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3년 걸려 회복한 ESG등급 또 흔들 2017년 떨어진 MSCI 등급 지난해 상향…총수 재수감 '악재'
원충희 기자공개 2021-01-19 12:27:43
이 기사는 2021년 01월 19일 08:1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재용 부회장의 재수감은 삼성전자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등급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이벤트다. 삼성전자는 2017년 총수 구속 등으로 떨어진 모건스탠리 캐피탈 인터내셔널(MSCI) ESG 등급을 원상 복귀시키는데 3년이 걸렸다. 이번 총수 재구속은 상승세를 탄 ESG 등급에 또다시 악재가 될 전망이다.삼성전자의 ESG 등급은 MSCI 기준으로 2016년까지 A를 유지하다 2017년에 BBB로 떨어졌다. 이후 2019년까지 3년간 BBB에 머물던 등급은 지난해 12월 상향 조정돼 A등급으로 회복됐다.
삼성전자의 ESG 등급 하락은 2017년에 3월에 발생했다. 이 부회장의 첫 번째 구속기간(2017년 2월~2018년 2월)과 맞물린 시기다. MSCI가 세부적 등급평정 사유를 밝히진 않고 있으나 하락원인에 그룹 총수의 구속 사태가 있다는 것은 충분히 유추할 수 있는 일이다.
또다시 불거진 총수 부재는 상승세를 탄 삼성전자의 ESG 등급에 찬물을 끼얹는 요인이다. 특히 사회책임(S)과 지배구조(G)에 끼치는 영향이 크다. 사회책임은 안전사고, 오너 혹은 최고경영자(CEO) 리스크, 노사이슈, 공정거래, 정부당국 제재 등에서 기인한 사회적 평판 수준을 등급화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그룹 차원의 노조활동 방해전략 수립 및 실행으로 전·현직 임직원이 실형을 선고받은 일이 있다. 그러자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은 작년 1월 삼성전자의 사회책임 등급을 A에서 B+로 낮췄다. 부도덕한 기업으로 낙인이 찍힌 게 기업가치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KCGS 기준 ESG 등급은 A로 전년(B+)대비 한 계단 올랐다. 세부적으로는 환경(E)이 B+에서 A로, 사회책임은 A에서 A+로, 지배구조는 B에서 B+로 상승했다. 지난 한 해 동안 ESG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업그레이드가 이뤄졌다는 의미다.
특히 B+로 떨어졌던 사회책임 등급은 A+로 두 계단이나 상향됐다. 협력회사 지원과 지역사회 개발, 무노조정책 폐기 등 동반경영을 골자로 사회적 가치를 적극 창출한 게 기업평판 개선에 효과가 있었던 셈이다.
지배구조에서도 오너 중심의 미래전략실을 해체하고 계열사별 이사회 중심의 각자경영 체제가 상당부분 안착됐다. CEO와 이사회 의장을 분리시키고 총수나 사내이사가 으레 맡던 의장직을 사외이사에게 넘겨 경영진 감독기능을 강화했다. 준법이슈를 위해 컴플라이언스팀을 CEO 직속조직으로 변경해 독립성을 강화하고 외부감시기구인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를 출범시켰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카카오, 알짜 커머스 두고 이베이에 눈독 왜?
- 합병 앞둔 카카오M·페이지, 엇갈린 '코로나 효과'
- [카카오 글로벌 도전기]권승조와 라전무, 한국판 디즈니를 꿈꾸다
- 네이버 솔루션 받는 ZHD, '라쿠텐·아마존' 겨냥
- '흑전 실패' 카카오페이, IPO 선택지는 넓어져
- '픽코마' 날았다…카카오재팬 흑자전환 성공
- [Company Watch]네이버, 4조 현금보유고 반토막 난 사연
- [카카오 글로벌 도전기]여민수·조수용의 3.0, 전면에 나선 'IP·콘텐츠'
- 후발주자 증설에 삼성SDI, '캐파 경쟁' 뛰어드나
- 곳간 든든한 삼성SDI, 헝가리법인 '1조 지원'도 거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