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금원, '4차 산업혁명' 인센티브 지급 인공지능·사물인터넷 등 접목한 투자처…투자금액 1% 지급
양정우 기자공개 2017-07-24 08:08:52
이 기사는 2017년 07월 20일 15시1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농업정책보험금융원(이하 농금원)이 올해 2차 수시출자부터 '4차 산업혁명'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혁신 국가'를 표방한 새 정부의 정책 방향에 맞춰 농식품펀드의 투자를 유도하고 있다.20일 벤처투자업계에 따르면 농금원은 올해 2차 수시 출자사업부터 4차 산업혁명 인센티브를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2차 수시출자는 이달 중순 총 200억 원 규모(120억 원 출자)로 정식 공고됐다.
4차 산업혁명 인센티브는 투자금액의 1%로 책정됐다. 만일 농식품펀드를 운용하면서 50억 원을 농식품 섹터의 4차 산업혁명 기업에 투자하면 관리보수 및 성과보수와 별도로 5000만 원을 지급받는 셈이다.
농금원은 4차 산업혁명 기업을 '농림축산식품산업에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 농식품경영체(관련 장치 및 시스템 개발업체 포함)'로 정의하고 있다.
산업 트렌드보다 한걸음 앞서 나가는 벤처투자 시장에선 4차 산업혁명이 단연 화두다. 투자심사역들은 자율주행차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로봇 등 섹터를 불문하고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수혜주를 찾느라 분주하다.
정부는 1조 4000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이하 추경)에서도 4차 산업혁명 분야를 별도로 특정해 4000억 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추경 출자사업은 올해 하반기 한국벤처투자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벤처투자업계에서 인센티브를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태펀드 운용기관이다. 올 들어 기존 조기투자 인센티브와 함께 특수목적 인센티브를 새롭게 도입하기도 했다. 농식품펀드 GP 입장에선 보너스를 2번 받는 길이 열린 것이다.
조기투자 인센티브는 1·2년차 의무투자비율을 초과할 때 투자금액(초과분)의 2.5%를 지급하는 제도다. 특수목적 인센티브의 경우 △R&D(연구개발) △수출 △창업아이디어 △농식품 크라우드펀딩 등 4개 분야에 투자시 투자금액의 1%를 지급하고 있다.
|
4차 산업혁명 인센티브도 역시 조기투자 인센티브와 중복해 제공받을 수 있다. 특수목적 인센티브와는 중복이 허용되지 않는다. 인센티브는 향후 펀드를 청산할 때 농식품모태펀드의 분배금에서 충당된다.
농금원은 올해 2차 수시출자에서 세컨더리펀드(또는 농림축산식품)와 6차산업화 분야를 제시했다. 두 분야에서 각각 100억 원 규모의 농식품펀드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국떡, 기업 복지 서비스 '국떡 라면바' 신규 론칭
- 세라젬, 안전보건 국제 표준 인증 'ISO 45001' 획득
- [i-point]TKENS, 전장 램프 제습 모듈 글로벌 공급사 확대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무신사, 순이익+운전자본 최적화 효과
- [VC 투자기업]자비스앤빌런즈, AI 개인화 서비스 강화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점포 매각대금 수령 '난항', 채무 상환 차질로 이어질까
- [캐시플로 모니터]더본코리아, 실적호조에도 순현금유출 까닭은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바틀링·직수출 투트랙 전략…종착점은 '롯데 브랜드'
- [정용진 회장 취임 1년]'CJ·알리바바' 신세계 이커머스 살릴 동아줄 될까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R&D로 쌓은 수출 경쟁력,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안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