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1월 20일 07시1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두 달만 기다리면 2025년의 봄이 찾아온다. 첨단 바이오 신약을 개발하는 기업들에게 봄은 계절이 바뀌듯 순조롭게 다가오진 않는 것 같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압타머 신약 개발을 시도하는 압타머사이언스도 봄을 고대하고 있다.학계에서 새로운 생명공학 개념이 나온 다음 최소 20여 년의 시간이 지나야 관련 신약이 상업화 궤도에 오른다. 대표적인 예가 항암 치료 시장을 평정한 항체 기반 면역관문억제제다.
일본 도쿄대 연구진이 1992년 암세포를 공격하는 T세포 표면 막단백질 'PD-1'을 찾아냈다. 이런 면역관문 수용체 단백질을 타깃하면 면역세포가 더 높은 확률로 암을 공격하게 만들 수 있을 것으로 해석됐다. 결국 2011년 최초의 면역관문억제제 '여보이'가 미국에서 승인됐다. 3년 뒤인 2014년에는 해당 분야 최대 블록버스터 약물로 성장하게 되는 '키트루다'도 탄생했다.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처럼 운이 좋은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한 아이디어는 1990년대 들어 처음 제기됐다. 하지만 규제기관이 한 번도 겪어보지 않은 종류의 약물이라는 점이 개발 걸림돌이었다. 빨라도 2030년이 넘어야 첫 mRNA 백신이 나올 것으로 전망됐다. 그런데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화이자가 mRNA 백신의 상업화 개발에 나선지 9개월만인 2020년 말 긴급승인을 받는 데 성공했다.
압타머는 면역관문억제제나 mRNA 백신 중 어느 성공 루트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압타머는 RNA보다 훨씬 길이가 짧은 올리고 핵산이다. 1990년대 초반부터 연구되기 시작됐다. 2005년과 2023년에 각각 1종씩 총 2종의 압타머 신약이 나오기도 했다. 적응증이 모두 안과질환인데다 항체 기반 경쟁약으로 인해 힘을 못 쓰는 상태다. mRNA 백신과 같은 계열임에도 개발 기간이 단축될 여지도 보이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압타머사이언스는 항암 압타머 신약 개발을 시도하는 중이다. 차세대 항암 모달리티로 떠오른 '항체약물접합체(ADC)'와 압타머를 융합했다. 항체 대신 압타머를 적용한 '압타머약물접합체(ApDC)'다. 작년 10월 관련 파이프라인의 국내 임상 1상을 승인받기도 했다.
시가총액이 약 300억원인 작은 바이오텍의 무모한 도전일 수 있다. 하지만 바이오텍 대장격인 알테오젠도 이 같은 시기를 거쳤다. 압타머사이언스를 비롯해 성장을 향해 달리는 바이오텍에게 필요한 것은 인내심을 갖고 봄을 앞당길 최선의 준비를 다하는 일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미술품 증권신고서 분석]아티피오, 투자증권 정정 후 통과…핵심은 '배당소득세'
- [i-point]소룩스 "주가하락 반대매매 탓, 임상·합병 추진 계속"
- 파인밸류운용 꽂힌 PGT…2차전지 리튬염 생산 본격화
- [i-point]아이티센 "금 품귀 현상, 조각투자·개인거래 등 대안 주목"
- 무뇨스 현대차 사장, 첫 타운홀 미팅…'3H 청사진' 의미는
- '현대엔지 시공' 신광교 클라우드시티 '반도체 수요 겨냥'
- 에스이인터, ‘젤라또피케’ 브랜드 안착…사업 다각화 순항
- [에이유브랜즈 IPO]무신사 플랫폼 동반성장, 브랜드 발굴 '성공작' 나올까
- [주주총회 프리뷰]주주서한 받은 농심, '기업가치 정상화' 요구 배경은
- [Company Watch]현대지에프홀딩스, 재무 청사진 '순차입금 20% 감축'
김진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note]큐라클의 신약개발, 규제도 변할 수 있다
- 대화제약, 비운의 약 '리포락셀' 유방암 확장전략 청신호
- 큐로셀 '안발셀' 하반기 출시 예고, 영업망 선점 '관건'
- 제놀루션, 꿀벌감염병약 조달청 신청…하반기 판매 예고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미국 진출 전초기지 '텍사스' 낙점
- [thebell interview]티움바이오 "올해 임상 속도조절, 넥스트는 희귀질환 ADC"
- 삼성바이오로직스, 새 CFO 사내이사 추대 '권한강화' 예고
- 동아에스티의 R&D 명암, 매출 늘고 수익성 줄고
- FDA 만나는 큐라클, 'CU06' 후기임상 '시력 효능' 지표 타진
- '6년만에 순이익' 유바이오로직스, 불안한 '트럼프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