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정산' 티몬, 유동성 악화 더한 '1000억 풋옵션' 2021년 발행 'EB' 조기상환청구권 행사, 망가진 현금흐름 '매입채무'로 조절
김혜중 기자공개 2024-09-23 07:44:10
이 기사는 2024년 09월 20일 07시2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티몬이 뒤늦게 2023년 감사보고서를 제출한 가운데 보유 유동성이 급감한 점이 눈에 띈다. 자체적으로 현금을 벌지 못하는 상황 속 외부에서 자금을 끌어왔지만 3년 전 발행한 교환사채 풋옵션으로 인해 1000억원의 지출이 발생했다. 여기에 영업손실을 충당하기 위해 매입채무를 늘려 현금흐름을 조절했으나 근본적인 수익성과 유동성이 받쳐주지 못하면서 미정산 사태가 수면 위로 드러난 것으로 관측된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티몬은 최근 2023년 감사보고서를 제출했다. 감사보고서는 정기 주주총회 개최 이후 2주일 이내에 제출해야 하지만 티몬은 정기주총 개최를 미뤄 왔다. 통상 4월 중 감사보고서를 제출하지만 5개월이 지난 9월이 되어서야 감사보고서를 제출했다.
2023년 말 기준 티몬의 유동성은 176억원에 불과하다. 전년 동기 대비 84% 감소한 수치다. 현금성 자산은 159억원으로 101% 증가했지만 단기금융상품이 1000억원가량 감소하면서 유동성에 타격을 줬다. 해당 당기금융상품은 사채 상환을 위한 담보로 잡혀 있던 신탁 예금이다.
티몬은 2021년 자본 확충을 위해서 신설법인인 티몬글로벌을 세워 3050억원 규모의 교환사채(EB)를 발행했다. 이를 사모펀드 운용사와 외국계 재무적투자자(FI)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인수했고 해당 자금으로 티몬글로벌은 티몬 유상증자에 참여하면서 자본을 수혈했다.

다만 당시 발행한 교환사채 발행 조건으로 투자자에게 조기상환권이 부여돼 있었다. 이에 티몬글로벌과 티몬은 각각의 신탁계좌를 사채조기상환에 대한 담보로 제공했다. 티몬글로벌은 자본 확충을 위해 세워진 법인이기에 신탁계좌에는 32억원 규모에 불과했고 티몬 신탁계좌 예치금이 1000억원 수준이었다.
그러던 중 2023년 중 투자자가 조기상환권을 청구했고 이에 티몬은 티몬글로벌과 금전 소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대여금으로 1000억원을 계상했다. 해당 대여금에 대해서는 회수가능금액을 평가해 손실충당금을 매겼고 이는 1005억원에 달한다.
문제는 티몬은 이미 2023년 영업손실로 2489억원을 기록할 정도로 수익성이 악화된 상태였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한 수치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의 시작점이 되는 당기순손실 역시 -2564억원으로 54% 증가했다.

주목할 점은 당기순손실 증가 폭은 크게 늘어났지만 영업활동현금흐름은 -25억원으로 전년 동기(-304억원)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됐다는 것이다. 이는 매입채무인 외상매입금을 2213억원 늘린 영향이 컸다. 미지급금도 584억원 늘어나면서 현금흐름표 상에서는 현금이 유입된 효과를 봤다. 실제로 2023년 말 기준 1년 미만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는 876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다.
현금 유입이 이뤄지지 않는 상황 속 티몬은 다시금 35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하며 현금을 조달했다. 외부 조달로 보유 현금성자산은 79억원에서 159억원으로 소폭 늘었지만 재무 부담도 커졌다.
2023년 말 기준 티몬의 유동자산은 전년 동기 대비 26.4% 감소한 964억원이다. 다만 1년 이내 갚아야 할 부채를 의미하는 유동부채는 9576억원으로 33% 늘었다. 기업의 단기 지급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유동비율은 993%다. 유동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은 1년 이내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자산으로 1년 안에 만기가 돌아오는 유동부채를 충당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현금 창출력이 망가진 상황 속 결손금 규모도 눈에 띄게 불어나고 있다. 2023년 말 기준 티몬의 결손금은 1조522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했다. 자본총계는 -8832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다.
티몬과 감사계약을 체결하던 삼일회계법인은 “계속기업가정에 유의적 의문을 제기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회사의 경영진은 계속기업가정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계속기업가정의 사용이 적합한지에 대한 충분하고 적합한 감사증거를 입수할 수 없었다”라며 감사의견에 대한 의견 거절 의사를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GK인사이츠', 첫 이사회…'글로벌 베스트 컴퍼니' 프로젝트 시동
- 이차전지 상장사 윤성에프앤씨, 400억 CB 발행 성공
- '대형 PE 각축' LG화학 워터솔루션 인수전, 글랜우드 PE 승기
- [Korean Paper]등급전망 '긍정적' 동양생명, 5년만에 후순위채 복귀전
- 리브스메드, 흑자전환 여건 개선…5월 예심청구
- 혁신산업펀드, 성장지원 지원자 대거 서류 탈락
- 롯데칠성음료, '새로' 고객 접점 확대에 방점
- [New Issuer]한국물 데뷔 도전 포스코홀딩스, '장기물' 베팅 전략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미국발 훈풍, 국내 LNG 플레이어 수혜 '부각'
- 두산건설, '창원 메가시티 자이&위브' 무순위 청약
김혜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롯데칠성음료, '새로' 고객 접점 확대에 방점
- [영업권 모니터링]'바닥 다진' 코리아세븐, '손상차손' 인식도 끝
- [비상장사 재무분석]교원, 적자 폭 축소에 현금 곳간도 '여유'
- [에이피알을 움직이는 사람들]신재우 상무, '급속 성장' 견인한 뷰티 디바이스 혁신가
- [에이피알을 움직이는 사람들]신재하 부사장, 주가 책임지는 에이피알 '얼굴'
- [에이피알을 움직이는 사람들]김병훈 대표, 젊은 감각으로 '변화의 흐름' 재편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투썸플레이스, '투자·상환' 일단락에 회수 여력 '확대'
- '9부 능선' 티빙-웨이브 합병, K콘텐츠 산업 '기대감'
- 동서식품, '맥심플랜트' 앞세운 고객 접점 확대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투썸플레이스, '투자'에 방점 찍은 기업가치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