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5년 02월 04일 08시4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중소기업청은 최근 TIPS(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 프로그램 운영사(창업기획사) 선정을 위한 접수를 마감했다. 이후 서면평가, 실사 등을 거쳐 3월 중 최종 운영사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기술기업 투자에 대한 정부 지원 매칭으로 인해 레버리지 효과 극대화가 가능한 '누이 좋고 매부 좋은' 프로그램으로 평가받는 TIPS의 인기몰이로, 벤처캐피탈, 엔젤투자회사를 비롯해 다양한 투자자들이 대거 신청서를 접수했다는 후문이다.
TIPS의 골자는 결국 TIPS 운영사(투자사)가 발굴한 창업기업(기술기업)에 1억 원을 투자하면 정부의 R&D 매칭자금(5억 원)과 창업 및 해외 마케팅 지원자금(4억 원)이 더해져 최종 '1+9' 수준의 투자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투자사로서는 1억 원으로 10억 원 투자의 효과를 볼 수 있고, 해당기업은 지분율 희석을 최소화하면서 운영비 조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력적이라는 것이 일반적 견해다.
하지만 조금만 더 가까이서 TIPS 사용설명서(또는 주의사항)에 대해 천천히 고민해보면, 고개를 갸우뚱 할 수 밖에 없다. 우선, 정부자금의 매칭이 현금 일시 지급이 아니다.
물론 대부분의 투자들이 한번에 다 투자금을 주는 것이 아니라 스케줄에 따라 지급되겠지만, TIPS를 통한 정부자금은 '선지급'이 아니라는 것이 문제다. 이른바 '포인트제' 같은 모습이다.
9억 원에 대한 포인트를 갖고 있다가 해당기업의 비용이 발생하면 그때그때 청구해서 차감하는 방식이다. 그것도 연간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정해져있다. 물론 투자사의 투자금은 바로 들어온다. 기술개발, 인력채용, 마케팅비용 등을 위해 투자금이 필요한 것인데, 그중 정부자금은 말 그대로 비용정산을 위한 포인트일 뿐, 업력확대를 위해 선제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돈이다.
아울러, 투자가 실패해도 상환의무가 없다. 국민의 소중한 세금 중 일부를 창업기업(기술기업)을 위해 활용하는 것이 TIPS 프로그램이지만, 매칭투자 받은 해당기업이 '실패' 했을 경우 아무런 책임이 없다. '성공'으로 평가됐을 경우엔 정부자금의 40%를 기술료 명목으로 납부한다.
'성공'의 기준은 인수합병(M&A), 기업공개(IPO), 연매출 6억 원 초과, 후속투자(20억 원 이상) 유치 등이다. 하지만 이중 특히 후속투자 유치 부분에도 문제가 있다.
투자사로부터 1억 원을 투자 받았지만, TIPS의 매칭으로 인해 10억 원을 받은 셈인 해당기업은 그만큼 높은 밸류에이션이 적용돼있는 상황이다. 이미 높아진 밸류에이션 하에서 시리즈A, B 등의 후속투자를 유치하기란 쉽지가 않다.
창업기업에 투자하는 TIPS 운영사도, TIPS 프로그램으로 정부자금을 매칭받는 해당기업도 이러한 사항들을 조목조목 확인해 TIPS 이후의 계획 등과 함께 충분히 검토한 후 TIPS 프로그램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결국 TIPS를 통해 우수한 창업기업(기술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이들의 성장을 돕겠다는 취지가 좀 더 효율적으로 구현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윤석열 대통령 탄핵]금융지주, 불확실성 해소로 밸류업 탄력받나
- [윤석열 대통령 탄핵]원화, 단기 강세 흐름…변동성 확대 '촉각'
- [윤석열 대통령 탄핵]동력 잃은 금융 정책…백지화 가능성도
- [여전사경영분석]롯데캐피탈, 총자산 다시 늘었다…수익성도 방어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자산 84% 수도권 쏠림…M&A 구조조정 대상 '속출'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신한캐피탈, 한도 관리 세분화…PF 중심 고위험 자산 초점
- 63주년 맞은 캠코, 후임 사장 임명은 안갯속
- [보험사 CSM 점검]교보생명, 신계약 비슷한데 잔액은 증가…보수적 가정 빛났다
- [thebell note]관 출신 사외이사를 향한 시선
- [금융권 AI윤리 현주소]NH농협은행, 리스크 관리 체계 '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