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쏘시오, 계열사 DMBio 통해 바이오시밀러 박차 초대 대표 강수형 부회장 현장 방문…"건선치료제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글로벌임상 준비"
보스턴(미국)=강인효 기자공개 2018-06-12 08:25:20
이 기사는 2018년 06월 11일 16시1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동아쏘시오그룹이 계열사 '디엠바이오(DMBiO)'를 통해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가장 빠른 상업화 단계에 있는 유방암 치료제 'DMB-3111(개발명)'은 글로벌 임상 3상 중에 있고, 건선치료제 '스텔라라'의 바이오시밀러 중 '퍼스트 무버(first mover·선두 주자)'로 등극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DMB-3115(개발명)'은 글로벌 임상 1상을 준비하고 있다.◇디엠바이오, 4년 연속 '바이오 USA'에 단독 부스 설치…강수형 초대 대표 3년째 방문
11일 동아쏘시오그룹에 따르면 디엠바이오는 지난 5일(현지시간)부터 7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개최된 세계 최대 바이오 산업 전시회인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이하 바이오 USA)'에 단독 부스를 마련해 참가했다. 디엠바이오는 2015년부터 4년 연속 바이오 USA에 단독 부스를 설치하고 참여해오고 있다. 특히 올해 바이오 USA에는 국내 대표 바이오 기업인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비롯해 코오롱생명과학, 디엠바이오 등 4곳만 단독 부스를 차렸는데, 이 중 정통 제약사가 참여한 것은 디엠바이오가 유일하다.
디엠바이오는 동아쏘시오그룹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설립한 회사다. 동아쏘시오홀딩스(옛 동아제약)는 바이오시밀러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지난 2011년 9월 일본 제약사 메이지세이카파마(Meiji Seika Pharma)와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대한 포괄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2012년 1월 디엠바이오 사업추진단을 발족했다.
디엠바이오는 2015년 4월 동아쏘시오홀딩스에서 물적분할되면서 별도법인으로 설립됐다. 동아쏘시오홀딩스 100% 자회사로 편입됐지만, 동아쏘시오홀딩스는 이로부터 5개월 뒤인 9월 디엠바이오를 조인트벤처 형태로 운영하기 위해 메이지세이카파마에 보유 지분 일부를 양도했다. 디엠바이오는 현재 동아쏘시오홀딩스가 51%, 메이지세이카파마 4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동아쏘시오홀딩스 연구본부 바이오텍연구소장을 역임한 동아쏘시오그룹 내 연구개발(R&D) 최고 전문가인 강수형 현 동아에스티 부회장이 디엠바이오 설립 초기부터 핵심적인 역할을 맡아왔다. 강 부회장은 2011년 동아메이지바이오 설립추진위원회 부위원장을, 이듬해인 2012년에는 동아메이지바이오시밀러 사업추진단장을 맡았다. 그는 2013년부터 디엠바이오 초대 대표를 맡았고, 2015년 9월 동아에스티 대표로 자리를 옮겼다.
강 부회장은 동아에스티로 자리를 옮긴 이후에도 2016년부터 올해까지 3년 연속 바이오 USA 설치된 디엠바이오 부스를 찾았다. 올해에도 6일과 7일 이틀 동안 디엠바이오 부스에서 외국 파트너사와의 미팅도 직접 챙겼다.
강수형 부회장은 바이오 USA 현장에서 기자와 만나 "디엠바이오의 주요 사업 현황을 업데이트하는 차원에서 부스를 방문했다"면서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개발 트렌드도 항체 바이오의약품에서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등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데, 이같은 변화 흐름은 이번 바이오 USA 현장에서 쉽게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동아쏘시오그룹 관계자는 "강 부회장은 디엠바이오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라이선스 아웃(기술수출) 협의 및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홍보를 하기 위해 바이오 USA 현장을 찾았다"면서 "현장에서 글로벌 신약 개발 트렌드를 파악했을 뿐만 아니라 파트너링 미팅에도 참가했다"고 밝혔다.
|
디엠바이오가 가장 기대를 거는 파이프라인은 유방암 치료제 DMB-3111과 건선치료제 DMB-3115 등 2개다. DMB-3111은 유럽에서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 중이고, DMB-3115는 글로벌 임상 1상에 진입을 목표로 시료 생산에 들어간 단계다.
DMB-3111는 스위스 제약사 로슈가 개발한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성분명 트라스투주맙)' 바이오시밀러다. 허셉틴은 연간 약 8조원의 매출을 올리는 세계적인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유럽 시장 규모는 약 2조4500억원으로 추산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은 각각 작년 11월, 올해 2월 유럽의약품청(EMA)로부터 시판 허가를 받았다.
디엠바이오는 이미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개발 완료 후 상용화에 성공한 삼성바이오에피스(삼성바이오로직스 관계사)와 셀트리온에는 뒤쳐진 것은 맞지만, DMB-3111은 중국과 중동 시장에서 경쟁사보다 빠르게 허가를 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유럽 임상 3상은 헝가리 제약사 '게데온'이 맡고 있다.
DMB-3115는 글로벌 시장에서 개발 단계가 가장 빠른 바이오시밀러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DMB-3115는 미국 제약사 얀센의 건선치료제 '스텔라라(성분명 우스테키누맙)'의 바이오시밀러 중에서 임상 단계가 가장 앞서 있기 때문에 우스테키누맙제제 시장에서 퍼스트 무버로 등극할 가능성이 큰 제품이다.
디엠바이오 관계자는 "DMB-3115는 연구조직이 따로 없기 때문에 그룹 지주회사인 동아쏘시오홀딩스 산하 바이오텍연구소에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DMB-3115가 향후 임상에 들어가게 되면 라이선스 아웃 논의도 진행될 것을 감안해 지주사와 디엠바이오, 메이지세이카파마 등 3사가 이에 대한 방안도 잘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