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 회계법인, '대주 vs. 삼덕' 양강 구도 회계감사 집중도 높아…수익률 낮은 제 살 깎아 먹기 식 경쟁
윤동희 기자공개 2017-07-25 14:02:24
이 기사는 2017년 07월 21일 11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빅4를 제외한 중견 회계법인 업계에서는 대주와 삼덕이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주로 회계감사 업무에 집중하는 하우스로 수익률이 높진 않은 제 살 깎아 먹기 식 경쟁을 벌이는 구도다.머니투데이 더벨이 158개 회계법인 실적을 분석한 결과 4대 회계법인을 제외하고, 연간 영업수익 500억 원을 넘는 상위권 회계법인은 대주와 삼덕이다. 이 두 회계법인은 영업수익 기준으로 1, 2위 회계사 수 기준으로는 2, 1위를 다투고 있다.(빅4 제외)
대주와 삼덕의 매출은 각각 651억 원, 596억 원으로 3위와 눈에 띄는 차이가 벌어져 있다. 연혁은 대주보다 삼덕이 더 오래됐고 삼덕의 인력 구성이 더 독특하다. 삼덕의 사원·이사(파트너) 비중은 회계사 375명 중 193명으로 다른 회계법인에 비해서도 압도적으로 파트너 비율이 높은 편이다. 삼덕의 대표는 장영철 대표로 출자비율이 1.5%고, 대주는 권장시 대표로 출자비율이 17%로 높다.
조직의 모양은 조금 다르지만 매출이 높고 회계사 수가 많은 삼덕과 대주의 영업 구조는 비슷하다. 12개 중견 회계법인 중에 회계감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신한(62.8%)인데 삼덕이 53.8%로 두번째로 높고 대주가 47.8%로 세번째로 높다. 삼덕은 지난해 321억 원의 수익을 감사 부문에서 올렸고 대주는 해당 부문에서 311억 원의 수익을 냈다.
|
대주는 193개(지배회사 기준)의 기업을 감사하고 있고 삼덕은 155개 기업을 감사 중이다. 뒤를 잇는 신한은 108개이고 한울이 58개로 대주와 삼덕, 두 회계법인 모두 감사 업무에 주력하며 덩치를 키우거나 유지하고 있다는 얘기다.
대주가 감사 중인 기업 중 자산이 1조 원이 넘는 기업은 7개(개별 기준)고, 자산이 120억 원이상 500억 원 미만인 회사에 감사 대상 법인의 과반이 몰려있다. 삼덕도 1조 원 이상 기업은 4개고 자산이 120억 원이상 500억 원 기업이 주력 감사 대상이다. 두 회계법인 모두 코스닥 상장법인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유가증권 시장 상장법인, 코넥스 순이다.
문제는 수익률이다. 감사법인 1개 당 올리는 영업수익 규모는 대주가 1억 6108만 원으로 12개 회계법인 중 가장 낮다. 삼덕도 1개 당 수익이 2억 원으로 하위권이다. 현대가 22개의 법인을 감사하며 숫자는 많지 않지만 개당 수익이 2억 6817만 원으로 가장 높은 편이다.
출혈 경쟁을 하고 있다고 알려진 4대 회계법인의 개당 수익규모도 2억 8000만 원~3억 3000만 원 선으로 중견 회계법인보다는 사정이 나은 편이다. 수수료가 4대 회계법인에 비해 더 박한 중견·중소 회계법인 시장에서 삼덕과 대주는 제 살 깎아 먹기 식 경쟁으로 영업이익률이 각각 0.8%, 0.6%로 규모가 비교적 작은 회계법인 보다도 훨씬 낮다.
중견 회계법인 선정 기준은 영업수익과 회계사 수다. 영업수익 기준으로는 △대주 △삼덕 △한울 △이촌 △신한 △안세 △우리 △삼화 △태성 △현대 등 10개 회계법인이 전체 시장의 14%(3729억 원)를, 회계사 기준으로는 태성과 현대를 제외하고 △신우 △성도 회계법인이 15%(1672명)를 차지하고 있다. 매출과 회계사 수가 비례하는 편이지만 일부 회계법인에서 차이를 보여 상위 10개가 아닌 총 12개의 중견 회계법인을 대상으로 분석을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윤석열 대통령 탄핵]금융지주, 불확실성 해소로 밸류업 탄력받나
- [윤석열 대통령 탄핵]원화, 단기 강세 흐름…변동성 확대 '촉각'
- [윤석열 대통령 탄핵]동력 잃은 금융 정책…백지화 가능성도
- [여전사경영분석]롯데캐피탈, 총자산 다시 늘었다…수익성도 방어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자산 84% 수도권 쏠림…M&A 구조조정 대상 '속출'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신한캐피탈, 한도 관리 세분화…PF 중심 고위험 자산 초점
- 63주년 맞은 캠코, 후임 사장 임명은 안갯속
- [보험사 CSM 점검]교보생명, 신계약 비슷한데 잔액은 증가…보수적 가정 빛났다
- [thebell note]관 출신 사외이사를 향한 시선
- [금융권 AI윤리 현주소]NH농협은행, 리스크 관리 체계 '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