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M 컨퍼런스 2025]미국 찍고 브라질로…윤성태 휴온스 회장의 글로벌 행보JPM 행사 4일차까지 발표 청취, 트렌드 파악…곧바로 휴메딕스 브라질 사업 점검
이기욱 기자공개 2025-01-22 08:19:11
이 기사는 2025년 01월 21일 14시4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윤성태 휴온스그룹 회장(사진)이 분주한 신년 행보로 글로벌을 찍었다. JP모간 헬스케어 컨퍼런스 참관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후 곧장 브라질 출장 일정까지 소화하고 있다.JP모간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는 행사 마지막 날인 4일차까지 자리를 지키며 다양한 분야의 발표를 듣고 글로벌 트렌드를 파악했다. 이번 주에는 브라질에서 자회사 휴메딕스의 현지 수출 사업을 점검할 예정이다.
윤 회장은 미국 현지시간 이달 13일부터 16일까지 열린 JP모간 헬스케어 컨퍼런스 행사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휴온스는 이번 행사 참가 사실을 별도로 외부에 알리지 않았고 윤 회장과 이영선 휴온스랩 바이오연구소 최고비즈니스책임자(CBO) 전무 등이 참석해 일정을 챙겼다.

윤 회장은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떨어지는 행사 4일차까지 행사장을 방문해 기업들의 발표를 듣고 공부하는 모습을 보였다.
윤 회장은 옛 광명제약의 창업주 고 윤명용 회장의 외아들이다. 지주회사 휴온스글로벌의 지분 43.84%를 갖고 있는 최대주주다. 그룹 오너가 직접 다른 기업들의 발표를 찾아다니며 업계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그는 JP모간 헬스케어 컨퍼런스 행사장 내부에서 더벨과 만나 "특정 분야를 정해놓지는 않고 다양하게 들으며 공부하는 중"이라며 "올해 행사의 트렌드는 ADC와 비만치료제였던 것 같다"고 말했다.
윤 회장은 행사 종료 이후에도 귀국하지 않고 곧장 또 다른 해외 일정을 소화 중이다. 미국에서 브라질로 이동해 이번 주까지 업무를 보고 주말쯤 귀국할 예정이다.
브라질 출장은 자회사 휴메딕스 사업 관련 업무로 파악된다. 휴메딕스는 필러와 보툴리늄 톡신, 화장품 등 미용의료 제품을 취급하는 계열사다. 2022년부터 브라질 시장에 진출해 주요 수익원으로 육성 중이다.
작년 3분기 기준 휴메딕스의 해외수출 매출은 273억원으로 이중 36%가 브라질에서 발생했다. 59%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 시장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휴온스글로벌 관계자는 "회장의 자세한 출장 업무 및 일정 등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자회사 휴메딕스 사업 관련해서 브라질 방문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 '빅딜 주역 라노바까지' 지아이이노의 인맥, ADC 파트너로
- 온코닉 CFO의 '신약 마케팅' P-CAB 다음 네수파립까지
- 아리바이오 치매약 임상 총괄 '美지사' "복약 편의성 핵심"
- 'K-뷰티' 알린 휴젤·클래시스, 공통 과제는 '글로벌 확장'
- 브릿지바이오, IPF 연내 성과 자신 'L/O-M&A' 선순환 예고
- 에이비엘바이오 "우시 동행 지속, 미국법인 세팅 막바지"
- 롯데바이오, 캐파경쟁 'NO' 차별화 전략으로 "연내 수주"
- 암젠·화이자 본격 참전, 불붙는 글로벌 비만약 전쟁
- CEO·CFO 함께 뛴 에이비온 "목표는 바바메킵 연내 L/O"
- 삼성바이오로직스 미래 'ADC', 빅파마 17곳 잠재고객 부상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자가면역질환 신약' 이노보테라퓨틱스, 미국 임상 1상 '성공적'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엔비디아 ‘커넥트’ 공식 파트너 선정
- [i-point]신성이엔지, 한국종합기술·다스코와 연료전지 발전사업 협약
- [i-point]신테카바이오, 'PEGS 보스턴 2025' 참가
- [AACR 2025]첫 구두발표 진씨커, 경쟁사 넘보는 '유전자가위 액체생검'
- [AACR 2025]이뮨온시아 'CD47' 안전성 굳히기 "경쟁약과 다르다"
- [AACR 2025]항암 신약 항체 대신 '페라틴', 셀레메디 플랫폼 데뷔전
- [AACR 2025]근거 쌓는 '루닛 스코프' 빅파마 공동연구 쇼케이스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변화의 마지막 카드, 경영진 교체 '강수' 두나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속절없는 주가 하락 '트리거', 주가 부양 의지 없었나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BIO KOREA 2025]셀인셀즈, 오가노이드 원천기술 우수성 입증 "이제는 BD"
- [동성제약 오너십 체인지]1억에 부도, 오너 분쟁 격화…원용민 CFO "정상화 우선"
- [동성제약 오너십 체인지]차입 500억에 회생신청? 오너 분쟁에 기업 존폐 기로
- [동성제약 오너십 체인지]삼촌 이양구 회장에 맞선 조카 나원균 대표, 우군 확보 사활
- [BIO KOREA 2025]주요국 넘어 중동까지, 'K-바이오' 기회의 장 넓어진다
- 카카오헬스, 300억 유증의 의미 '그룹 신성장' 위상 굳히기
- [바이오 스톡 오해와 진실]보로노이 'VRN11' 임상 데이터 이견, 핵심은 약 없는 'C797S'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JW중외제약, 빈혈 치료제는 지연…기대되는 '통풍 신약'
- 제테마, 필러 중국서 '첫 발'…차별화는 '안전성·고급화'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 안보는 동국제약, 제네릭 잇는 '의료기기'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