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년생 '파격 영입' IT 담당 임원, KB금융 떠났다 오순영 금융AI센터장, 계약 만료로 2년 만에 퇴사
조은아 기자공개 2024-08-20 12:38:35
이 기사는 2024년 08월 16일 14시1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오순영 KB금융 금융AI센터장이 최근 회사를 떠난 것으로 확인됐다. 오 전 센터장은 KB금융그룹에서 파격적인 인재 등용으로 화제를 모았던 인물이다. 1977년생 여성으로 한글과컴퓨터에서 개발자로 굵직굵직한 경력을 쌓아온 IT 전문가이기 때문이다.16일 KB금융에 따르면 오 전 센터장이 5월 말 임기 만료와 동시에 회사를 떠났다. 2022년 6월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에 영입된 딱 2년 만이다. 2년의 계약기간을 채움과 동시에 회사를 떠난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KB금융지주와 KB국민은행에서 금융AI센터장을 맡고 있었는데 두 자리에서 모두 내려왔다. 후임은 따로 정해지지 않았다. 기존 AI본부장을 맡고 있는 육창화 본부장이 KB금융지주 및 KB국민은행에서 금융AI센터장을 겸직하고 있다. AI본부 안에 금융AI센터가 자리하고 있는 만큼 후임을 찾기 전까지 윗선에서 겸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오 전 센터장은 2022년 KB금융에 영입됐다. 당시 1970년대생 여성 임원이라는 점에서 화제를 모았다. 입사 당시가 40대 중반에 그쳤다. KB금융그룹에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에 태어난 임원은 몇몇 찾아볼 있으나 1970년대 후반에 태어난 임원은 오 전 센터장뿐이었다. 올해 6월 말 기준으로도 가장 나이가 어린 임원은 1972년생이다.
그는 서울여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2004년 한컴에 입사했다. 다양한 제품 개발을 총괄하는 프로젝트매니저(PM)를 맡으며 한컴의 핵심 제품인 한컴오피스를 고도화한 주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2019년 한컴 역사상 첫 여성 CTO(최고기술책임자)로 선임되며 업계 주목을 끌었고 2022년 KB금융과 연을 맺었다.
KB금융은 2020년을 전후해 디지털 전환(DT)을 위해 외부 전문가를 꾸준히 영입했다. 영입 순서대로 윤진수 전 IT총괄(2019년), 조영서 디지털부문장 겸 IT부문장(2021년), 박기은 그룹아키텍처센터장(2021년), 허유심 전 디지털콘텐츠센터장(2022년), 김주현 그룹클라우드센터장(2022년), 오순영 금융AI센터장(2022년) 등이다. 이들 모두가 영입 당시 상당한 이목을 끌었다.
이 가운데 윤진수 전 IT총괄과 허유심 전 디지컬콘텐츠센터장은 올해 계약 만료와 함께 회사를 떠났다. 두 사람에 이어 오순영 전 센터장까지 자리에서 내려오면서 최근 5년 사이 영입된 IT 관련 외부 영입인사 중 남은 인물은 3명으로 줄었다. 딱 절반 수준이다.
KB국민은행에 정통한 관계자는 "아무래도 젊은 여성 임원에게 KB국민은행의 환경이 쉽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리더십 교체 역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투자기업]삼쩜삼, 가입자 2300만명 돌파…성과와 과제
- 'K콘텐츠전략펀드' GP 2곳 선정 그쳐…재공고 예정
- [i-point]신테카바이오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수혜 기대"
- [변곡점 맞은 해운업]'퀀텀점프' 현대LNG해운, 선대 확장효과 '톡톡'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반년 장고' 거래소, 제노스코 상장심위 개최 '미승인' 가닥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조은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생명보험사는 지금]'넘사벽'이 되어버린 삼성생명의 고민은
- [생명보험사는 지금]30년 넘게 이어진 빅3 체제, 깨질 수 있을까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흑자 기조 이어간 KB미얀마은행, 웃지 못하는 이유
- [은행권 신지형도]'대형은행' 틈바구니 속, SC제일은행이 선택한 해법은
- 내부통제위원회 구성 마친 4대 금융, 구성 살펴보니
- 우리은행, 폴란드에 주목하는 이유
- [thebell desk]한화 차남의 존재감
- [은행권 신지형도]어느덧 10년 맞은 인터넷전문은행, 시장 판도 변화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통합 2년차 KB프라삭은행, 희비 엇갈려
- KB금융 부사장 1명으로 줄었다, 배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