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밸류운용, 쌓이는 이익잉여금 '눈길' 지난해 말 기준 100억 원 육박…업계 내 '알짜회사'로 유명
서정은 기자공개 2017-04-25 11:00:34
이 기사는 2017년 04월 21일 09시3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생 헤지펀드 운용사인 파인밸류자산운용이 매년 이익잉여금을 꾸준히 쌓고 있어 눈길을 끈다. 급격한 사세 확장은 없어도 조용한 성장을 구가하고 있어 업계에서는 '알짜회사'로 통한다.21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파인밸류자산운용의 지난해 말 이익잉여금은 99억 3400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80억 8300만 원)로는 22.7%(18억 5100만 원) 가량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운용사들의 평균 이익잉여금은 169억 원으로 전년 대비(235억 5600만 원) 28.2% 감소했다.
이익잉여금은 기업의 당기 이익금 중 세금·배당·상여금 등 지출을 제외한 수치다. 이익잉여금이 높은 회사일수록 재무안정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파인밸류자산운용의 이익잉여금은 2010년 이후 한 차례를 제외하고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이다. 2012년 말(3월 결산)에는 일시적으로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며 이익잉여금이 31억 원으로 전년대비 4억 원 가량 감소한 바 있다. 그러나 2013년 말 41억 1600만 원으로 회복한 뒤, 2014년 말 61억 4600만 원, 2015년 말 86억 7400만 원으로 다시 증가했다.
|
파인밸류자산운용은 2006년 파인밸류투자자문으로 처음 출발했다. KPMG 삼정회계법인 출신이자 공모주 투자전문가인 최호열 대표가 회사를 이끌고 있다. 투자자문사 시절인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28억 원씩 투자금을 늘렸고 매년 평균 14억 원 가량의 수익을 올렸다.
그러다 2015년 말 사업목적에 전문사모집합투자업을 추가하며 헤지펀드 시장에 진출했다. 사명변경도 함께 이뤄졌다. 파인밸류자산운용은 국내 헤지펀드 운용사 중 가장 먼저 공모주(IPO)에 집중투자하는 전략을 표방하고 나선 곳이다.
지난 3월 말 기준 '파인밸류IPO플러스전문투자형사모증권투자신탁' '파인밸류메자닌플러스전문투자형사모증권투자신탁[채권혼합]' '파인밸류PreIPO플러스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 등 세 개 헤지펀드를 운용 중이다. 세 개 헤지펀드의 운용규모는 총 800억 원 내외다.
파인밸류자산운용은 운용에 집중하기 위해 대외 마케팅은 자제하고 있다. 한 자산운용사 대표는 "적극적으로 영업하기 보다는 알음알음 고객들을 확보하는 하우스"라며 "급격한 사세확장보다는 꾸준한 성장을 표방하기 때문에 '알짜회사'로 통한다"고 설명했다.
파인밸류자산운용 관계자는 "회사 방침 상 이익잉여금의 운용 방향 등에 대해 밝히기는 어렵다"며 "꾸준히 운용성과를 높이다보니 순이익도 증가하고, 이에 따라 잉여금도 올라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