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7년 08월 07일 15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투자신탁자산운용이 최근 전략 리뉴얼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새롭게 선보인 '4차산업혁명펀드'를 키우는 작업에 돌입했다. 투자자 유인책의 일환으로 환매수수료를 없애는 한편 펀드 설정규모 확대를 위해 고유계정 투자를 단행했다.한국투신운용은 지난 6월 말 '한국투자정통적립식증권투자신탁1(주식)'의 명칭을 '한국투자한국의제4차산업혁명증권투자신탁1(주식)'으로 변경했다. 펀드명 변경과 함께 전략도 인터넷, 반도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산업혁명 관련 종목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소규모 펀드로 전락할 위기에 처한 상품을 전략 리뉴얼 등을 통해 새로운 펀드로 재탄생시켰다.
더 나아가 한국투신운용은 주식시장에서 4차산업혁명 수혜주들이 시장 주도주로 평가 받으며 강세 흐름을 보임에 따라 '4차산업혁명펀드'의 마케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올들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동부하이텍 등 반도체 기업은 물론 KT, SK텔레콤 등 통신주들까지 4차산업혁명 수혜주로 분류되면서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투신운용은 '한국투자한국의제4차산업혁명펀드'의 환매수수료를 폐지했다. 기존에는 가입 후 90일 미만에 환매할 경우 이익금의 70%를 환매수수료로 수취했다. 그러나 투자자들 입장에서 환매수수료 때문에 가입을 꺼려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없애기로 결정했다. 더욱이 경쟁 운용사들의 4차산업혁명 펀드인 'KTB글로벌4차산업1등주펀드'와 '삼성픽테4차산업펀드' 등이 환매수수료가 없다는 점도 감안했다.
아울러 한국투신운용은 '한국투자한국의제4차산업혁명펀드'에 50억 원 규모의 고유계정 투자도 단행했다. 펀드 설정액이 63억 원에 불과해 원활한 운용을 위해 규모를 더 키울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투자기간은 일단 6개월로 설정했다.
한편 이 펀드는 포트폴리오(6월 1일 기준)에 삼성전자, 카카오, NHN엔터테인먼트, 한미약품, 현대로보틱스, SK하이닉스 등 50여개 종목을 편입하고 있다. 연초 후 수익률은 17%, 전략 리뉴얼을 단행한 후 성과는 약 1% 수준이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승계 키워드 '내부 거래'…4세 경영도 준비
- [Company Watch]테크 전략의 핵심 하이브IM, 적자에도 '5000억 밸류'
- [i-point]신성이엔지,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기술 공개
- [윤석열 대통령 탄핵]금융지주, 불확실성 해소로 밸류업 탄력받나
- [윤석열 대통령 탄핵]원화, 단기 강세 흐름…변동성 확대 '촉각'
- [윤석열 대통령 탄핵]동력 잃은 금융 정책…백지화 가능성도
- [여전사경영분석]롯데캐피탈, 총자산 다시 늘었다…수익성도 방어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자산 84% 수도권 쏠림…M&A 구조조정 대상 '속출'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신한캐피탈, 한도 관리 세분화…PF 중심 고위험 자산 초점
- 63주년 맞은 캠코, 후임 사장 임명은 안갯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