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 PE, 피자나라치킨공주 인수 포기한 이유 '불투명한 미래' 초저가 전략 유지 가능성 의문, 내부 투심위 통과 못 해
김예린 기자공개 2024-09-04 07:48:09
이 기사는 2024년 09월 03일 15:52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G프라이빗에쿼티(이하 SG PE)가 피자나라치킨공주 운영사 ‘리치빔’ 인수전에서 발을 뺐다. 초저가 유지 전략을 유지하면서도 수익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에 답을 찾지 못한 것으로 관측된다.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SG PE는 리치빔 인수 계획을 철회했다. 최종 내부 투심위를 통과하지 못한 탓이다. 본래 지분 100%를 기업가치 2200억원에 인수하기 위해 지난 7월부터 실사를 진행해왔다. 이 과정에서 투심위원들의 의견이 엇갈렸고, 외부 출자자(LP)들로부터도 부정적 반응이 나온 탓에 초기부터 딜이 순항할 가능성은 크지 않았다.
중간에 구조를 한번 바꾸기도 했다. 인수 대상 지분을 일부 줄여 기존 창업자가 경영에 참여하고, 기업가치도 깎는 방식으로 조건을 수정해 리치빔 측에 제안했다. 리치빔 창업자는 남양우 대표다. 남 대표는 현재 지분 91.5%를 가진 최대주주이기도 하다. 남 대표는 이번 매각을 통해 지분 전량을 엑시트하고자 했던 만큼 일부 지분을 남기는 건 물론 몸값을 깎는 것도 달갑지 않았던 모양새다. 이후 더 이상 협상이 진전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SG PE가 비싸다고 판단한 배경에는 추가 성장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깔려 있다. 피자나라치킨공주는 피자와 치킨을 초저가로 판매해 점유율과 수익성을 유지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경쟁사인 맘스터치도 가성비를 강조하며 치킨·버거 프랜차이즈로 자리 잡은 뒤 피자로 메뉴를 확대했지만, 피자나라치킨공주만큼 낮은 가격을 유지하지 못했다. 피자나라치킨공주의 핵심 경쟁력으로 초저가 전략이 거론되는 이유다.
문제가 된 지점은 앞으로도 초저가 기조를 유지할 수 있느냐다. 그동안은 기존 창업자가 자체 노하우나 네트워크를 가지고 어떻게든 초저가 전략을 이어나가면서 지금까지 키워왔다고 해도, FI로 대주주가 교체된 이후에도 같은 가격을 유지한 채 수익성 제고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 것으로 전해진다.
실제 최근 식재료 가격 인상으로 외식·프랜차이즈 업계 타격이 적지 않다. 배달료까지 오르면서 배달 매출 비중이 높은 저가형 프랜차이즈들이 큰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도 피자나라치킨공주의 전망에 대한 부정적 판단의 근거가 된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라데팡스 '4자연합' 공식화…"주주권 적극 행사하겠다"
- 금양인터내셔날, 엠 샤푸티에 지공다스 아티스트 레이블 출시
- [i-point]클로잇-홈넘버메타, 보안택배 SaaS 솔루션 구축
- NPS 2000억 벤처출자 'DSC·LB·아주IB·IMM' 낙점
- [Company Watch]'차입금 출자 전환' 황영규 대표, 알체라 최대주주 등극
- 두산 분할합병, 국내외 자문사 '찬성' 권고…배경은
- 금리 욕심 과했나...ABL생명 후순위채 '주문 제로'
- [Market Watch]'급락하는' 새내기주, '재현되는' WCP 풋백옵션 공포
- 현대차증권 첫 공모 유증에 그룹 계열사 '전폭 지원'
- IPO 시장 냉각, BBB급 회사채 발행시점 '고심'
김예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G PE·원익PE, 한국투자가스 300억 추가 투자 추진
- '차헬스케어 투자' 스틱 크레딧, MG새마을금고 LP로 확보
- '펀딩 고수' JKL, 성공 비결은
- '로드스톤PE 참여' 신창에프에이, 100억 프리IPO 완료
- [2024 이사회 평가]'경영성과 두각' 피에스케이, 구성·견제기능 미흡
- 코오롱생명과학, 최대 350억 전환사채 발행 추진
- 수은 공급망 펀드 출자사업 'IMM·한투·코스톤·파라투스' 선정
- 유연성·독립성 갖춘 코웨이 코디, 시공간 제약 없어 'N잡' 가능 눈길
- [PMI 포럼 2024]"미 헬스케어 시장 개편 한창, 국내 투자자엔 기회"
- [PMI 포럼 2024]"국내 M&A 시장 내 에너지·산업 비중 여전, 소비재 딜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