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도 ADC 열풍, 2025년 바이오 IPO ‘오름·인투셀’ 포문 '상장·예심통과' 1호 탄생, 트렌드 및 플랫폼 확장성 인정한 결과
김성아 기자공개 2025-01-20 09:08:35
이 기사는 2025년 01월 17일 09시3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2025년 제약바이오 기업공개(IPO) 시장 포문을 ‘항체-약물 접합체(ADC)’ 모달리티가 열었다. 올해 첫 바이오 상장사로 이름을 올릴 오름테라퓨틱과 1호 상장 예비심사 통과 기업으로 IPO 8부 능선을 넘은 인투셀은 모두 국내 대표 ADC 기업이다.올해 IPO 시장의 문을 연 투톱이 모두 ADC 기업인데는 모달리티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ADC 시장은 2019년 첫 허가를 받은 ADC 치료제 ‘엔허투’의 등장 이후 매년 가파르게 성장 중이다. 국내 기업 역시 하나 둘 두각을 드러내면서 성공 가능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공감대가 형성됐다.
◇바이오 IPO 포문 연 ADC, 오름·인투셀 ‘플랫폼’ 기술 주목
지난해부터 바이오 IPO 대어로 꼽히던 오름테라퓨틱은 올해 바이오 상장 첫 타자가 될 전망이다. 16일 투자설명서를 확정한 오름테라퓨틱은 17일부터 5일간 기간투자가 수요예측을 진행 후 2월 청약을 통해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다.
오름테라퓨틱이 투자설명서를 확정하며 상장 막바지에 다다른 당일 또 다른 ADC 기업 인투셀도 시장의 문턱을 넘었다. 한국거래소는 16일 오후 5시 인투셀의 코스닥 시장 상장 예비심사를 승인했다. 바이오 기업으로서는 올해 첫 예심 승인 기업이 된 셈이다.
주목할 만한 대목은 두 기업 모두 독자적인 ADC 플랫폼 기술을 확보한 기업이라는 점이다. 또 대형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확장성을 보여줬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오름테라퓨틱은 세계 최초로 ADC와 표적단백질분해제(TPD)를 결합하기 위한 ‘항체-접합 분해제(DAC)’ 플랫폼 ‘TPD²’를 개발했다. 인투셀 역시 아민 계열에만 적용할 수 있던 기존 링커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SIG-링커 플랫폼 기술 ‘오파스(OHAS)’ 등을 개발해 주목 받았다.
두 기업의 매출 기반 역시 플랫폼으로부터 발생하고 있다. 오름테라퓨틱은 지난해 버텍스 파마슈티컬즈에 플랫폼 기술이전을 성사시키며 매출의 지속성을 입증했다. 인투셀은 에이비엘바이오와의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IPO 전 매출 기반을 마련했다.
◇시장 설득한 핵심 ‘파트너사’ 국내외 대표기업 손잡고 가치 증명
IPO 이전 성사된 기술이전 딜은 오름테라퓨틱과 인투셀의 상장 승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서아론 한국거래소 기술기업상장부장은 작년 진행한 더벨 컨퍼런스에서 연사로 서 “규모가 큰 기업들과의 기술이전은 상장 심사 시 우수한 평가를 받는다”고 말한 바 있다.

오름테라퓨틱의 기술이전 상대방은 모두 빅파마다. BMS·버텍스 파마슈티컬즈와의 딜을 바탕으로 꾸려진 오름테라퓨틱의 매출 추정치는 최대 6300억원에 달하는 몸값의 주요 근거가 됐다. 오름테라퓨틱은 버텍스와의 딜 체결 이후 50일 만에 예심 통과라는 기록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인투셀 역시 예심 청구 이후 에이비엘바이오와 딜을 성사시키면서 기술력에 대한 신뢰도를 높였다. 2023년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체결한 공동연구개발 계약 역시 인투셀 기업가치 제고에 한 몫 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국내 바이오텍과 연구개발(R&D) 계약을 체결한 것은 인투셀이 처음이다.
IB업계 고위 관계자는 “최근 거래소에서는 명확한 기술이전 성과가 있으면 좀 더 원활한 심사를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두 기업 모두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ADC 기술 기업인데다 대표적인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었던 부분이 성장성을 입증하는 주요 요소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임재택 대표 자리 지킨다…KCGI 인수의지는 '여전'
- 임재택 변심에 당황한 다올증권, 황준호 체제 이어지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김광일 MBK 부회장 "전단채 내용 파악 아직"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고개 숙인 경영진, "모든 채권 변제 방침"
- '조단위 공모' DN솔루션즈, 유가증권시장 상장 시동
- 운용사 모으는 미래에셋증권, '포스트 IPO'까지 챙긴다
- NH프리미어블루, '알테오젠' 포트폴리오에 담았다
- 르네상스운용, '공모주플러스 2호' 펀드 론칭
- [교보악사운용은 지금]7년만에 ETF 시장 재진출…라인업 확보 필수불가결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하나증권, 단기물 투자자 대응에 '분주'
김성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제약사 IPO 전략 점검]GC그룹 내부거래로 큰 GC지놈, 현금조달 창구 '부상'
- [바이오 스톡 오해와 진실]오스코텍, 제노스코 상장 실패 유증 선회? "사실무근"
- 주주보상안 공개 '오스코텍', 제노스코 상장 의지 '굳건'
- 동아쏘시오, 인적쇄신 이어 계열사까지…첫 자회사 통합
- 제노스코 상장 결론 '목전'…주주보상안에도 거래소 '글쎄'
- [thebell note]리프레이밍, 바이오도 할 수 있다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IPO]부문 책임자로 채운 이사회, 기타비상무이사는 뺀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올해는 투자…차입상환 '내년부터'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IPO]청약 2주 앞두고 금감원 제동, 상장 지연 불가피
- [파마리서치 기업분석]글로벌 성장 만든 '오너-CEO' 콜라보, 2세 승계 데칼코마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