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IPO 앞두고 부실채권 적극 매각 NPL비율 위험수준, 감독당국 권고기준 충족시키기 위한 수순
백가혜 기자공개 2012-06-14 11:47:13
이 기사는 2012년 06월 14일 11시4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산업은행이 IPO(기업공개) 추진을 앞두고 NPL(부실채권) 매각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산업은행은 상반기에만 총 6600억 원 규모(은행 보유 채권 4400억 원, 유동화채권 2200억 원)의 부실채권을 매각했다. 오는 20일 입찰을 앞둔 3000억 원 규모의 PF부실채권 매각이 완료되면 총 1조 원 가량의 부실채권을 정리하는 셈이다.
통상 연 1회 추진하던 NPL 정리작업을 상반기에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까닭은 IPO를 대비한 사전조치다. 산업은행의 NPL 비율은 올 1분기 말 1.92%로 국내은행 평균(1.51%)과 금융당국 권고기준(1.5%)보다도 높기 때문이다.
예정된 PF부실채권 매각까지 성사시킨다면 산업은행의 NPL비율은 1.5% 아래로 떨어져 금융감독원의 권고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을 전망이다.
산업은행의 부실채권은 매월 약 500억 원씩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하반기에도 대규모 물량을 매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은행은 하반기에 무담보채권을 따로 매각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주로 개인회생채권으로 구성된 과거 발생 물량을 모아서 팔 계획으로, 채권 소멸시효 연장에 따른 부대비용과 절차로 인한 부담을 최소화하려는 목적이다.
매각할 채권은 OPB(원금) 기준 조 단위의 규모다. 산업은행은 지난 2008년 같은 방식으로 5000억 원의 무담보채권을 10억 원에 매각했다. 무담보채권의 통상 매입률은 1% 내외로 과거 저축은행들이 이를 시장에 내다팔아 매각 차익을 내기 위해 주로 매입했다.
산업은행은 무담보채권 매입에 대한 잠재 수요를 조사한 뒤 자문사가 선정되면 하반기에 본 채권의 매각을 본격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큐라클 리바운드 전략]CU06 '원툴 탈피' 맵틱스 콜라보 '사업화 기회' 늘었다
- [i-point]'아나패스 계열' GCT, 오빅과 개발·공급 의향서 합의
- [소형 콘텐츠사 톺아보기]임영웅의 물고기뮤직, 1인 보폭 축소에 수익 급감
- [상호관세 후폭풍]삼성SDI의 로비스트, 홀랜드&나이트 키맨에 쏠린 눈
- [영상]애경그룹 골프장 이어 모태사업 매각까지?
- [영상] 네이버, 컬리 지분 10%가량 인수 검토하는 배경은
- '몸값 올리기' 여기어때, 하드블록 축소로 이익 키웠다
- [VC ERP 생태계 점검]시장 점유율 1위 '로고스시스템' 품은 쿼타랩은
- 적자 지속 이수건설, 3개월 이하 사모채 릴레이
- 업스테이지, 'K-AI' 수익화 도전…글로벌 펀딩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