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웨이항공, '우리사주조합 설립' IPO 닻 올랐다 조합에 120만주 유증 "하반기 상장 목표"
고설봉 기자공개 2018-01-18 08:05:56
이 기사는 2018년 01월 17일 11시4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 하반기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는 티웨이항공이 이달 말 우리사주조합을 대상으로 유상증자를 진행한다.티웨이항공은 지난 8일 이사회를 개최하고 신주 발행을 의결했다. 보통주 120만 주를 제3자배정 방식으로 발행한다. 신주의 액면가액은 500원이고, 발행가액은 8000원으로 결정됐다. 이에 따라 신주의 발행총액은 96억 원이다.
신주의 배정 대상자는 우리사주조합이다. 청약일은 오는 29일부터 30일까지 이틀 간이다. 납기일은 이달 31일이고, 신주권은 다을달 9일 교부된다. 발행한 신주는 전량 의무보호예수로 묶인다. 청약 받은 직원들은 주식 전량을 신주권 교부 후 한국증권금융 우리사주조합부문에 예탁하고 예탁일로부터 1년간 보호예수 해야 한다.
티웨이항공은 올해 상반기 한국거래소에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할 계획이다. 상반기 예심 청구와 하반기 증시 입성한다는 계획이다. 상장 밸류는 8000억 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공모 구조는 신주 모집과 구주 매출을 병행할 방침인 가운데 아직 구체적인 비율을 확정하지는 않았다.
우리사주를 취득할 수 있는 대상자는 약 1400여명 안팎이다. 직원 수에 비해 우리사주조합 청약 물량이 상당히 많다. 시가총액을 8000억 원으로 가정한다면 직원 1인당 평균 약 1억 1429만 원을 투자해야 우리사주 물량을 모두 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원들을 대상으로 대출을 연계해주는 방안도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티웨이항공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에 IPO를 추진하기 위해 우리사주조합을 설립하는 것"이라며 "공모가 등은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
티웨이항공의 전신은 2004년 세워진 한성항공이다. 2013년 출판업체 예림당이 경영권을 인수했다. 2016년 말 기준 티웨이항공의 최대주주는 티웨이홀딩스로 지분 81.02%를 보유하고 있다. 티웨이홀딩스는 예림당의 자회사이다.
티웨이항공은 2017년 12월 현재 항공기 총 19대를 보유 중이다. 189석의 보잉 737-800 단일기종을 도입해 정비와 관리의 효율성을 높였다. 김포 등 국내 6곳, 방콕과 도쿄 등 해외 19곳의 지점을 두고 있다.
2016년 말 기준 자산총액 958억 원, 부채총액 970억 원, 자본총액 마이너스(-) 11억 원을 기록, 완전자본잠식에 빠졌다. 결손금이 503억 원 가량 누적된 결과다. 같은 기간 매출 3828억 원, 영업이익 126억 원, 순이익 20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티웨이항공은 IPO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비행훈련센터과 정비(MRO)공장 등에 투입할 계획이다. 더불어 IPO 추진을 토대로 2025년까지 대형기 10대를 포함, 총 50대의 항공기를 운영하며 매출 2조 원을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thebell desk]한화그룹이 잃어가는 것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첫 관문' 넘었다…두번째 과제 '계열분리'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미국발 리스크 해소한 기아, 남은 숙제 '멕시코공장'
- 폴라리스쉬핑, 메리츠 차입금 조기상환...이자 300억 절감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현대차, 울산공장 생산·수출 '재조정' 불가피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승계비율 ‘1대 0.5대 0.5’ 분쟁 막을 '안전장치'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무관세·친환경차’ 미국 시장 '톱3' 노린다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메타플랜트 준공 '관세전쟁' 승기 굳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