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진 기업은행장 "비 올 때 우산 뺏지 않겠다" 자동차협력업체 여신 규모 유지…건전성은 강화
이장준 기자공개 2018-10-31 08:45:37
이 기사는 2018년 10월 30일 17시5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많이 도와줘야죠. (자동차 산업이) 좀 어렵다고 다 회수하면 안 되니까."김도진 IBK기업은행장은 30일 여의도 63컨벤션 그랜드볼룸홀에서 열린 제3회 금융의 날 행사를 마치고 기자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자동차 협력업체들의 여신 관리를 어떻게 할 계획인지 묻는 질문에 대한 답이었다.
최근 자동차 산업이 불황을 맞으면서 관련 중소기업들이 위기를 맞았다. 2013년 100%를 넘겼던 현대차와 기아차의 미국공장 완성차 생산 공장의 연평균 가동률은 지난해 80%대로 떨어졌다. 올해 들어서는 근 6년간 최저 수준의 가동률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부품업계의 공장 가동률과 재무실적 역시 악화된 것이다.
자동차 협력업체에 대출해준 은행들 역시 곤혹스러운 모습이다. 특히 기업은행은 차 부품업체 등 협력사에 대한 대출 비중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기업은행의 대출에서 자동차 협력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차후 움직임에 주목해왔다.
이에 김 행장을 비롯한 100명 이상의 기업은행 간부들은 지난 29일 오전 전략회의를 진행했다. 기업은행은 회의에서 자동차 협력업체 대출 규모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기존 대출 만기도 연장해주기로 했다.
김 행장은 "(자동차 산업이) 당장 무너지지는 않을 테니까 만기 연장도 하고 (여신을) 무분별하게 회수하지 않기로 했다"며 "비 올 때 우산을 뺏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그는 "대신 여신 (건전성) 상향은 조금 해야겠지만"이라고 덧붙였다.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여신 건전성을 강화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번 3분기 기업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34%로 상반기에 비해 2b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조선업체 불황 사례를 비춰보아 충당금을 더 쌓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2000억 현금 보유 일성아이에스, 부동산 베팅 '요양원' 발판
- OCI홀딩스, 부광약품 '유증' 활용법 '실권주·신주증서'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보단 우주, 보령의 R&D 가치 단 150억 '카나브' 뒷배