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기술투자, 사모채로 올해 첫 시장성 조달 만기 1.5년, 240억원 발행…A- 신용도에 투자자 모집 한계 '절감'
피혜림 기자공개 2018-03-14 11:08:39
이 기사는 2018년 03월 13일 17시0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포스코그룹 신기술금융 계열사인 포스코기술투자(A-, 안정적)가 올해에도 첫 시장성 조달을 사모채로 집행했다. 신용등급이 A급 끝선에 머물러 있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사모 의존도를 높이는 모양새다.포스코기술투자는 13일 240억원 어치 사모채를 발행했다. 만기는 1년6개월, 조달금리는 3.5%로 책정됐다. 확보된 자금은 운영 목적으로 쓰일 예정이다. IBK투자증권이 채권 발행 업무를 맡았다.
포스코기술투자는 사모채로 자금 조달을 이어가고 있다. 2016년 세 차레에 걸쳐 800억원을 발행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사모채로 총 790억원을 조달했다.
공모 조달은 2014년이 마지막이었다. 당시 300억원(2년물)을 공모액으로 제시해 400억원의 기관 자금을 확보했다. 당시만 해도 'A0'의 신용등급을 지켜왔기에 가능했다.
하지만 2015년 A-등급으로 신용도가 떨어지자 사정이 달라졌다. 공모채 시장에 발길을 끊고 사모사채 의존도를 높였다. 2015년 설립 이후 처음으로 사모채 200억원을 발행한 이후 1.5년~2년물 사모사채 발행을 이어가고 있다. 조달 금리는 3.3~3.7% 수준으로 KIS채권평가의 A-등급 1.5년물 회사채 금리(12일 기준)인 3.07%보다 높은 수준이다.
신용등급은 2015년부터 줄곧 A-(안정적) 등급을 부여받고 있다. 포스코 계열의 신기술사업 금융회사란 점과 기업대출 중심의 성장 전략이 등급에 반영됐다. 한국신용평가는 2015년과 2016년 중 각각 70억원, 25억원 상당의 거액여신에서 부실이 발생한 점을 고려해 리스크관리시스템의 안정적인 작동을 신용등급 판단의 중요 고려 요소로 지목했다.
포스코기술투자는 1997년 6월 설립된 이후 신기술사업금융과 기업대출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한다.포스코와 포항공과대학교가 각각 95% 및 5%의 지분을 보유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총자산은 3,891억원, 자기자본은 1,174억원이다. 지난해 3분기 누적 영업수익과 영업이익은 각각 116억원, 38억원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캐시플로 모니터]더본코리아, 실적호조에도 순현금유출 까닭은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바틀링·직수출 투트랙 전략…종착점은 '롯데 브랜드'
- [정용진 회장 취임 1년]'CJ·알리바바' 신세계 이커머스 살릴 동아줄 될까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R&D로 쌓은 수출 경쟁력,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안착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관 출신' 권용현 전무, 하락세 기업부문 살리기 미션
- 카카오게임즈, 4년 만에 끝난 CB 전략 '득과 실'
- [VC 투자기업]트래블월렛, 미국·대만 법인 설립한다…해외 매출 기대
- 차바이오텍, 쪼그라든 유증에도 'R&D'에 900억 투입 예고
- 'R&D가 핵심' 동국제약, 연구조직·수장 다 바꿨다
- [리걸테크 스타트업 점검]엘박스, '판례검색→AI' 사업 확장…M&A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