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I캐피탈은 지금]인력 최소화·자산 최적화…'알짜 캐피탈' 전략 통했다④대손충당금 100% 유지·연체율 0% 기록…ROE는 10% 돌파
김보겸 기자공개 2025-02-07 10:56:00
[편집자주]
2021년 8월 일본계 캐피탈사인 SBI캐피탈이 한국에 상륙했다. 먼저 진출한 SBI저축은행은 한국에서 자산규모 1위 공룡으로 성장했다. 후발주자인 SBI캐피탈도 성장세가 심상치 않다. 출범 2년 만인 지난 2023년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2024년도 플러스가 유력하다. SBI캐피탈이 한국 캐피탈업계에 안착한 비결과 지배구조 등을 분석한다.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4일 07시18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BI캐피탈은 SBI홀딩스 계열사로 출범한 뒤 효율성 위주 성장 작업을 수행했다. 소규모로 출발한 대신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각종 경영지표를 개선해 왔다. 이를 통해 작지만 강한 강소캐피탈로 한국 시장에서 입지를 쌓아가고 있다.SBI캐피탈의 주요 경영지표는 대부분 경쟁사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수익성과 효율성, 건전성 등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는 평가다.
◇대출비중 줄이고 투자 늘린 SBI캐피탈…수익성 개선 뚜렷
SBI캐피탈의 지난해 상반기 총자산은 1305억원으로 집계됐다. 출범 이후 추이를 살펴보면 2022년 상반기 909억원 대비 약 44% 성장했다.
자산 구성에서 대출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다소 줄어드는 추세다. 출범 초기 347억원으로 총자산의 38%를 차지했던 대출채권은 지난해 상반기 36%로 줄었다. 지난 2023년 상반기 대출채권 자산은 492억원까지 늘었지만 지난해 상반기에는 472억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반면 투자자산 비중은 크게 늘었다. 특히 유가증권 자산 증가 속도가 가장 빨랐다. 2022년 98억원이던 유가증권 자산은 2023년 상반기 318억원으로 3배 넘게 증가했다. 지난해 상반기에는 401억원으로 총자산의 30%를 차지했다. 중·후기 중소 및 중견기업에 투자한다는 취지에 맞게 신기술금융자산 역시 2022년 상반기 209억원에서 지난해 상반기 313억원으로 50% 늘었다.
대출채권 비중을 줄이고 투자자산을 확대한 영업전략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졌다. 실제 SBI캐피탈의 영업수익에서 투자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상반기 3억원으로 전체 영업수익의 23%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난해 상반기에는 42억원으로 수익이 14배 증가했고 영업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8%로 늘었다.
출범 초기 마이너스이던 수익성 지표도 크게 개선됐다. 2022년 말 -0.02%이던 총자산이익률(ROA)은 2024년 상반기 2.39%로 플러스 전환했다. 2023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2.15%이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그해 말 2.77%로 개선한 뒤 작년 상반기에는 10.56%로 급등 했다.
◇연체율 0%, 조정자기자본비율 27%…건전성 확보
SBI캐피탈은 수익성을 높이는 동시에 건전성도 확보하며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 2023년 상반기 3.97%였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같은 해 말 9.04%까지 상승했으나 지난해 상반기에는 5.84%로 3.2%포인트 개선됐다. 같은 기간 4%에 육박하던 연체율도 3.62%로 하락한 뒤 0%로 낮아졌다.
자본적정성 지표도 양호하게 유지하고 있다. 자본적정성은 손실에 대비한 자본여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지난해 상반기 SBI캐피탈의 조정자기자본비율은 26.62%로 1년 전(25.44%) 1.1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금융당국이 정한 7% 이상 요건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5% 이상이면 안정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단순자기자본비율 역시 지난해 상반기 기준 23.3%를 기록하고 있다. 출범 이후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을 100%를 유지해 손실 흡수 능력을 입증하고 있다.
경영 효율성 측면에서도 성과가 눈에 띈다. SBI캐피탈은 2021년 6명으로 출범한 이후 현재까지 임직원 10명 체제를 유지하며 최소 인력 운영 전략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총자산경비율은 지속 하락하는 추세다. 총자산경비율은 인건비 등 영업활동에 직접 연관되지 않는 비용이 운용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총자산경비율이 낮을수록 영업 외 비용을 줄이며 효율경영에 나서고 있다는 의미다.
인력 최소화를 통한 비용 감축에 따라 SBI캐피탈의 경영효율성은 개선되고 있다. 2022년 2.14%이던 총자산경비율은 이듬해 상반기 1.54%까지 하락했다. 그해 말 1.82%로 소폭 상승했지만 지난해 상반기에는 1.72%로 0.1%포인트 개선되는 등 1%대 총자산경비율을 유지 중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2025 기대작 프리뷰]체급 커진 NHN, 북미 개척 닻 올린다
- 삼성·SK, 엔비디아 GTC 2025 발표 참여 '극명 대비'
- [Company Watch]'역대급 실적' 대한전선, 미래 먹거리 공략한다
- [게임사 기초체력 분석]'독보적 성장세' 시프트업, 확 늘어난 유동성
- [i-point]라온시큐어, 2024년 사상 최대 실적 달성
- [여전사경영분석]'순익 2000억 돌파' JB우리캐피탈, 비자동차로 달렸다
- [보험경영분석]신한라이프, 투자손익 급증 힘입어 순이익 5000억 첫 돌파
- [컨콜 Q&A 리뷰]권재중 BNK금융 CFO가 꼽은 ROE 10% 달성 열쇠는
- [은행경영분석]JB금융, '역대 최대 순익에 ROE 13%' 동시 달성
- [은행경영분석]신한지주, 역대 두 번째 실적…아쉬운 자회사 부진
김보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여전사경영분석]'순익 2000억 돌파' JB우리캐피탈, 비자동차로 달렸다
- [여전사경영분석]신한카드, 선제 리스크 대비 여파 순익 감소…1위는 수성
- [여전사경영분석]KB국민카드, 영업자산 확대 전환…수익성 개선 성공
- [SBI캐피탈은 지금]인력 최소화·자산 최적화…'알짜 캐피탈' 전략 통했다
- [카드사 생크션 리스크]현대카드, 같은 실수 반복 없었다…'임원 리스크' 최소화
- 하나카드, 이호성 체제서 '유종의 미'...순이익 30% 증가
- [Sanction Radar]새마을금고, 내부제보센터 신설로 신뢰 회복 나선다
- [SBI캐피탈은 지금]스타트업급 인력으로 초고속 성장…빛 발한 '소수정예' 전략
- [SBI캐피탈은 지금]남다른 투자안목 입증한 '장수 CEO' 임장빈 대표
- [카드사 생크션 리스크]현대카드, 업계 최초 AI로 소비자보호 체계 업그레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