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고성능·디자인·미래차' 외부출신 약진 주요 보직에 외국인 임원 집중 배치, '순혈주의' 더 옅어져
고설봉 기자공개 2018-10-30 08:31:35
이 기사는 2018년 10월 29일 14시2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기아자동차가 거듭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외부영입 인사들을 미래 핵심 먹거리 발굴에 대거 임용했다. 고성능차, 미래차, 디자인 등 현대·기아차의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기술 발전 이끌 주요 보직에 외국인 임원들을 집중 배치했다.현대·기아자동차는 29일 주요 부문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제품 및 사업 경쟁력 강화와 미래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하는 역량 확보에 적극 나서기 위해서다. 이번 인사의 주요 특징은 글로벌 상품 및 디자인 혁신, 수소전기차와 AI 등 미래 신기술 역량 강화, 글로벌 현장 중심의 자율경영 체제 가속화 등으로 요약된다.
◇디자인·고성능차 '외국인 임원' 전성시대
외부에서 영입한 외국인 임원들의 약진이 이번 인사에서도 확인됐다. 외국인 임원들은 지난해 12월과 올 1월 인사에 이어 약 9개월 만에 또 한번 승진하며 디자인과 고성능차 등 미래 먹거리부문의 핵심 역량임을 스스로 증명했다.
현대·기아차는 고성능사업부장 토마스 쉬미에라 부사장을 상품전략본부장에 임명했다. 쉬미에라 부사장은 BMW M 북남미 사업총괄 출신으로 올해 3월 현대자동차에 합류했다. 고성능차 및 모터스포츠 사업의 상품·영업·마케팅을 담당하는 고성능사업부장을 맡아 i30N과 벨로스터N 등 고성능 모델들을 성공적으로 출시했다.
쉬미에라 부사장은 합류 6개월여 만에 전격 승진하며 외국인 임원 전성시대를 증명했다. 향후 쉬미에라 부사장은 자율주행, 커넥티드카, 차량 전동화 등 신기술에 대한 개발 방향을 정립하는 등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
디자인부문에서도 외국인 임원들의 강세가 확인됐다. 현대·기아차는 디자인 최고 책임자(CDO) 자리인 디자인담당에 현 현대디자인센터장인 루크 동커볼케 부사장을 임명했다. 동커볼케 부사장은 지난달 현대차그룹 디자인경영담당으로 옮긴 피터 슈라이어 사장의 후임이다.
동커볼케 부사장은 지난해 12월 임원 인사에서 전무에서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약 1년여 만에 디자인 최고 책임자에 오르며 실력을 인정받았다. 동커볼케 부사장은 벤틀리 출신으로 2016년 현대디자인센터장으로 영입됐다. 제네시스 브랜드의 론칭을 앞두고 디자인과 브랜드 전략의 강화를 위한 조치였다.
이와 동시에 현대·기아차는 현대스타일링담당 이상엽 상무를 전무로 승진시킨 뒤 현대디자인센터장으로 임명했다. 이상엽 상무도 외부영입 인사다. GM과 벤틀리를 거쳐 2016년 현대차에 합류했다.
이번 인사에서 유일한 내부출신은 주병철 상무다. 현대·기아차는 주 상무를 기아스타일링담당으로 보임한다. 주 상무는 2014년 현대차 내장디자인실장, 2016년 현대차 프레스티지디자인실장 등을 역임했다.
◇수소전기차, AI 등 '미래 신기술' 외부에 문 활짝
이번 인사의 또 다른 축은 미래 신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조직을 신설이다. 현대·기아차는 수소전기차와 AI 등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해 각 사업부의 위상을 격상하고, 최고 책임자에 대한 인사도 단행했다.
|
현대·기아차는 수소전기차에 대한 기술 리더십을 더욱 강화하는 차원에서 연구개발본부 직속의 연료전지사업부를 신설하고, 연료전지개발실장 김세훈 상무를 신임 사업부장에 임명했다. 김세훈 상무는 투싼ix, 넥쏘 등 세계 최고 기술력이 입증된 수소전기차 개발을 담당해 왔다.
또 그룹 차원의 미래 모빌리티 시장 대응을 위해 전략기술본부 산하에 인공지능(AI)을 전담할 별도 조직인 'AIR Lab(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Lab)'을 신설했다. 이를 총괄할 전문가로 김정희 이사를 영입했다.
김 이사는 국내 AI 분야 최고 전문가 중 한 명으로 이번 인사 직전 현대·기아차가 영입한 인물이다. 그는 최근까지 네이버랩스의 인텔리전스그룹 리더로 근무했다. 김 이사는 인공지능 관련 활발한 논문 저술뿐 아니라 다수의 소프트웨어 서비스 상용화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2017년 한국공학한림원이 선정한 '2025 기술주역'에 선정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지배구조 분석]율호 지분 또 매각한 이엔플러스, 경영권 행사 '계속'
- [Korean Paper]하나증권, 관세·탄핵 불확실성 속 데뷔전 나선다
- [원일티엔아이 IPO]수소 투자 드라이브, 후계자 입지 강화 계기될까
- [대한조선 IPO]조선업 슈퍼사이클 진입…실적 호조까지 더했다
- [Company & IB]파트너 새판짜는 LX하우시스, 은행계 '포용'
- [SK엔무브 IPO]아시아·미국 'NDR' 마무리…밸류 눈높이 '사전 점검'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서부T&D, 오너가3세 주축 시설관리 법인 출범
- [코스닥 CB 만기도래]200억 상환 앞둔 흥국에프엔비, 추가 조달 추진
- [2025 서울모빌리티쇼]'UAM 낙점' 삼보모터스, 종합 모빌리티 그룹 목표
- SK바사, 20여개 파이프라인 '선택과 집중' 속도 조절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옥상옥’ 그룹 지배구조, 개편 없이 그대로 간다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한화에너지-㈜한화 합병 안한다’
- [윤석열 대통령 탄핵]새정부 출범 대응 고심, '무게 실리는' 재계 대관조직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오션 지분매입·에어로 유증, 이사회 투명성 지켜졌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김승연 회장의 '과감한' 결단, 승계 속도 높였다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상선에 '건설사 붙이기' 그 성과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thebell desk]한화그룹이 잃어가는 것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첫 관문' 넘었다…두번째 과제 '계열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