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모니터]주판알 튕기는 롯데지주, 글로벌로지스 상장 완주할까몸값 높이고 싶지만 시장 냉랭…공모 지연 불가피
윤진현 기자공개 2025-02-07 08:10:24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4일 15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얼어붙었던 공모주 시장에서 대형 IPO(기업공개)가 안정적으로 소화되자 또 다른 대기업 딜인 롯데글로벌로지스의 IPO에 관심이 쏠린다. 이미 이사회 결의를 마쳐 공모 구조에 대한 논의를 끝냈지만 일정이 계획보다 연기될 가능성이 제기된다.롯데지주의 승인이 떨어지지 않은 탓이다. 그 배경으론 재무적 투자자(FI)의 수익 보전 약정이 꼽힌다. 공모가 수준이 FI 약정 단가보다 낮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 경우 지주가 일부 지분을 인수하기로 했다. 지주의 입장에선 기업가치를 끌어올려야 하지만, 현 공모주 시장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상황으로 분석된다.
◇이사회 가결 불구, 롯데지주 적정 IPO '고심'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지난해 12월 27일 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상장 심사 승인을 받았다. 올 1~2월 내에 공모에 돌입하는 안이 유력하다고 여겨졌지만, 준비 절차가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다.
이미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지난해 12월 30일 이사회를 열고 공모 구조 관련 안건을 확정한 바 있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 모집 및 구주매출 방향성을 세웠다. 심사 승인 직후 이사회 절차를 마침으로써 공모 완주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내부 정비를 마쳤지만, 롯데글로벌로지스의 공모는 예상보다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롯데글로벌로지스의 공모를 위한 마지막 관문인 롯데지주의 승인이 아직인 탓이다.
롯데그룹의 핵심 자회사인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지주 승인을 받아 상장 절차에 돌입해야 한다. 공모 시점과 밸류에이션 눈높이 등을 보고해야 한다는 의미다. 롯데글로벌로지스의 공모가 수준이 FI과 맺은 약정보다 못 미칠 땐 지주가 지분 일부를 인수해 보전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간 시장에서 롯데글로벌로지스의 상장 밸류를 1조원 이상으로 거론한 이유기도 하다. IB 업계 관계자는 "밸류에이션 작업을 비롯한 신고서 제출 채비는 거의 마무리됐지만 예상보다 공모 시점이 늦어질 전망"이라며 "시장 분위기에 맞는 적정 밸류에이션을 둘러싼 의견 조율이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밸류 눈높이 '관건'…시장 평가 '오리무중'
국내 피어그룹만을 적용해 1조원을 상회하는 밸류가 나오기 쉽지 않기에 지주의 고민이 깊어진다는 해석이 제기된다. 시장에서 내다본 롯데글로벌로지스의 상장 밸류는 약 7000~8000억원이다.
우리나라 대표 물류기업인 CJ대한통운과 한진의 기업가치/상각전영업이익(EV/EBITDA) 멀티플이 약 3.5~4배로 산정된다. 롯데글로벌로지스의 EBITDA가 2023년 기준 2840억임을 고려할 때 이같은 밸류가 나온다.
가치평가 방식을 PER(주가수익비율)로 맞추면 기업가치는 더 내려간다. CJ대한통운과 한진의 PER이 현 시점 기준 각각 8배, 12배로 분석된다. 롯데글로벌로지스의 순익(300억원)에 PER배수를 적용하면 약 2400~3600억원의 기업가치가 나온다.
롯데지주의 입장에선 기업가치를 높이는 게 중요하다 해도 시장에서 이 밸류를 그대로 용인할 지 여부는 또 다른 이야기다. 연초 이슈어에 따른 옥석가리기 현상이 대형 IPO 딜에서도 관측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서다.
IB 업계 관계자는 "시장에 대기중인 대형 코스피 딜이 최소 5건으로 공모 자금의 분산이 전망되기에 투자자들도 보다 보수적일 수밖에 없다"며 "고밸류를 고집하기 어려운 환경인 점이 고려 요인"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윤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넥스트증권의 도전]'파격 MTS' 내년 공개…AI 플랫폼 로드맵 '첫 단추'
- [GC지놈 IPO]국내사 턴어라운드 아직…미국·이탈리아 '피어그룹' 채택
- [GC지놈 IPO]기술특례 트랙 고려, 중립적 실적 시나리오 채택
- [넥스트증권의 도전]글로벌 자본도 움직였다…김승연식 '증권모델'에 배팅
- [증권사 생크션 리스크 점검]'관리의 삼성' 5년간 제재는 '단 3건'
- [무신사 IPO]'유니콘' 주관 경쟁 임박 신호…너도나도 '영업모드'
- [넥스트증권의 도전]투자 열풍이 바꾼 증권업 판도...'B2C 비즈니스' 출사표
- 포바이포·살린, 'D.N.A. 파트너십 동반진출 사업' 선정
- [젠바디 IPO]코로나 후유증 극복 관건…피어그룹 회복 '청신호'
- [IPO 모니터]8년만에 대형스팩 합병 '눈앞', 케이지에이 몸값 낮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