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세 효과 관심 지속…대세 지키는 연금보험 [2분기 추천상품/방카슈랑스]추천상품 2개 순증, 비중 43%→48% 확대
이명관 기자공개 2025-04-22 08:29:28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7일 13시4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절세는 최근 투자자들이 가장 관심을 가고 있는 영역이다. 이런 분위기를 고려해 판매사들은 추천상품 목록에 관련 상품을 밀고 있다. 그 일환으로 방카슈랑스 가판대엔 연금보험이 대표상품으로 자리잡았다. 올해 2분기에도 이 같은 기조는 이어졌다.17일 더벨이 집계한 2분기 방카슈랑스 추천상품에 따르면 유안타증권,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KB증권 등 6개 판매사가 총 28개 방카슈랑스 상품을 가판대에 올렸다. 직전 분기보다 추천상품 수가 2개 늘었다.
2분기 방카슈랑스 가판대는 이전과 비슷하게 연금보험이 대세상품으로 이름을 올렸다. 28개 상품 중 13개가 연금보험이다. 직전 분기 대비 2개가 늘었다. 그 비중 역시 증가했다. 직전분기 연금보험의 비중은 43% 정도였고, 올해 2분기는 46% 수준을 나타냈다.
연금보험은 개인이 일정 기간 동안 보험료를 납입하고, 만기 이후부터 정기적으로 연금을 수령하는 보험 상품이다. 적용이율에 따라 두 가지 형태가 있다. 금리연동형연금(시장금리연동)과 변액연금보험(투자수익 기반) 등이다. 여기서 금리연동형연금은 연금보험과 연금저축보험으로 구분되고, 이 두 가지 상품들이 추천목록에 이름을 올린다고 보면 된다.

최근 세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세제혜택에 강점이 있는 연금보험에 대한 관심이 높다. 연금보험은 은퇴 후 좀 더 여유로운 생활을 하기 위해 보험료를 납입하고 노후에 약정한 일정금액을 연금으로 지급받는 형태의 상품이다. 적용이율에 따라 금리연동형연금(시장금리연동)과 변액연금보험(투자수익 기반) 두 가지로 구분된다. 여기서 금리연동형연금은 연금보험과 연금저축보험으로 또 나뉜다. 이 두 가지 상품들이 추천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연금보험과 연금저축보험은 세제혜택과 적용이율, 연금 개시 시점 등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핵심인 세제혜택 측면에서 보면 연금보험은 보험금 수령시점에 혜택을 받는다. 반면 연금저축보험은 보험료를 납입하는 시점에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연금보험은 세액공제 혜택은 없지만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이다. 상품을 통해 얻는 수익에 대해 소득세를 면제해준다. 반면 연금저축보험은 매해 연말정산에서 납입한 보험료에 대해 연간 400만원 한도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연중에 납입 한도를 다 채우지 못해도 추가납부를 통해 연말까지 한도를 채울 수 있다.
올해 2분기 방카슈랑스 가판대의 오른 주요 상품을 보면 연금저축보험은 총 2개가 이름을 올렸다. △(무)하이브리드연금저축보험 △IBK e-하이브리드연금저축보험 2501 등이다. 이들중 'IBK e-하이브리드연금저축보험 2501의' 경우 하나은행과 IBK기업은행 등 2곳에서 추천했다.
연금보험의 경우 10개가 추천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그간 방카슈랑스 가판대에서 중심이었던 형태의 상품들로 채워졌다. 변동성이 높은 금융시장에 안전한 달러로 10년간 높은 확정 금리를 제공받을 수 있는 보험이다.
판매사 중 가장 많은 방카슈랑스 상품을 추천한 곳은 하나은행이다. 11개 상품을 추천했다. 2분기엔 직전분기의 라인업에서 2개의 상품이 교체됐다. 하나은행은 연금보험과 변액연금보험, 연금저축보험 등 고르게 추전했다. '스마트하이브리드연금보험'과 'IBK연금 (무)IBK e-하이브리드연금저축보험2501' 등이다.
이 밖에 농협은행(5개), IBK기업은행(4개), 신한은행(4개), 유안타증권(2개), KB증권(2개) 등 순으로 방카슈랑스 상품을 가판대에 올렸다. 대부분 보수적으로 가판대 라인업을 유지한 가운데 유안타증권은 2개의 상품을 전부 교체했다. '한화생명 스마트하이브리드연금보험'과 '교보생명 교보하이브리드연금보험' 등 2개 상품으로 새롭게 라인업을 구축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신세계프라퍼티, 6개월 공석 '지원본부장' 보강
- [캐시플로 모니터]이디야, '통큰 자사주 매입' 현금성 자산 '급감'
- 대한제당, 230억 규모 조세불복 소송 돌입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투썸플레이스, '투자·상환' 일단락에 회수 여력 '확대'
- [GFFG 2.0 점검]유통망 개선과 비용 효율화, 턴어라운드 이끌었다
- [SKT를 움직이는 사람들]유영상 대표, 매출 25조 목표 'AI로 뚫는다'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조단위 밸류 거론…해외서 피어그룹 찾는다
- [지평주조는 지금]외형 확장 그늘 재무 부담, 건전성 회복 '과제'
- [에이블씨엔씨는 지금]엑시트 숨 고르기, 배당에 쏠리는 '눈'
- [i-point]탑런토탈솔루션, LG전자와 147억 규모 공급계약 체결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하나증권 클럽원, '랩' 마케팅 강화한다
- 절세 효과 관심 지속…대세 지키는 연금보험
- 브이아이운용, '크레센도' 빌딩 우선주 담는다
- 미래에셋 퇴직연금RA 공략…운용 이어 증권 론칭 '초읽기'
- 블루코브운용, '명동호텔 법인' SPC 전환한다
- 키웨스트운용-이엠코리아 전 대표, M&A 송사 장기화
- 미래에셋운용, '퇴직연금 RA' 선보인 배경은
- [Policy Radar]발행어음 모험자본 의무화, 종투사 리스크 고민
- DS자산운용, 첫 손익차등·목표달성형 펀드 내놨다
- [thebell PB Survey]트럼프발 관세리스크 방향성에 달린 '코스피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