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그나칩 자회사 매각 군침? 국내 기업들 '관심 없어' DDI 업황 악화 지속 영향, 설계 핵심 인력 이탈도 이어져
노태민 기자공개 2025-02-05 09:37:07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3일 18시4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시스템반도체 기업 매그나칩(Magnachip)이 자회사 '매그나칩믹스드시그널(Magnachip Mixed-Signal)' 매각을 진행 중이란 소식이 최근 전해졌다. 매그나칩믹스드시그널은 디스플레이구동칩(DDI) 및 파워 IC 팹리스 부문 사업을 운영하는 곳이다.정작 국내 기업들의 관심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력한 원매자로 거론된 두산그룹과 LX그룹 모두 DDI 사업이 아닌 매그나칩의 '전력반도체 사업 및 팹'에 관심을 내비쳤던 것으로 전해졌다. 매그나칩 전체를 매각하지 않는 이상 DDI 부문 별도 매각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매그나칩, 팹리스 자회사 매각 추진
매그나칩은 2023년 4분기 DDI 사업부 및 파워 IC 사업부를 분사해 매그나칩믹스드시그널을 신설했다. 물적 분할과 유사한 현물 출자 형태로 진행됐다. 이를 통해 회사의 파워 아날로그 솔루션 사업은 매그나칩이, DDI 사업과 파워 IC 사업은 매그나칩믹스드시그널이 맡게 됐다.
매그나칩은 분사 당시 "이번 전략적 분리는 매그나칩에게 중요한 이정표"라며 "주주들의 장기적인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회사의 노력"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매그나칩의 표면적인 의도와 달리 매그나칩믹스드시그널 신설이 매각을 위한 작업이라는 평을 내놨었다. 원매자들이 매그나칩 전체를 인수하기보다는 개별 사업부 인수만을 원했기 때문이다.
실제 매그나칩믹스드시그널이 매물로 최근 나왔지만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인수에 미지근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상태다. DDI 업황 악화의 영향이 크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는 전세계 DDI 시장 규모가 2023년 95억달러(13조46억원)에서 2030년 75억달러(10조2668억원)까지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LX세미콘이 대표적인 사례"라며 "지난 2022년 LX세미콘은 매그나칩의 전력반도체 사업만을 인수하려고 했고 매그나칩은 전체 사업부 매각을 추진했었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기업 입장에서는 매그나칩믹스드시그널이 딱히 매력적인 매물이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매그나칩믹스드시그널의 매각이 어려워 보이는 배경으로 핵심 인력 이탈 등 영향 역시 자리잡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매그나칩은 경쟁사인 원익디투아이로 이직한 임직원 8명에 대해 전직금지 가처분 신청 등 법적 조치까지 진행했으나 인력 이탈을 막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외에도 원매자(LX세미콘, DB하이텍)로 거론되는 기업들은 DDI 내재화로 인수 의사가 적은 것으로로 확인됐다. 매그나칩믹스드시그널이 삼성전자 DDI 밸류체인에서 배제되는 상황에서 인수 시 시너지가 적다는 판단에서다.
DB하이텍 등 기업에게는 매력적인 매물로 여겨질 수 있다는 시선도 있다. 매그나칩믹스드시그널 인수 시 중국 OLED 시장 진출과 전력관리반도체(PMIC) 시장 진출이 가능하다. DB하이텍의 팹리스 자회사인 DB글로벌칩은 최근 디스플레이 PMIC 시장 진출을 위해 관련 과제와 인력 채용을 진행 중이다.
다만 DB하이텍 측도 매그나칩 매각 쪽과 접촉은 했으나 최종적으로 인수 의사는 접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기업 '매그나칩'에 관심, 회사는 매각 '부인'
이외에 LX세미콘, 두산테스나 등 인수 유력 국내 기업으로 거론된 곳들도 관심을 보인 있는 매물은 DDI가 아닌 '매그나칩'인 것으로 전해졌다. 매그나칩은 아날로그 반도체 등을 생산하는 종합반도체기업(IDM)으로 경상북도 구미시에 8인치 팹을 보유 중이다.
두산그룹은 매그나칩 인수를 위해 지난해 팹 실사 등 절차를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만약 매그나칩을 인수하게 되면 반도체 후공정뿐 아니라 전·후공정을 아우르는 포트폴리오까지 갖추게 된다. 다만 두산그룹은 매그나칩 팹 노후화 등을 이유로 인수를 포기했다.
LX세미콘에게는 아직까지 매력적인 매물로 거론된다. 매그나칩을 품어 전력반도체 사업을 갖게 되면 DDI 매출 의존도를 단숨에 낯출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매그나칩 팹 정비를 통해 자사 DDI 등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된다.
이런 가운데 매그나칩은 회사 매각 소식이 '루머'라는 입장이다. 매그나칩 관계자는 매그나칩 혹은 매그나칩믹스드시그널 매각을 추진 중이냐는 질의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했다. 이어 "좋은 기회가 있으면 회사 매각을 추진할 수도 있다"고 답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빅데이터' 뉴엔AI, 코스닥 상장 예심 4개월만 통과
- NH농협은행, '단기채·가치주' 고수…안정성 중점
- 라이프운용 PIV펀드, KB증권서 300억 자금몰이
- 신한PBS-타임폴리오, 두 번째 맞손…롱숏에 힘쏟는다
- [택스센터를 움직이는 사람들]"세무·법률·부동산 전문가 라인업…'연구 DNA' 전문성 제고"
- 신한증권 가판대 전면 재배치, 기아·삼전 신규 등판
- [연금시장에 분 RA 바람]AI PB의 등장…규제 탓에 더뎠던 확산 속도
- 블루코브운용, 명동 뉴오리엔탈호텔 인수한다
- 미래에셋운용 '핀→테크' 진화…퇴직연금 RA 진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 현대제철 미국 현지 JV 검토 배경은
노태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 하반기 HBM4 로직다이 양산 '파운드리 가동률↑'
- '군살빼기' 나선 네패스, 경영지원 수장 교체
- 에이직랜드, 직급 체계 변경에…다수 임원 주식 '깜깜이'
- [Company Watch]주성엔지, 1208억 달한 계약부채 '신규수주 UP'
- 퓨리오사AI, 600억 조달 자금 '레니게이드' 양산에 투입
- [LG그룹 로봇사업 점검]로봇 시장 공략 LG엔솔, 전기차 비중 낮춘다
- '전력반도체 올인' 매그나칩, 2분기 내 DDI 철수
- 용석우 사장 "글로벌 생산 거점 통해 미 정부 관세 대응"
- [Company Watch]SK파워텍, '283억 대출만기' 상환 여력 부실
- [토종 AI 반도체 생태계 분석]파네시아, 차세대 AI 전장' 대응 'CXL 스위치'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