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CSM 분석]새 회계 기준으로 보니…손보사 수익성 순위 '격변'2022년 말 CSM 최고치는 DB손보, 부채 대비 비율은 메리츠화재 선두
서은내 기자공개 2023-03-31 07:20:46
[편집자주]
보험업권에 부채의 시가평가를 기본으로 하는 IFRS17 회계기준이 도입되자 보험사 재무지표에 대한 셈법이 크게 바뀌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되는 지표가 보험계약마진, 즉 CSM(Contract Service Margin)이다. CSM의 변동을 보면 해당 보험사가 보유한 계약들에 대한 수익성을 비롯해 회사의 가정 및 계리적 역량, 신뢰성 등에 대한 다양한 분석, 평가가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더벨은 주요 보험사들의 CSM의 변화와 그 의미를 분석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3월 30일 07시0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보험업계에 새로운 회계 기준이 손보사 순위에 격변을 예고했다. 자산 기준으론 삼성화재와 같이 규모가 큰 보험사가 1위를 기록하지만 보험계약마진(CSM)을 기준으로 보면 순위가 크게 달라진다.DB손해보험이 상위 5개 손보사 가운데 지난해 말 기준 CSM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보험계약부채에서 CSM이 차지하는 비율은 메리츠화재가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IFRS17 도입 첫해 새로운 재무지표를 잣대로 본 회사별 순위에 이목이 쏠린다.
29일 상위 5개 손해보험사들의 지난해 연결재무제표를 비교 분석한 결과 2022년 말 기준 보험계약마진(CSM)이 가장 큰 보험사는 DB손해보험으로, 12조7614억원을 기록했다. 또 보험계약부채 대비 CSM 비율로는 메리츠화재가 가장 높은 58.05%를 기록했다.
보험업계 새 회계기준인 IFRS17의 전환 기준일은 2022년 1월 1일이다. 때문에 보험사들은 최근 2022년 말 사업보고서를 공시하면서 지난해 연초와 연말을 기준으로 IFRS17 적용에 따른 주요 재무적 영향에 대해 주석으로 표시하고 있다.
CSM은 각 회사마다 내부적으로 선택하고있는 다양한 가정, 전환방식에 따라 절대 값에 차이가 클 수 있다. 특히 전환 기준시점인 2022년 1월 1일의 CSM은 서로 적용하는 계리적, 경제적 가정에 차이가 클 수 있는 만큼 단순히 크기를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하지만 기준 시점으로부터 1년 후인 2022년 말 CSM은 각 회사마다 1년간의 변화를 따져, 보다 실질에 가까운 방향으로 가정을 수정, 조정한 결과 값이다. 때문에 IFRS17 시행 첫해 CSM의 기초 값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로 다가오고 있다.
또 손보사 상위 5개사 중 회계전환 방식으로 4년 수정소급법을 적용한 KB손해보험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게 5년 완전소급법을 전환방식으로 선택했다는 점도 어느정도 비교에 힘을 실어주는 분위기다.
나아가 보험계약부채 대비 CSM 비율을 비교하는 것은 좀더 실질적인 평가가 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같은 회계전환 방식을 사용했다는 가정 하에서 볼 때 부채 대비 CSM이 높을수록 보다 질 좋은, 마진율이 높은 계약을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손보업권 상위 5개 회사들의 CSM의 절대 수준을 살펴보면 대체로 지난해 말 CSM은 7조원~12조원 대에서 분포하고 있다. 연말 CSM 규모가 가장 큰 회사는 DB손해보험이며 그 다음 순으로 삼성화재, 메리츠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순을 기록했다.
보험계약부채에 대비한 CSM 비율을 기준으로 순위를 따지면 메리츠화재가 1위다. 메리츠화재의 해당 비율은 58.05%로 전체 보험계약부채에서 CSM이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계약부채 대비 CSM 비율의 의미를 좀더 단순화시켜보면 향후 보험계약과 관련해 보험사에 유입될 현금흐름(보험료)의 현재가치 중 보험금으로 빠져나갈 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제한, 마진율의 개념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이를 기준으로 보면 메리츠화재의 뒤를 이어 DB손해보험(40.75%), KB손해보험(37.59%), 현대해상(33.38%), 삼성화재(24.32%) 순을 기록하고 있다.
올해가 새 회계기준 도입 첫해인만큼 현재 회사들이 공시한 CSM의 규모는 새로운 수익지표의 출발점이 될 전망이다. 앞으로 CSM의 변동 폭을 비교하는 것은 보험사들의 재무상황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포인트가 될 것으로 업계는 관측하고 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대형사들은 자산 규모가 큰 만큼 CSM의 절대 규모가 소형사들 보다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며 "부채 대비 CSM의 비율을 보게 되면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보험계약 포트폴리오의 이익률을 볼 수 있어 상대적인 비교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CSS'에 진심인 OK저축, 중금리로 수익·건전성 관리
- 서수동 메리츠화재 부사장, 1년 만에 윤리경영실장으로 복귀
- 인니 KB뱅크, 이우열 행장 '유종의 미'…후임은 현지인
- [상호금융 부동산 리스크 점검]PF·토담대 한눈판 서민 금융기관, 공동대출 '화' 불렀다
- [디지털 보험사 리포트]'디지털' 내려놓는 하나손보, 희망 보이는 흑자전환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단독체제 2년차 신한카드, 유관부서 시너지로 새 판 짠다
- NH농협금융, 정치 색채 더해진 이사회 구성
- [BNK금융 인사 풍향계]경남은행, 부산은행과 인사 교류로 '투뱅크' 한계 극복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iM캐피탈, 캄보디아 흑자 전환 성과…수익 중심 재편 지속
- [Sanction Radar]228억 배상받는 NH농협카드, 10년전 정보유출 후 보안 강화
서은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스튜디오드래곤, CJ ENM과 스카이댄스 지분거래 배경은
- [Policy Radar]화랑협회, 문체부 배포 '표준서식' 놓고 갑론을박
- [문화재단 톺아보기]한화, 퐁피두센터에 170억 로열티 지급
- [Company Watch]골프존, 저무는 국내 시장에 해외로 돌린 눈
- [IR Briefing]이재상 대표 "새 보이그룹 제작에 방시혁 깊이 참여"
- [미술품 증권신고서 분석]아티피오, 2호 가치산정 '검증'에 방점…'신뢰성 확보'
- [Company Watch]하이브, 앨범·공연 원가율 상승에 발목? '하반기 뜬다'
- [미술품 증권신고서 분석]아티피오, 서울옥션 낙찰작 '알렉스카츠'로 공모 돌입
- [Art Price Index]케이옥션, 1억~5억 작품 14점 실적 견인
- [Company Watch]'대형IP 앨범 부재' SM엔터, 저연차IP 성장으로 상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