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저축은행은 지금]대구·경북·강원권, 가계대출 한계…자산 '제자리걸음'⑦2021년 이후 4년 연속 자산 최하위…지역 강자 참저축, 대손충당금 여파 2년 연속 '적자'
유정화 기자공개 2025-04-21 12:37:40
[편집자주]
저축은행은 6개 영업 구역으로 구분돼 대출 비중을 제한받는다. 지역 서민금융 활성화라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상호저축은행법 도입 취지에 근거한다. 그러나 지방 인구 감소로 산업 경쟁력이 약화하며 지방 저축은행의 영업 여건도 나빠졌다. 지역 할당 여신 규제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두번째 임기를 시작한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주요 공약으로 지방 저축은행의 지원책을 제시했다. 지방 영업권역별 저축은행의 영업 환경, 경영 상황을 점검해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7일 07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구·경북·강원 영업구역에 본점을 두고 있는 11개 저축은행이 암흑기를 보내고 있다. 자산 규모 성장세가 제자리걸음을 반복하면서 4년 연속 자산 규모 꼴찌를 기록했다. 가계대출 영업 기반이 마련돼 있지 않다 보니 자산 1조원 이상 저축은행으로 성장한 곳도 부재한 실정이다.지역 강자로 꼽히는 참저축은행 역시 자산 역성장을 이어가면서 적자를 면치 못했다. 경상북도 구미에 거점을 둔 라온저축은행은 건전성 악화로 지난해 말 금융당국으로부터 적기시정조치를 받았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저축은행 간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지방 영업권역을 광역화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11개 저축은행, 지난해 가계대출 비중 32.8% 불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대구·경북·강원 영업구역을 기반으로 영업하는 11개 저축은행의 총자산은 3조247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3조1352억원) 대비 1106억원(3.5%) 감소한 수치로, 전국 6개 영업구역 가운데 자산 규모는 6위다. 2021년 광주·전라·제주 영업구역 7개 저축은행에 역전당한 뒤 4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대구·경북·강원권 저축은행의 자산 성장세는 다른 비수도권 저축은행과 비교해도 유독 더딘 편이다. 자산은 5년 전인 2019년 보다 5065억원(20.11%)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같은 기간 광주·전라·제주권 저축은행은 1조1784억원(59.6%) 늘었고, 대전·충청·세종, 부산·울산·경남권은 각각 1조3711억원(38.6%), 2조1426억원(34.1%) 증가했다.

이를 두고 업계는 영업구역 내 가계대출 영업 환경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한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해당 권역 인구나 기업이 수도권으로 쏠리면서 대출 수요 자체가 크지 않기 때문에 가계대출 확장이 어려울 것"이라며 "또 소형 저축은행은 자체 디지털 플랫폼과 신용평가모형(CSS)이 없어 가계대출을 늘리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대구·경북·강원권 11개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규모는 8034억원으로, 전체 여신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2.8%에 불과했다. 특히 코로나19로 금융권 비대면 영업이 확대되는 동안 역성장을 거듭했다. 2017년에서 2019년 8000억원대를 유지하던 가계대출 규모는 2021년 6122억원까지 감소한 바 있다.
이렇다 보니 지역 강자로 꼽히는 참저축은행도 고전하고 있다. 참저축은행의 지난해 말 총자산은 6434억원으로, 2018년(6345억원)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다. 1975년 안동에서 출발한 참저축은행은 2010년 대구로 본점을 이전한 뒤 8년 만에 1000억원대 자산을 6배가량 불렸으나, 이후 성장이 멈춘 상태다.
수익성도 악화했다. 지난해 8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2023년 169억원 손실에 이은 2년 연속 적자다. 부동산 대출을 중심으로 연체가 발생하면서 이에 따른 대손충당금을 적립한 여파다. 참저축은행은 2023년과 지난해 각각 288억원, 120억원의 대손충당금을 부실 여신에 대비해 쌓은 바 있다.
◇연체율·NPL비율 악화일로…대원상호저축, 개점휴업 상태
대구·경북·강원권 저축은행의 건전성 지표도 악화했다. 7개 저축은행의 작년 말 NPL비율은 평균 14.2%다. 전년 11.1% 대비 3.1%p 악화한 수치다. 이들 저축은행 보다 NPL비율이 높은 건 부산·울산·경남 권역이 유일했다. 대출 평균 연체율은 11.28%로 6개 영업구역 가운데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경북 구미에 본점을 둔 라온저축은행은 금융당국으로부터 경영개선권고를 받기도 했다. 부동산PF 정상화 과정 등에서 일시적으로 건전성 지표가 악화됨에 따라 금융감독원이 경영실태평가를 실시했고, 경영개선권고 부과를 결정했다.
라온저축은행의 지난해 말 BIS비율은 10.5%다. 규제비율(7%)를 초과했으나, 부동산 시장 침체로 건전성 악화 우려가 남아 있는 상태다. 지난해 말 전체 여신 연체율은 19.0%를 기록했다. 특히 부동산업과 건설업 연체율은 각각 29.0%, 29.9% 수준으로 나타났다.
권역 내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인 저축은행도 있다. 경북에 위치한 대원상호저축은행의 총여신은 지난해 말 기준 3200만원 수준이다. 총여신은 2021년부터 1억원 아래로 유지되고 있다. 대아상호저축은행 역시 지난해 총여신도 12억원으로 자산이 매년 쪼그라들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 저축은행의 영업권을 광역화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최근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연임이 확정된 뒤 기자들과 만나 지방 저축은행 지원을 강조한 바 있다. 오 회장은 서울과 경기·인천을 제외한 지방 영업구역을 광역화하는 방안을 금융당국에 요청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 비수도권 저축은행 관계자는 "사실상 저축은행 가계대출 대부분이 비대면으로 이뤄지고 있어 지역 의무 여신비율 규제가 가지는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라며 "수도권 저축은행 쏠림을 막기 위해선 비수도권 영업구역을 광역화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동서식품, '맥심플랜트' 앞세운 고객 접점 확대
- ‘후발주자’ 루미르, SAR 위성 영상 비즈니스 실현 ‘관건’
- [통신사 미디어사업 2.0]IPTV 0% 성장 시대, 신생존 전략 '선택 아닌 필수'
- [i-point]엑스플러스, 어린이날 맞이 '티니핑' 굿즈 출시
- 하나생명, 보장성보험 성과 앞세워 흑자 '탈환'
- [금융지주 동일인 지분 점검]JB금융 '2대 주주' 얼라인 올해는 지분 강제매각 없다
- [금융사 KPI 점검/KB국민은행]기업금융 숨고르기 마치고 '고객기반 확대' 나섰다
- [애큐온은 지금]끊임없는 매각의 '굴레', 지배구조 안정화 숙제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한화생명, 자본구조 개선 '이중과제'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대구·경북·강원권, 가계대출 한계…자산 '제자리걸음'
유정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대구·경북·강원권, 가계대출 한계…자산 '제자리걸음'
- [애큐온은 지금]저축은행 '빅5' 이끈 김정수 대표의 디지털금융 전략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스마트저축, 비수도권 순익 1위 배경엔 '리스크 관리'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순익 78등' 우리금융저축, 올해 실적 자신하는 이유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부동산 대출 사후관리 미흡…내부통제 강화 시급
- [보험사 매물 분석]매물로 나온 페퍼저축, 자산 6년 전으로 '회귀'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충청권 기업금융 '부메랑', 상상인플러스 충격 '고스란히'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관리·감독 문제 고개…중앙회, 지원 체계 개편 '시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참담한 성적표 받은 866개 조합, 욕심이 화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