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명소노, 에어프레미아 지분 인수 ‘사전 협의’ 경영권 분쟁 리스크 줄이고 항공업 진출 교두보 마련
고설봉 기자공개 2024-10-21 11:02:15
이 기사는 2024년 10월 16일 16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명소노그룹이 에어프레미아 2대 주주로 올라서는 과정에서 경영권 분쟁 요소를 최대한 제거한 것으로 평가된다. 딜 상대방인 JC파트너스 외에 기존 주주 및 경영진과 사전 협의가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앞서 대명소노그룹은 티웨이항공 지분 인수 과정에선 예림당 등 주주 및 경영진과 접촉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티웨이항공 경영권 확보를 위해 향해 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그러나 이번 에어프레미아 지분 인수 과정에선 다른 방식을 선택하며 전략을 차별화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1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명소노그룹은 JC파트너스로부터 에어프레미아 지분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최대주주인 AP홀딩스와 경영진 등과 협의를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 JC파트너스와 AP홀딩스, 에어프레미아 경영진은 상호 약정에 근거해 공동 의결권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5일 소노인터내셔널은 에어프레미아의 2대주주인 제이씨에비에이션제1호 유한회사의 지분 50%를 취득했다고 공시했다. 제이씨에비에이션제1호는 사모펀드(PEF) 운용사 JC파트너스가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이다. 제이씨에비에이션제1호는 에어프레미아 지분 22.1%를 보유하고 있는 2대주주다.
이번 투자로 소노인터내셔널은 에어프레미아 지분 11%가량을 확보하며 항공업 진출 교두보를 마련했다. 대명소노그룹은 “항공업 시너지 창울을 위해 지분을 인수했다”고 밝혔다. 리조트 사업을 펼치는 가운데 항공업을 통해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향후 대명소노그룹은 에어프레미아 최대주주 등극과 경영권 행사 등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소노인터내셔널은 JC파트너스로부터 지분을 인수할 제이씨에비에이션제1호의 잔여 지분 50%를 내년 6월 이후 매수할 수 있는 매도청구권(콜옵션) 등을 확보했다. 사실상 에어프레미아의 2대주주가 JC파트너스에서 소노인터내셔널로 변경될 예정이다.
이 가운데 사전 협의 등을 통해 AP홀딩스 등이 보유한 에어프레미아 지분도 향후 인수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이미 JC파트너스는 AP홀딩스가 보유한 에어프레미아 지분(43.6%)에 대해 동반매도청구권(드래그얼롱)을 보유하고 있다. 대명소노그룹이 JC파트너스의 잔여 지분을 매입할 때 AP홀딩스 지분도 함께 인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주주간 계약에 따라 이번 지분 거래도 사전에 주주들간 협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또 유명섭 에어프레미아 사장 등도 지분 매각 전 JC파트너스로부터 관련 딜 정황을 공유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결과적으로 대명소노그룹의 에어프레미아 잔여 지분 인수와 경영권 확보는 큰 잡음 없이 진행될것으로 보인다. 사전에 주주간 약정으로 드래그얼롱이 발동될 예정인 가운데 키를 쥐고 있는 JC파트너스가 대명소노그룹에 콜옵션을 부여했기 때문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에어프레미아 경영진은 사전에 주주간 손바뀜을 공유받았고 대명소노그룹과 JC파트너스간 거래 사실을 알고 있었다”며 “대명소노그룹이 티웨이항공 지분을 JKL파트너스로부터 인수할 때와 상황이 조금 다르다”고 말했다.
앞서 대명소노그룹은 JKL파트너스로부터 티웨이항공 지분을 인수할 때는 사전에 주주간 협의 없이 진행했다. 예림당 및 티웨이홀딩스 등 최대주주는 물론 티웨이항공 경영진에도 거래 사실을 통보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갤럭시 언팩 2025]'엔비디아' 출신이 확신한 '무한' XR 경쟁력
- 율촌 그룹대표 전격 교체, 기업법무·금융 ‘박재현·신영수호 출항’
- 지주사 전환 취소 빙그레, 초조했던 '2개월'
- [서울보증보험 IPO]밸류에이션 38% 하향…상장 완주 의지
- 고려아연, '영풍 빼고' MBK에 화해 제스처...반응은 '냉랭'
- 산은, 정치리스크 우려 불구 아시아계 SSA서 안밀렸다
- '장기휴면' 회사채 발행사 속속 복귀…무림페이퍼도 동참
- [서울보증보험 IPO]상장 재수 본격화…올 두번째 코스피 주자 '유력'
- 쿼드운용, 한국단자공업에 주주서한…최대주주 설득 관건
- [헤지펀드 해외주식 시대]"해외주식 전문가 모십니다"…치솟는 매니저 몸값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현대차그룹 글로벌 정면승부]'한때의 적' GM·토요타 손잡고 중국 공세 대응
- [현대차그룹 글로벌 정면승부]2016년의 교훈...장벽 하나 못 넘으면 '침체의 늪' 재연
- [트럼프발 전기차 생크션 리스크]트럼프, K-전기차산업 '통째로' 흔들다
- 대한항공, '2025년 ESG보고서' 신뢰도 높인다
- [현대차그룹 글로벌 정면승부]2년 연속 최대 실적, '꼭지' 찍었나
- [한진칼 인사 풍향계]핵심보직 장악한 대한항공, 아시아나 임원 대거 퇴임
- [변곡점 맞은 해운업]'탄탄해진' HMM, '불황 맞설' 펀더멘털 과거와 다르다
- [변곡점 맞은 해운업]HMM, 최신·친환경 선박으로 '정면돌파'
- [thebell desk]무안공항 참사, 국토부 책임은 없을까
- [변곡점 맞은 해운업]컨테이너선 ‘대형화·쏠림화’ 국적선사 돌파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