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note]신홍섭 KB저축은행 대표의 '이유 있는' 목표
류정현 기자공개 2021-01-15 09:22:56
이 기사는 2021년 01월 14일 10:3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금까지보다 훨씬 큰 목표를 세웠다. 올해 자산 순위를 업계 10위 안까지 끌어 올리겠다.”신홍섭 KB저축은행 대표는 지난해말 연임을 확정 지은 날 통화에서 올해 자산 규모 기준으로 열 손가락 안에 들겠다고 천명했다. 혹자에게는 소소한 목표처럼 보일 수도 있다. 보통 KB금융계열 회사들은 진출한 사업 분야에서 세 손가락 안에는 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축은행 업계에서 KB의 위상은 조금 다르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KB저축은행의 자산 규모는 약 1조7000억원이다. 업계 10위 안에 드는 곳들은 최소 2조원에서 많게는 10조원대 덩치를 자랑한다. 1년 안에 격차를 좁히려면 꽤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야 한다. 그의 말마따나 커다란 계획이다.
주목할 점은 마냥 근거 없는 소리가 아니라는 데 있다. 신 대표는 2017년 말 취임한 이후 줄곧 인터넷은행 수준으로 디지털 역량을 기르겠다고 밝혀왔다. 이에 맞춰 조직개편은 물론이고 기존 플랫폼도 전면 개편해 지난해 4월에는 ‘키위뱅크’를 탄생시켰다.
꾸준한 디지털 행보는 현장에서 빛을 발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지난해 8월, KB저축은행 건물에서도 확진자가 나왔다. 여·수신 업무를 담당하는 주요 5개 부서 직원이 나란히 자가격리에 들어갔다. 보통의 금융회사라면 필수 인력이라도 출근해 업무를 맡았을 것이다.
그러나 KB저축은행은 달랐다. 평소와 다름없이 여·수신 절차를 진행했다. 키위뱅크에 직원의 물리적 개입이 필요 없는 덕이다. KB저축은행 내부에서도 ‘유례없는 케이스’라며 어깨를 으쓱하는 분위기였다.
시장 반응도 뜨겁다. 키위뱅크는 출시 5개월 만에 누적 다운로드 50만건을 돌파했다. 같은 기간 자산총계와 대출채권도 각각 3000억원, 2400억원 늘었다. KB저축은행의 성장 공언이 마냥 뜬구름 잡는 소리처럼 들리지 않는 이유다.
지난해 말 KB금융지주 계열사대표이사추천위원회는 신 대표에게 KB저축은행을 1년 더 맡겼다. 최근 수익성은 다소 주춤했지만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 듯하다. 그가 KB저축은행의 발전 기반을 닦아 놨다는 사실 만큼은 명백하기 때문이다. 올해 말 열 손가락 안에 KB저축은행을 꼽을 수 있길 기대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
- [금융 人사이드]박윤호 JT친애저축 대표 '연임', 리스크 관리 역량 인정
- SK그룹의 'FI 활용' 나비효과
- 덴티스의 장기 레이스
- KB국민은행의 비이자 실험
- '쩐의 전쟁' 코스닥 유상증자
- [2021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파생상품 '신흥강자' 메리츠증권, ELS 시장 흔들었다
- [2021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한국증권 '부메랑 스텝다운 ELS' 투자자 마음 꿰뚫었다
- [2021 Korea Wealth Management Awards]한국운용, 대세 '전기차·배터리' 정확히 읽어냈다
- [2021 Credit Forum]"자산유동화시장 격변기, 신용위험 변화 주시 필요"
- [2021 Credit Forum]“코로나 백신 나와도 위기, 금융사 잠재부실 주의해야”
류정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 人사이드]박윤호 JT친애저축 대표 '연임', 리스크 관리 역량 인정
- M&A 규제 완화에 지방 저축은행 '꿈틀'
- [저축은행경영분석]순이익 급감 OSB저축, 대출 회수지연에 '발목'
- [Policy Radar]여전사, 새 지표로 유동성 평가 받는다
- 금융지주계 첫 배당 신한저축 '숨고르기'
- 캐피탈사, 미얀마 MFI '상환 유예' 고민
- [금융 人사이드]IBK캐피탈, 신임 상근감사에 정구철 전 비서관
- '캐피탈' 설립 SBI홀딩스, '엑시트→확장' 전략 선회
- [은행경영분석]농협은행, 충당금 여파에 순익 타격
- [여전사경영분석]'순이익 반등' 우리카드, 적극적 리스크 관리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