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1월 15일 08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그룹마다 상징성을 갖춘 터가 있다. 삼성은 호암아트홀이 있었던 서소문 사옥을 재개발 중이다. SK는 서린빌딩을 중심으로 종로에 자리 잡았다. LG는 여의도 쌍둥이빌딩, 롯데는 잠실 롯데월드타워가 그룹의 근거지가 되고 있다. 현대차는 삼성동 GBC에 신사옥을 짓고 계열사를 모으기로 했다.달리 말하면 지금의 대한민국을 만든 그룹 오너들은 대부분 한 자리를 지키고자 했다. 그룹의 정신이 모이고 성장의 역사를 함께 할 공간의 중요성을 알고 있다는 뜻이다. 글로벌 기업들도 마찬가지다. 누군가는 구글 입사의 꿈을 캘리포니아 본사 출근으로 빗대어 표현하기도 한다.
DL그룹은 수송동 대림빌딩에서 사세를 키웠다. 1976년부터 2020년까지 약 44년간 수송동을 지켰다. 이곳에서 국내 최고(最古) 건설사인 대림산업(현 DL이앤씨)을 중심으로 한 국내 최초 건설그룹이 탄생했다. 2021년에는 그룹이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흩어져 있던 계열사를 돈의문 디타워로 모았다.
하지만 서대문은 DL그룹의 새로운 터전이 되어주지 못했다. 그룹의 주축인 DL이앤씨는 올해부터 마곡으로 옮겨가기로 했다. DL이앤씨의 자회사인 DL건설은 부천으로 이전을 검토 중이다. 나머지 계열사들은 재건축을 추진 중인 대림빌딩으로 복귀하기로 했다. 또 다시 그룹이 뿔뿔이 흩어지게 된 셈이다.
언뜻 수송동의 레거시를 이어 받는 듯 보이지만 아니다. 대림빌딩을 임시청사로 사용하고 있던 종로구청이 사무실을 이전한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소위 이 자리를 몇몇 계열사들이 메우러 가는 데 불과하기 때문이다. 2027년 이후 대림빌딩 재건축이 본격화되고 새로운 건물이 들어서더라도 이곳에 다시 그룹이 모일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는 뜻이다.
DL그룹 임직원들도 수년이 지난 뒤에는 또 어디로 가게 될지 모른다고 말한다. 누군가는 단언하기도 한다. DL이앤씨의 개발사업지 중 임차인이 채워지지 않는 곳 또는 임대료가 싼 오피스로 가게 될 것이라고.
대림빌딩 재개발 사업의 본격 추진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서울시의 도시계획에 따라 개발사업 용적률이 상향 조정됐다. 기존의 최대 두 배 이상 연면적의 빌딩이 들어설 예정이다. DL그룹이 다시 모일 공간도 충분하다는 의미다. 언젠간 이 자리에서 그룹이 함께하길 기대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미 오너가 분쟁]형제 추천 사외이사 사임, 분쟁종식 가시화
- [i-point]'효율성 무게' 미래산업, 흑자전환 성공
- HPSP, 예스티가 제기한 특허권리심판 '각하 판정'
- 20돌 맞은 넥슨 던전앤파이터, 되살아난 '흥행가도'
- 현대차증권, S&T 헤드 스카우트…NH 출신 김영노
- [Market Watch]중국발 딥시크 충격에도…유틸리티 ETF에 쏠리는 눈
- 헤지펀드 운용사, 상장 나선 '아이에스티' 엑시트 채비
- [i-point]노을, 차세대 암진단 기술로 범부처 10대 대표과제 선정
- [Company Watch]한화에어로, 오션 지분 7% 매입에 1조…주가상승 실감
- [IR Briefing]이우현 OCI 회장, 미 태양광 시장 '낙관적'으로 보는 배경은
정지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5 리츠 정책 어젠다]정부가 내놓은 '프로젝트리츠', 후속조치 이행 '관건'
- 삼우종합건축, 디벨로퍼 도약…개발사업 키 쥔다
- [2025 건설사 분양 지도]포스코이앤씨, 2만호 공급…'오티에르' 첫 분양
- [건설리포트]금호건설, '아테라' 흥행에 현금 쌓였다
- [건설사 도시정비 경쟁력 점검]포스코이앤씨, '리모델링 기술' 앞세워 5조 돌파 도전
- [2025 건설사 분양 지도]HDC현산, '수도권 중심' 아이파크 1만 세대 공급 목표
- [디벨로퍼 프로젝트 리포트]청담 '은성빌딩' 개발 속도…루시아홀딩스 우군
- KDB생명타워 매각 판도 바뀐다…CJ올리브영 참전
- [PF Radar]HDC현산, 용산철도병원부지 개발사업 본PF 규모는
- [상장 리츠 리포트]NH프라임리츠의 저력 '연 배당률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