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성 세아 상무, 계열사 지분 매각 이유는 제강 팔아 57억 마련 '상속세 납부 목적'..주담대, 추가 매각 가능성
김장환 기자공개 2014-07-07 09:33:00
이 기사는 2014년 07월 04일 17시2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고 이운형 세아그룹 회장의 장남인 이태성 세아홀딩스 상무가 보유 중이던 세아제강 지분을 잇따라 매각했다. 선친으로부터 자산을 물려받으면서 발생한 상속세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이다.4일 세아홀딩스 및 업계에 따르면 이 상무는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일까지 세 차례에 걸쳐 세아제강 주식 5만 주를 장내에서 매각했다. 개별 거래일 종가 기준으로 매각 대금은 총 57억 원 가량이었을 것으로 분석된다.
세아그룹 관계자는 "자산을 받으면서 발생한 상속세를 분납해 내왔다"며 "이번 지분 매각은 분할 납부 시기가 도래하면서 관련 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전했다.
이 상무는 지난해 선친이 보유하고 있던 계열사 주식의 가장 많은 비중을 상속받았다. 세아홀딩스를 비롯해 해덕기업, 해덕스틸, 세아네트웍스 등이다. 세아제강 역시 8.38%의 지분을 받았다. 이를 통해 발생한 상속세는 830억 원대에 달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순수하게 물려받은 지분만을 고려해 추산된 금액이다.
|
세무당국에서는 상장사의 경우 상속일 전 네 달 종가를 평균으로 상속 지분의 주당평가액을 산정한다. 비상장사는 순자산가치(자본총액)에서 발행주식수를 나눠 평가액을 정한다. 이를 기준으로 보면 이 상무가 상속받은 주식의 총액은 1807억 원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 회장 작고 후 지난해부터 지속적으로 세아홀딩스 지분을 사들인 이 상무는 자금 여유가 많지 않았을 것으로 예측된다. 지난해 7월 세아홀딩스 지분 8.4%를 상속받아 26.36%의 단일 최대주주로 올라선 이후 거액을 들여 지분을 32.05%까지 늘렸다. 세아제강 지분을 매각해 상속세를 마련한 이유도 이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 상무는 향후에도 지배구조와 크게 관련이 없는 계열들의 소수 지분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상속세 마련에 나설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를 위해 그룹 지배구조가 약한 계열들과 홀딩스의 연결 고리를 더욱 탄탄히 할 수도 있다. 지분을 매각하더라도 지배력이 약해지는 것을 막기 위한 절차다.
아울러 지난해 이 상무가 처음으로 거액의 주식담보대출을 받았다는 점을 보면 향후 상속세 마련 역시 같은 방안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 상무는 지난해 9월 세아홀딩스 주식 22만 7600주를 담보로 금융권 대출을 받았다. 당시 종가(10만500원) 기준 담보 가치는 총 230억 원, 실제 대출금은 110억~150억 원 정도. 대출금은 상속세 납부에 쓰인 것으로 관측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SAMG엔터, 현대차와 대규모 유스 마케팅 '맞손'
- [지배구조 분석]율호 지분 또 매각한 이엔플러스, 경영권 행사 '계속'
- [Korean Paper]하나증권, 관세·탄핵 불확실성 속 데뷔전 나선다
- [원일티엔아이 IPO]수소 투자 드라이브, 후계자 입지 강화 계기될까
- [대한조선 IPO]조선업 슈퍼사이클 진입…실적 호조까지 더했다
- [Company & IB]파트너 새판짜는 LX하우시스, 은행계 '포용'
- [SK엔무브 IPO]아시아·미국 'NDR' 마무리…밸류 눈높이 '사전 점검'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서부T&D, 오너가3세 주축 시설관리 법인 출범
- [코스닥 CB 만기도래]200억 상환 앞둔 흥국에프엔비, 추가 조달 추진
- [2025 서울모빌리티쇼]'UAM 낙점' 삼보모터스, 종합 모빌리티 그룹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