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변호인단 "SM 시세조종 지시? 당시 일본 출장" "김범수·배재현 독대" 검찰 주장에 "그럴 수 없었던 일정" 반박
최현서 기자공개 2025-01-20 08:26:02
이 기사는 2025년 01월 17일 18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배재현 카카오 전 투자총괄대표가 브라이언(김범수 카카오 CA협의체 공동의장)과 둘이 따로 만나 SM(엔터테인먼트) 투자를 결정하고 진행했다면, 2023년 1~2월에 있었던 수많은 회의가 왜 필요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황태선 카카오 CA협의체 총괄대표가 17일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열린 김 공동의장(사진)의 'SM엔터테인먼트 주가조작 혐의' 공판에 출석해 이 같이 말했다. 김 공동의장과 배 전 투자총괄대표가 회의 종료 후 둘이 따로 대화해 SM엔터테인먼트 인수를 결정했다고 주장하는 검찰 측 주장에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황 총괄대표는 2008년 SK텔레콤에 입사해 10년간 근무한 뒤 2018년에 카카오로 이직했다. 그 해부터 2023년 10월까지 '브라이언오피스' 실장으로 근무했다. 지난해 1월부터는 CA협의체 총괄대표직을 역임하고 있다.
브라이언오피스는 김 공동의장을 보좌하는 조직이다. 황 총괄대표는 사실상 김 공동의장의 수행비서 역할을 하면서 김 공동의장의 공식 일정에 대부분 함께 했다. 카카오가 SM엔터테인먼트 인수를 위해 열었던 많은 회의에도 참석했다. 이번 공판에 황 총괄대표가 증인으로 출석한 배경이 됐다. 황 총괄대표가 대외 일정에 공개적으로 참석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검찰은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인수에 반대해 왔던 김 공동의장이 배 전 투자총괄대표의 독대를 통해 입장을 바꿨으며 시세조종을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2023년 2월 6일 김 공동의장이 케이큐브홀딩스 관련 회의를 마친 자리에서 배 전 투자총괄대표와 독대했다고 밝힌 강호중 카카오 투자전략실장의 증언을 인용했다.
김 공동의장의 변호인은 이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이날 김 공동의장은 케이큐브홀딩스 회의 직후 일정이 차있었기 때문에 배 전 투자총괄대표를 만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다고 주장했다.
변호인단은 "이날 김 공동의장은 케이큐브홀딩스 회의 직후 황 총괄대표, 정신아 당시 카카오벤처스 대표와의 티미팅 등이 잡혀 있었다"며 "배 전 투자총괄대표가 SM엔터테인먼트 관련 안건을 별도로 보고할 수 있는 물리적 시간이 있었다고 볼 수 없다"고 했다.
황 총괄대표도 '지원사격'을 했다. 황 총괄대표는 "2023년 2월은 연초이기 때문에 인사 면담이 많이 잡혀있는 때"라며 "티미팅을 잡는 경우는 평소에 없다. 케이큐브홀딩스 회의 직후 김 공동의장과의 티미팅이 잡혀 있었기 때문에 바로 (김 공동의장의) 집무실로 이동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검찰은 "황 총괄대표는 2023년 2월 12일 배 전 투자총괄대표가 김 공동의장의 자택에 가는 줄 몰랐고, 이틀 뒤 김 공동의장이 방시혁 하이브 의장과 만난 것도 몰랐다"며 "케이큐브홀딩스 회의 외에 배 전 투자총괄대표가 김 공동의장과 따로 안 만났을 것이라고 장담할 수 있느냐"고 반박했다.
검찰이 확보한 위치추적 자료에 따르면 배 전 투자총괄대표는 2023년 2월 12일 오후 1시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카카오 사무실 '카카오 아지트'에 방문했다가 김 공동의장의 자택에 방문했다. 같은 달 14일에는 김 공동의장이 방 의장을 만났다.
이날 공판에는 김 공동의장의 항공권이 새 근거로 제시됐다. 변호인단에 따르면 픽코마 사내이사를 역임하고 있었던 김 공동의장은 2023년 2월 20일부터 26일까지 일본에 출장을 다녀왔다. 이 기간 김 공동의장이 SM엔터테인먼트 주가 조작을 논의하고 지시했다는 검찰의 주장과 배치된다.
변호인단은 "물리적으로 배 전 투자총괄대표가 김 공동의장에게 보고를 하거나 김 공동의장으로부터 승인을 받을 수 있을 수 없었다"며 "배 전 투자총괄도 2023년 2월 18일부터 21일까지 일본으로 출장을 갔기 때문에 다른 경영진을 배제하고 따로 김 공동의장을 만날 시간이 없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카드사 생크션 리스크]현대카드, 같은 실수 반복 없었다…'임원 리스크' 최소화
- [캐피탈사 생크션 리스크]KB캐피탈, 줄어드는 당국 제재…내부통제 운영역량 제고
- [저축은행 생크션 리스크]사고 반복되는 서민금융기관, 내부통제 곳곳 '허점'
- [금융권 AI 빅뱅과 리스크]IBK기업은행, AI '공공성·혁신·윤리' 다 잡는다
- [캐피탈사 생크션 리스크]현대커머셜, 해외투자 모색에 내부통제 고도화 행보
- [중견·중소 보험사는 지금]한화손보, 점유율 아쉽지만 경쟁력 '이상무'
- [롯데캐피탈은 지금]롯데 남은 유일한 금융사…계열 자금 지원하는 '캐시카우'로
- [금융권 AI 빅뱅과 리스크]혁신 '선두 주자' 신한은행, 위험 관리도 고도화 박차
- BNK캐피탈, 라오스·캄보디아 법인에 자금 수혈 나선 이유
- 이복현 금감원장 "부정 대출 원인, 개인 일탈 아닌 조직 문화"
최현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노와이어리스, 영업익 77% 급감·해외 법인 부진 '골치'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2년만 수장 교체 'B2B 교통정리'
- [클라우드 키플레이어 MSP 점검]IPO 놓친 베스핀글로벌, 늘어난 비용 통제법 'AI 올인'
- [클라우드 키플레이어 MSP 점검] 베스핀글로벌, 가파른 성장에 가려진 저조한 수익성
- 쏠리드, 트럼프 네트워크 투자 확대 소식에 '주가 훈풍'
- [안랩 30년의 명암]늘어난 배당금, 창업주 '곳간 채우기' 역할
- [안랩 30년의 명암]12년만에 가격 올린 V3, 영업비용 방어 '통할까'
- [안랩 30년의 명암]2018년부터 준비한 AI '성과는 안 보인다'
- [안랩 30년의 명암]실패만 맛본 해외 진출 20년, 중동에선 다를까
- 카카오 변호인단 "SM 시세조종 지시? 당시 일본 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