에 따라 계열사 정리도 끊김 없이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카카오 계열사는 124개다. 1년 전 공정위 발표인 147개보다 23개가 줄었다. SM엔터 계열사 40개 편입이 반영된 점을 감안하면 기존 계열사는 대폭 정리한 셈이다. 수익성 낮은 조직의 매각, 본사흡수 등을 지속 추진해나가고 있다.
올 2월 독립기구인 CA협의체를 확대한 점도 불행 중 다행이다. 경영쇄신위원회, 전략위원회, 브랜드커뮤니케이션위원회 등 총 5개 위원회로 조직을 재편했고 각 위원회 위원장을 영입했다. 계열사간 전략적 결정에 자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사회공헌, 부동산투자 등 필요에 따라 CA협의체 산하에 태스크포스(TF)를 두고 유연하게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최종 결정권자 부재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이창용 한은 총재, 전례 없는 위기 속 핵심 과제는
- 강태영 NH농협은행장, 금융사고 제로화 원년 만든다
- '딥체인지' 꾀하는 삼성카드, 플랫폼·데이터 '사활'
- [2024 유통가 리포트]뜨거운 'IPO·M&A' 열기, '블루오션' 입증
- 웅진, 정기인사에 내포된 'IT사업' 강화 의지
- [i-point]휴림로봇, 글로벌 이차전지 제조사 로봇공급자격 획득
- [i-point]비트나인, 사명 '스카이월드와이드' 변경
- [Red & Blue]'나홀로 산타랠리' 우주일렉트로, 수익성 부각
- [Company Watch]세토피아, '세토피아빌딩' 양수 또 다시 연기
- [카드사 생크션 리스크]파견직원 일탈 막는다…KB국민카드, 개인정보 보안 강화
노윤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5 승부수]통신3사 각기 다른 키워드, 수장들 "AI가 승부처"
- [2025 이통3사 리빌딩]SKT, AI 사업부 대폭 확대에 담긴 '수익화' 의지
- [아시아 크립토 생크션 리스크]코인기업, 라이선스 취득 필수에 '탈 싱가포르' 행렬
- [2025 승부수]한명진 SK스퀘어 사장 "신규 투자·리밸런싱 동시 속도"
- [2025 이통3사 리빌딩]AI 방향 공통점, 전략 따라 갈린 디테일
- [아시아 크립토 생크션 리스크]'크립토 천국' 싱가포르의 변화, 강해지는 규제
- KT, 클라우드 사업 자산 '교통정리' 마무리
- [아시아 크립토 생크션 리스크] 금융허브의 상반된 행보…열린 홍콩 vs 닫힌 싱가포르
- 카카오, 매출 대신 상생 선택…교환권 수수료 인하
- [클라우드 키플레이어 MSP 점검]수익 확대 나선 메가존, 해외 시장 돌파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