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삼성중공업 유증, 최후 보루 '믿을맨' 등장 [이재용 경영복귀]공모 불확실성 대두 시 이 부회장 참여 히든카드 확보

김시목 기자공개 2018-02-07 15:23:15

이 기사는 2018년 02월 06일 13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규모 유상증자에 나선 삼성중공업이 이재용 부회장이란 든든한 잠재적 지원군까지 얻었다. 최근 주가 안정세로 공모 불확실성이 줄어든 덕분에 당장의 직접 참여 가능성은 희박한 상황. 하지만 상황 급변 시 대응할 수 있는 히든 카드를 확보했다는 평가다.

시장에서는 지난 2016년 조 단위 자본확충 딜을 끝낸 삼성엔지니어링 유상증자를 떠올리고 있다. 당시 자본잠식 딜로 공모 성사 여부가 불투명했던 상황이 지속됐다. 불안하던 판세에 종지부를 찍은 것은 이 부회장의 3000억 원 증자 참여 발표였다.

삼성중공업은 오는 4월 1조 5000억 원 규모 유상증자를 실시할 계획이다.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기존 주주들이 모두 공모에 참여할 경우 일반공모 절차는 생략된다. 삼성중공업 주주가 아닌 이 부회장은 실권주 일반공모에서 참여할 수 있다.

삼성중공업은 증자 계획을 밝힌 지난해 12월만 해도 불안감이 감지됐다. 주가는 연일 하향곡선을 그리며 1만 원대 안팎의 주가는 7000원까지 하락했다. 액면가 이하 발행의 시나리오까지 제기됐다. 다행히 올 들어 주가가 반등하기 시작하면서 안정세를 찾았다.

하지만 공모 일정까지 두 달 가량이 남아 있어 낙관론만을 펴긴 힘든 상황이다. 주가가 다시 하락한다면 자본확충 발표 당시와 마찬가지로 공모 성사 여부가 불투명해질 수 밖에 없다. 액면가 발행 시 현대상선과 같은 대규모 실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주주 계열사의 초과청약이 이뤄지더라도 여건 악화로 나머지 주주와 시장을 설득하지 못하면 공모는 성공하기 힘들어진다. 현재 삼성전자(16.91%)를 비롯 특수관계자 전체 지분율은 23.15% 수준이다. 우리사주 물량을 포함하더라도 절반 수준에 못 미친다.

결국 유사 시 이 부회장의 결단은 시장의 의구심을 단번에 해소할 수 있는 카드로 꼽힌다. 오너 입장에서 계열사 재건 의지 표명만으로도 판도를 뒤바꿀 수 있다. 물론 구속 중에도 대리인을 통한 참여는 가능했지만 당사자가 느끼는 부담감은 천지차이란 평가다.

IB 관계자는 "유상증자에서 아직 이 부회장의 증자 참여가 거론된 적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하지만 공모를 앞두고 불확실성이 높아질 경우 그룹 차원에서 시장의 신뢰를 받기 위한 마지막 카드로 결국 오너의 참여를 논의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삼성엔지니어링은 2016년 1조 2000억 원 규모 유상증자에서 극적으로 기사회생했다. 한 치 앞도 예상할 수 없었던 공모의 판세를 바꾼 것은 이 부회장의 일반공모 참여 발표였다. 물론 주주배정서 실권주가 발생하지 않아 이 부회장이 투입한 자금은 없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