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7년 10월 25일 08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수영 OCI 회장이 향년 75세로 타계했다. 1970년 동양화학에 입사해 화학, 태양광 소재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OCI를 30대 기업으로 성장시킨 이수영의 시대는 막을 내렸다.이 회장의 빈 자리는 장남인 이우현 OCI 대표가 대신한다. 이복영 삼광글라스 회장, 이화영 유니드 회장 등 이 대표의 숙부들은 일찌감치 독자 경영 기반을 마련했다. OCI를 이끌어 갈 오너는 사실상 이 대표밖에 없다.
이 대표는 2005년 OCI에 입사해 전략기획본부장, 사업총괄 부사장 등을 거쳤다. 대표에 오른 2013년부터 실질적으로 OCI 경영을 총괄하고 있다.
이 대표가 중점적으로 추진한 사업은 태양전지 소재인 폴리실리콘이다. 폴리실리콘만 생각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이 사업에 집중했다. 이 회장은 태양광과 관련해서는 전권을 부여하며 아들의 행보를 지원했다.
지난 10년 사이 폴리실리콘은 OCI의 핵심 제품으로 자리 잡았다. 폴리실리콘이 속한 베이직케미칼 부문이 OCI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45%에 달한다. 덕분에 OCI는 국내 태양광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했다. 설비 용량 기준으로 독일 바커(Wacker), 중국 GCL과 글로벌 Top3를 형성한다. 이 대표가 경영자로서의 자질을 어느 정도 보여줬다고 할 수 있다.
그래도 이 회장의 공백은 크다. 이 대표에게 부친은 큰 버팀목이자 든든한 파트너였다. 중요한 의사 결정 과정에는 항상 이 회장이 있었다. 이제는 이 대표가 모든 결정을 스스로 내려야 한다. 부친의 부재가 이 대표 체제에서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태양광 시황의 침체가 길어지고 있는 건 리스크를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장기 불황은 OCI의 존망을 좌우할 수 있는 문제다. 이 대표를 중심으로 폴리실리콘의 수익성을 회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아울러 지속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사업도 발굴해야 한다. 이 대표의 어깨가 무거울 수 밖에 없다.
빈소에서 만난 OCI 관계자는 "당분간은 이 회장의 부재가 그룹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듯 하다. 다만 이 대표가 15년 가까이 경영 수업을 받았고, 베테랑 전문 경영인인 백우석 부회장이 있는 만큼 다시 안정을 찾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가 부친의 공백을 최소화하며 '이우현의 OCI'를 안정적으로 만들어 나갈 수 있을까. OCI의 새로운 총수로서 그가 보여줄 경영 행보가 궁금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