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발전공기업, 자회사 지분 매각 봇물 민관합작 발전소 주식 우선 처분...부채비율 등 개선 포석

안경주 기자공개 2014-02-27 09:42:00

이 기사는 2014년 02월 25일 16시1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전력 발전자회사(이하 발전공기업)인 한국서부발전이 동두천LNG복합화력발전 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다른 발전공기업(남동·중부·남부·동서발전)도 자회사 주식 매각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동두천LNG복합화력발전처럼 민간기업과 합작투자한 발전소 지분이 우선 검토 대상이다. 이에 따라 발전자회사별로 지분 매각 규모가 수백억~수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융회사들도 인수금융 제공 등 다양한 참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25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발전공기업들은 정부의 공기업 부채감축 지침에 따라 발전소 지분 일부를 매각하기로 했다. 서부발전의 동두천LNG복합화력발전 지분 매각이 첫 시도가 될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동두천LNG복합화력발전 지분 매각을 계기로 각 발전회사들이 주식 매각을 준비 중에 있다"며 "최종 매각대상 리스트가 나와 봐야 알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발전소는 제외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민관합작 30% 초과 지분 매각 검토...부채감축 효과

발전공기업 발전소 매각
금융권과 발전자회사 내부에서는 민관합작 발전소 지분이 우선 매각 대상으로 꼽힌다. 지분 매각이 추진 중인 동두천LNG복합화력발전도 서부발전이 삼성물산·현대산업개발과 함께 특수목적법인(SPC·동두천드림파워)을 설립해 운영 중인 민관합작 발전소다.

지분 매각 규모는 투자한 발전소마다 차이가 있지만 통상 30% 내외의 지분을 제외한 나머지 지분을 매각할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서부발전이 보유한 동두천드림파워 지분율은 43.61%로, 이 가운데 30%를 제외한 13.6%가량이 매각 대상이다.

이는 발전자회사의 연결재무제표 상 민관합작 발전소를 제외시키는 방식으로 부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재 건설 중이거나 초기 운영단계인 민관합작 발전소는 자본에 비해 부채가 높은 상태"라며 "회계 상 연결재무제표에서 제외되면 부채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실질 지배 여부를 판단하기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30% 이하로 지분율이 떨어지면 연결재무제표에서 빠진다"며 "이를 고려해 매각 규모가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수력원자력이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경기도 화성시 발안산업단지 연료전지 발전소 지분도 이 같은 사례다. 삼천리·포스코파워와 SPC를 설립하고 연료전지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는 한수원은 연결재무제표에서 제외하기 위해 현재 62%인 SPC 지분율을 40% 미만으로 축소기로 했다.

◇ 투자 예정 발전소 지분도 매각 대상

발전공기업들이 향후 투자를 진행할 예정인 발전소도 매각 대상이다. 발전공기업에 100% 지분을 보유한 발전소 뿐만 아니라 연결재무제표에서 제외된 민관합작 발전소도 대상이다.

대규모 차입을 일으켜 사업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일부 지분을 매각하면, 발전공기업의 자금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발전공기업이 차입해야 할 자금 규모가 줄어들면서 부채비율 증가 속도도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IB업계 관계자는 "발전공기업의 부채비율은 현재 높지는 않지만 향후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차입금 부담 등을 우려해 채무 상환에 나서고 있다"며 "지분 일부만 털어내도 자금 부담이 줄고, 부채감축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발전공기업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서부발전 108.94%, 남동발전 121.83%, 남부발전 101.12%, 중부발전 100.75%, 동서발전 95.75% 등이다.

연결재무제표에서 제외된 민관합작 발전소의 경우 특별결의 하한선 수준의 지분을 제외한 보유 지분을 매각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발전공기업이 100% 지분을 보유한 발전소 가운데 이미 운영 중인 발전소는 매각 대상에서 제외될 전망이다. 자칫 민영화 이슈 등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한편 발전공기업의 발전소 지분 매각이 본격화되면서 금융권도 분주한 모습이다. 민관합작 발전소의 경우 인수금융 등을 제공한 경험이 있는 만큼 지분 매각 과정에서의 금융주선도 유리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발전공기업의 지분 매각이 가시화되면서 금융회사들도 사전 준비에 나서고 있다"며 "안정적 수익성이 보장되는 발전소 지분의 경우 직접 인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곳도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